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가군사전략급 수준에서 북한 사이버 위협과 한국군의 대응방향 = direction for coping with cyber threats of the north korea in the level of national military strate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060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North Korea's cyber threat and discerns the core problems on readiness to handle cyber threats in the level of national military strategy, and suggests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olutions for such issues and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three suggestions for ROKAF to effective preparation against cyber threats from North Korea and to materialize such capability; first, the status should be cleared up by overcoming the confusion of concepts about cyber war; second, the guidelines of policy about national and system development directions of readiness toward cyber threat should be definitized; and finally, the paper presents directions of development for implementation of competence such as readiness systems on cyber threats, development of operational support organizations to prepare effective planning and execution for cyber warfare, acquisition of advanced knowledgable manpower for it and integrated development of competences for cyber warfare and so on.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North Korea's cyber threat and discerns the core problems on readiness to handle cyber threats in the level of national military strategy, and suggests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olutions for such issues and prob...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North Korea's cyber threat and discerns the core problems on readiness to handle cyber threats in the level of national military strategy, and suggests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olutions for such issues and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three suggestions for ROKAF to effective preparation against cyber threats from North Korea and to materialize such capability; first, the status should be cleared up by overcoming the confusion of concepts about cyber war; second, the guidelines of policy about national and system development directions of readiness toward cyber threat should be definitized; and finally, the paper presents directions of development for implementation of competence such as readiness systems on cyber threats, development of operational support organizations to prepare effective planning and execution for cyber warfare, acquisition of advanced knowledgable manpower for it and integrated development of competences for cyber warfare and so 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북한의 사이버위협을 분석 및 평가하고, 국가군사전략급 수준에서 사이버위협의 대비태세와 관련된 핵심 이슈와 문제점을 식별하여 이에 대한 포괄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 국가와 군이 북한의 사이버위협을 효과적으로 대비하고 이러한 능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언으로서 우선 사이버전과 관련된 개념의 혼란과 혼동을 극복하여 위상을 명백히 하고, 둘째, 사이버위협의 대비태세에 대하여 국가 및 군사전략 개념에 대한 정책적 지침을 명확히 하며, 마지막으로, 사이버위협 대비 체제 발전방향과 군사작전의 효과적인 기획 및 실행 지원을 위한 작전지원조직의 발전 그리고 첨단 전문 인력의 획득/활용과 통합적인 능력 발전 등 사이버전위협 대비 능력 구현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북한의 사이버위협을 분석 및 평가하고, 국가군사전략급 수준에서 사이버위협의 대비태세와 관련된 핵심 이슈와 문제점을 식별하여 이에 대한 포괄적...

      본고는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북한의 사이버위협을 분석 및 평가하고, 국가군사전략급 수준에서 사이버위협의 대비태세와 관련된 핵심 이슈와 문제점을 식별하여 이에 대한 포괄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 국가와 군이 북한의 사이버위협을 효과적으로 대비하고 이러한 능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언으로서 우선 사이버전과 관련된 개념의 혼란과 혼동을 극복하여 위상을 명백히 하고, 둘째, 사이버위협의 대비태세에 대하여 국가 및 군사전략 개념에 대한 정책적 지침을 명확히 하며, 마지막으로, 사이버위협 대비 체제 발전방향과 군사작전의 효과적인 기획 및 실행 지원을 위한 작전지원조직의 발전 그리고 첨단 전문 인력의 획득/활용과 통합적인 능력 발전 등 사이버전위협 대비 능력 구현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진, "핵-미사일-기동군-사이버전으로 미군 증원전에 결판" 2009

      2 합동교범 3-9, "합동정보작전" 합동참모본부 1999

      3 배달형, "컴퓨터네트워크작전 개념정립 및 수행방안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2006

      4 정보사회학회, "정보사회의 이해" 나남출판 1998

      5 해군, "적 사이버전수행능력 연구"

      6 "신동아, 2009.11"

      7 이광형, "사이버전사를 키우자"

      8 문장열, "사이버전 대비 전략과 전력기획, In 국방대 기초연구과제" 2010

      9 김흥광, "북한의 사이버정보전 실태" 2006

      10 "북한의 민관 컴퓨터 보급현황"

      1 김성진, "핵-미사일-기동군-사이버전으로 미군 증원전에 결판" 2009

      2 합동교범 3-9, "합동정보작전" 합동참모본부 1999

      3 배달형, "컴퓨터네트워크작전 개념정립 및 수행방안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2006

      4 정보사회학회, "정보사회의 이해" 나남출판 1998

      5 해군, "적 사이버전수행능력 연구"

      6 "신동아, 2009.11"

      7 이광형, "사이버전사를 키우자"

      8 문장열, "사이버전 대비 전략과 전력기획, In 국방대 기초연구과제" 2010

      9 김흥광, "북한의 사이버정보전 실태" 2006

      10 "북한의 민관 컴퓨터 보급현황"

      11 배달형, "미래전의 요체 정보작전- Information Operations in the Future" KIDA PRESS 2005

      12 국가보안기술연구소, "미국의 사이버 정책 동향" 2006

      13 임종인, "다음은 북의 사이버 공격일 수 있다"

      14 정보사, "cyber NorthKorea"

      15 "Webster 사전 및 Oxford 사전"

      16 Defense-Information Assurance Red Team, "The MITRE Digest"

      17 Cooper, Jeffery, "The Coherent Battlefield- Removing the Fog of War: A Framing work for Understanding an MTR of the Information Age" 24-, 1993

      18 Dan Catericcia, "Network-centric Warfare: Not There Yet"

      19 Wilson, Clay, "Network centric Warfare: Background and Oversight Issues for Congress" CRS 2004

      20 배달형, "NCW하 컴퓨터네트워크작전(CNO)의 작전적 원리와 한국군의 발전방향"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2 (52): 39-67, 2009

      21 배달형, "NCW 이해와 발전방향"

      22 U.S. Strategic Command Public Affairs, "Joint Task Force-Computer Network Operations, Fact File"

      23 Arquilla, John, "Information, Power and Grand Strategy: In Athena's, Camp, Santa Monica" RAND 1995

      24 US Army, "FM 3-0 Operations"

      25 "DODD S-3600.1, Information Operations"

      26 Clay Wilson, "Computer Attack and Cyber Terrorism: Vulnerabilities and Policy Issue for Congress" CRS 2003

      27 "CJCSI 3210.01 A, Joint Information Policy"

      28 권태영, "21세기 미래전 이론 분석 및 발전 방향" 한국국방연구원 (65) : 2004

      29 국가정보원, "2009국가정보보호백서"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0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전략연구
      외국어명 : STRATEGIC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9 0.847 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