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위협 관리를 위한 한미중 3자 협력 발전방향 = A strategy to develop Korea-the US-China cooperation for managing north korea threa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060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an approach for building a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Korea, the US, and China to manage North Korea threats. The security risks involving North Korea are diverse ranging from enhanced WMD capabilities including its nuclear weapons to military provocations, and to Kim Jong-il regime's instability. In order to deal with North Korea threats in timely and effective manner, Korea needs to develop a cooperation mechanism among the major countries related to North Korea problems. Currently, Korea, the US, and China maintain bilateral and multilateral channels for talk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six-party talks and bilateral diplomacy. Nevertheless, these mechanisms have lack of capability to properly handle new security situations on the peninsula. Considering new North Korea threats, Korea should devise a new cooperation mechanism among the three countries. However, it is not easy to institutionalize the mechanism because China will oppose. So, as a practical way, South Korea needs to actively initiate security issues related to North Korean threats, which will induce a reaction of the US and China and move their foot for the tri-lateral cooperation. This cooperation mechanism can change the current negotiation framework in which the US and China dominate and prevent North Korea from arbitrarily changing rules of game.
      번역하기

      This paper discusses an approach for building a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Korea, the US, and China to manage North Korea threats. The security risks involving North Korea are diverse ranging from enhanced WMD capabilities including its nuclear wea...

      This paper discusses an approach for building a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Korea, the US, and China to manage North Korea threats. The security risks involving North Korea are diverse ranging from enhanced WMD capabilities including its nuclear weapons to military provocations, and to Kim Jong-il regime's instability. In order to deal with North Korea threats in timely and effective manner, Korea needs to develop a cooperation mechanism among the major countries related to North Korea problems. Currently, Korea, the US, and China maintain bilateral and multilateral channels for talk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six-party talks and bilateral diplomacy. Nevertheless, these mechanisms have lack of capability to properly handle new security situations on the peninsula. Considering new North Korea threats, Korea should devise a new cooperation mechanism among the three countries. However, it is not easy to institutionalize the mechanism because China will oppose. So, as a practical way, South Korea needs to actively initiate security issues related to North Korean threats, which will induce a reaction of the US and China and move their foot for the tri-lateral cooperation. This cooperation mechanism can change the current negotiation framework in which the US and China dominate and prevent North Korea from arbitrarily changing rules of ga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북한위협의 관리를 위한 한미중 3자 협력방향을 분석하였다. 북한위협은 핵 및 WMD 능력의 강화뿐만 아니라 국지적 도발과 김정일 체제의 불안정 문제 등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북한위협을 효과적으로, 적시에 관리하기 위해서는 한미일 협력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현재 한미중 협력은 주로 6자회담과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양자외교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한국은 새로운 안보위협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한미중 협력체제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그러나 중국의 정책을 고려할 경우, 한미중 협력체제를 제도화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한국은 북한위협에 대해 안보 이슈를 주도적으로 제시하고, 이에 대해 중국과 미국이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협력방식은 현재의 미국과 중국이 주도하는 협상방식을 변화하고, 북한이 자신이 원하는 방식의 게임을 하지 못하도록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북한위협의 관리를 위한 한미중 3자 협력방향을 분석하였다. 북한위협은 핵 및 WMD 능력의 강화뿐만 아니라 국지적 도발과 김정일 체제의 불안정 문제 등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

      본 논문은 북한위협의 관리를 위한 한미중 3자 협력방향을 분석하였다. 북한위협은 핵 및 WMD 능력의 강화뿐만 아니라 국지적 도발과 김정일 체제의 불안정 문제 등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북한위협을 효과적으로, 적시에 관리하기 위해서는 한미일 협력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현재 한미중 협력은 주로 6자회담과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양자외교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한국은 새로운 안보위협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한미중 협력체제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그러나 중국의 정책을 고려할 경우, 한미중 협력체제를 제도화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한국은 북한위협에 대해 안보 이슈를 주도적으로 제시하고, 이에 대해 중국과 미국이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협력방식은 현재의 미국과 중국이 주도하는 협상방식을 변화하고, 북한이 자신이 원하는 방식의 게임을 하지 못하도록 할 것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0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전략연구
      외국어명 : STRATEGIC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9 0.847 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