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암 경험자의 생존단계별 필요에 관한 질적 연구 = Qualitative Study of Cancer Survivors’ Needs Related to Survival St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20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fficulty and needs of cancer patients depend on their stage of survival. Understanding the multidimensional needs of cancer patients at different stages of survival is an important task in developing an effective social support system for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eds of cancer patients in early stages and long-term stages of survival,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social support. We collected data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cancer patients and carers. The results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In the early stages of survival, cancer survivors needed increased access to information and social support for the burden of family care. In the long-term survival stage, cancer survivors were struggling to earn a living due to the economic burden accumulated during the long treatment period. After treatment, they needed long-term social support such as social rehabilitation and labor participation support.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needs of the survival stages of cancer patients and for preparing policy measures.
      번역하기

      The difficulty and needs of cancer patients depend on their stage of survival. Understanding the multidimensional needs of cancer patients at different stages of survival is an important task in developing an effective social support system for them. ...

      The difficulty and needs of cancer patients depend on their stage of survival. Understanding the multidimensional needs of cancer patients at different stages of survival is an important task in developing an effective social support system for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eds of cancer patients in early stages and long-term stages of survival,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social support. We collected data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cancer patients and carers. The results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In the early stages of survival, cancer survivors needed increased access to information and social support for the burden of family care. In the long-term survival stage, cancer survivors were struggling to earn a living due to the economic burden accumulated during the long treatment period. After treatment, they needed long-term social support such as social rehabilitation and labor participation support.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needs of the survival stages of cancer patients and for preparing policy measu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암 경험자가 겪는 어려움은 생존단계에 따라 달라지며 그에 따른 필요(need) 양상도 변화한다. 생존단계에 따른 암 경험자의 다차원적인 필요를 이해하는 것은 이들에게 효과적인 사회적지지 체계를 마련하는 데 있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암 경험자의 필요를 초기 생존단계와 장기 생존단계로 나누어 탐색하고 사회적지지가 생존 시기에 따라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암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 생존단계에서 암 경험자는 치료제 접근성 향상 및 정보를 요구하였고 가족 간병 부담에 대한 사회적지지를 필요로 하였다. 장기 생존단계에서 암 경험자는 오랜 치료기간 동안 축적된 경제적 부담으로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치료 이후 사회복귀 및 노동참여 지원과 같이 스스로 생존해 나갈 수 있는 장기적 관점의 사회적지지를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암 경험자의 생존단계에 따른 필요를 이해하고 이를 위한 정책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암 경험자가 겪는 어려움은 생존단계에 따라 달라지며 그에 따른 필요(need) 양상도 변화한다. 생존단계에 따른 암 경험자의 다차원적인 필요를 이해하는 것은 이들에게 효과적인 사회적지지...

      암 경험자가 겪는 어려움은 생존단계에 따라 달라지며 그에 따른 필요(need) 양상도 변화한다. 생존단계에 따른 암 경험자의 다차원적인 필요를 이해하는 것은 이들에게 효과적인 사회적지지 체계를 마련하는 데 있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암 경험자의 필요를 초기 생존단계와 장기 생존단계로 나누어 탐색하고 사회적지지가 생존 시기에 따라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암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 생존단계에서 암 경험자는 치료제 접근성 향상 및 정보를 요구하였고 가족 간병 부담에 대한 사회적지지를 필요로 하였다. 장기 생존단계에서 암 경험자는 오랜 치료기간 동안 축적된 경제적 부담으로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치료 이후 사회복귀 및 노동참여 지원과 같이 스스로 생존해 나갈 수 있는 장기적 관점의 사회적지지를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암 경험자의 생존단계에 따른 필요를 이해하고 이를 위한 정책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현희, "희귀질환 의약품 접근성 향상을 위한 동정적 사용제도 개선방안: 비교제도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6

      2 김분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Giorgi, Colaizzi, VanKaam 방법을 중심으로" 29 (29): 1208-1220, 1999

      3 최선근, "한국의 암환자 치료와 관리현황" 대한의사협회 60 (60): 228-232, 2017

      4 윤은영, "포커스그룹을 이용한 소아암 환아 주부양자의 의료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욕구탐색" 8 (8): 19-49, 2011

      5 채윤정, "폐암 환자의 생존단계별 증상, 우울 및 삶의 질 비교" 대한종양간호학회 17 (17): 79-86, 2017

      6 이명선, "치료시기에 따른 유방암 환자들의 교육 및 상담 요구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종양간호학회 3 (3): 5-14, 2003

      7 이명선, "치료 중인 암 환자들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관한 포커스 그룹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2 (22): 19-30, 2010

      8 이유진, "중년기 간암 환자 가족의 간호요구와 부담감" 대한종양간호학회 14 (14): 227-235, 2014

      9 문성웅, "주요국의 상병수당제도 현황 고찰 및 시사점 연구" 국민건강보험 검강보험정책연구원 2015

      10 최인덕, "주요국의 상병수당제도 운영현황 및 제도도입의 타당성검토" 국민건강보험공단 2005

      1 조현희, "희귀질환 의약품 접근성 향상을 위한 동정적 사용제도 개선방안: 비교제도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6

      2 김분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Giorgi, Colaizzi, VanKaam 방법을 중심으로" 29 (29): 1208-1220, 1999

      3 최선근, "한국의 암환자 치료와 관리현황" 대한의사협회 60 (60): 228-232, 2017

      4 윤은영, "포커스그룹을 이용한 소아암 환아 주부양자의 의료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욕구탐색" 8 (8): 19-49, 2011

      5 채윤정, "폐암 환자의 생존단계별 증상, 우울 및 삶의 질 비교" 대한종양간호학회 17 (17): 79-86, 2017

      6 이명선, "치료시기에 따른 유방암 환자들의 교육 및 상담 요구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종양간호학회 3 (3): 5-14, 2003

      7 이명선, "치료 중인 암 환자들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관한 포커스 그룹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2 (22): 19-30, 2010

      8 이유진, "중년기 간암 환자 가족의 간호요구와 부담감" 대한종양간호학회 14 (14): 227-235, 2014

      9 문성웅, "주요국의 상병수당제도 현황 고찰 및 시사점 연구" 국민건강보험 검강보험정책연구원 2015

      10 최인덕, "주요국의 상병수당제도 운영현황 및 제도도입의 타당성검토" 국민건강보험공단 2005

      11 보건복지부, "제3차 국가암관리종합계획(’16~’20)" 보건복지부 2016

      12 윤현경, "젊은 여성암 환자의 가임력(fertility)에 관한 개념분석" 247-247, 2016

      13 최현수, "재난적의료비 지원체계 개선방안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14 조용만,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정에 따른 고용분야제도정비 방안 연구" 노동부 2007

      15 나운환, "장애인 고용 및 승진 실태조사 –노동시장 차별을 중심으로-. 2002년도 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용역사업 보고서" 국가인권위원회 2002

      16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시험발전 5개년종합계획"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시험제도발전추진단 2019

      17 공장호, "일본의 사례를 통해 본 한국 간병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61-480, 2015

      18 정윤아, "일반병동과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병동에 입원한 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 병원 몰입 및 재이용 의사 비교" 간호행정학회 24 (24): 30-39, 2018

      19 최정규, "이중차이분석 통해 본 산정특례제도의 의료비부담 완화효과"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8 (18): 1-19, 2012

      20 지은정, "의료비 지출이 종사상 지위 및 소득변화에 미치는 요인요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5-35, 2004

      21 식품의약품안전처, "응급환자 등 치료를 위한 임상시험용의약품의 안전 사용 가이드라인"

      22 허은경, "유방암 생존자의 직장복귀 경험" 한국모자보건학회 15 (15): 92-102, 2011

      23 임정원,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대한 생존단계별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5-27, 2008

      24 백옥미,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의 사회적 지지 : 암 병기 및 생존단계별 비교분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2) : 5-35, 2011

      25 장보윤, "위암 장기 생존자의 직장 복귀"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7

      26 최선, "원정 치료하는 암환자들의 비애...“치료받을 권리달라”"

      27 박찬우, "여성 암 환자의 가임력 보존" 한국모자보건학회 20 (20): 204-210, 2016

      28 전주경, "암환자의 항암제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대한종양간호학회 19 (19): 18-26, 2019

      29 양진향, "암환자의 생활세계 경험" 한국간호과학회 38 (38): 140-151, 2008

      30 홍백의, "암환자 가족의 경제적 손실비용과 그 영향 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8) : 193-215, 2008

      31 보건복지부, "암정복 2015(안)–제2기 암정복10개년 계획-" 보건복지부 2006

      32 손미라, "암생존자의 직장복귀에 대한 개념분석" 군건강정책연구소 32 (32): 119-133, 2014

      33 신동욱, "암경험자의 관리" 대한의사협회 58 (58): 216-226, 2015

      34 김기연, "암 환자의 정보요구 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14 (14): 135-143, 2002

      35 허대석, "암 치료에 있어서 맞춤의학의 현황과 전망" 대한의사협회 58 (58): 1021-1026, 2015

      36 김미혜, "암 치료를 받은 간호사의 직장복귀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215-225, 2016

      37 김지혜, "암 질환 대상 산정특례제도가 의료이용 및 의료비 부담 형평성에 미친 영향" 한국보건행정학회 24 (24): 228-241, 2014

      38 박종혁, "암 생존자의 취업 중재 전략" 128-130, 2014

      39 Kielstra, P., "아시아 태평양 노동 인구 중 유방암 환자 및 생존자. 한국: 심화되는 문제와 이에 대한 초기 대응"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2018

      40 박은자, "신의료기술의 도입과 확산에 관한 정책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41 김민아, "소아암 완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서비스 욕구" 한국아동간호학회 18 (18): 19-28, 2012

      42 최권호, "소아암 경험자 및 보호자의 취약성과 치료궤적 기반 심리사회적 서비스 요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417-451, 2018

      43 안형식, "사적고용 간병의 문제점과 입원 환자에 대한 새로운 간호간병체계 도입의 필요성" 11 (11): 58-62, 2013

      44 박정숙, "부인암 환자의 생존단계에 따른 디스트레스와 신체상 비교" 대한종양간호학회 14 (14): 15-22, 2014

      45 권태일, "델파이 조사를 통한 종합병원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의효율적인 공간구성 제안" 한국생활환경학회 25 (25): 787-795, 2018

      46 신나연, "난소암 환자의 항암화학요법 치료 경험" 대한종양간호학회 17 (17): 158-169, 2017

      47 조성혜, "근로자의 질병 시 소득보장제도 ― 한국과 독일의 법제 비교를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6 (26): 553-612, 2018

      48 중앙암등록본부, "국가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 (2014년 암등록통계)" 보건복지부 2016

      49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고 : 암환자에게 처방투여하는 약제에 대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50 보건복지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 주요 성과 및 향후 계획" 보건복지부 2019

      51 현경래, "건강보장정책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주요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 분석"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4

      52 양금덕, "간호간병서비스 시행4년 제도취지무색 개선시급"

      53 정수미,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입원 환자의 간호만족도와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비교조사연구" 간호행정학회 23 (23): 229-238, 2017

      54 박광옥,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적용한 병동 간호사의 환자간호 경험" 간호행정학회 23 (23): 76-89, 2017

      55 김진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성과 및 향후 정책방향" 간호행정학회 23 (23): 312-322, 2017

      56 이슬, "간호 인력 부족한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확대 정책은 안녕하십니까"

      57 厚生労働省, "事業場における治療と職業生活の両立支援のためのガイドライン平成28年2月 厚生労働省"

      58 조필현, "[The만나다] “해외원정치료 떠나는 신경내분비종양 환자들, 너무 안타깝다”"

      59 박병우, "Unmet Needs of Breast Cancer Patients Relative to Survival Duration" 연세대학교의과대학 53 (53): 118-125, 2012

      60 Aziz, N. M., "Trends and advances in cancer survivorship research: challenge and opportunity" 13 (13): 248-266, 2003

      61 Nelson, D., "The social care needs of people affected by cancer: a qualitative study in Lincolnshire" College of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Lincoln 2015

      62 National Cancer Survivorship Initiative, "The national cancer survivorship initiative vision" Department of Health 2010

      63 Bloom, J. R., "Surviving and thriving?" 11 (11): 89-92, 2002

      64 Rashedi, A. S., "Survey of fertility preservation options available to patients with cancer around the globe" 4 : 1-16, 2017

      65 Mullan, F., "Seasons of Survival : Reflections of a Physician with Cancer" 313 : 270-273, 1985

      66 Kitzinger, J., "Qualitative research : introducing focus groups" 311 (311): 299-302, 1995

      67 Kim. Y., "Needs assessment of family caregivers of cancer survivors : three cohorts comparison" 19 : 573-582, 2010

      68 Bernard, D. S., "National estimates of out-of-pocket health care expenditure burdens among nonelderly adults with cancer : 2001 to 2008" 29 : 2821-2826, 2011

      69 Choi, K. S., "Job loss and reemployment after a cancer diagnosis in Koreans-a prospective cohort study" 16 (16): 205-213, 2007

      70 Shin, J., "Influence of time lapse after cancer diagnosis on the association between unmet needs and quality of life in familycaregivers of Korean cancer patients" e13089-, 2019

      71 Kim, S., "Impact of the policy of expanding benefit coverage for cancer patients o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cross different income groups in South Korea" 138 : 241-247, 2015

      72 Mistry A., "How do the information needs of cancer patients differ at different stages of the cancer journey? A cross-sectional survey" 1 (1): 1-10, 2010

      73 Hewitt, M., "From cancer patient to cancer survivor: lost in transition" National Academies Press 2005

      74 Loren, A. W., "Fertility preservation for patients with cancer :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update" 31 (31): 2500-2510, 2013

      75 Colaizzi, P. F.,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8-71, 1978

      76 Millar, B., "Emerging adulthood and cancer : how unmet needs vary with time-since-treatment" 8 (8): 151-158, 2010

      77 Marcus, A. D., "Debate heats up on defining a cancersurvivor"

      78 Choi, J. W., "Changes in economic status of households associated with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for cancer in South Korea" 15 (15): 2713-2717, 2014

      79 Peccatori, F. A., "Cancer, pregnancy and fertility :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up" 24 (24): 160-170, 2013

      80 Bakker, C. M., "Cancer survivors’ needs during various treatment phases after multimodal treatment for colon cancer - is there a role for eHealth?" 18 (18): 1207-, 2018

      81 Phillips, J. L., "Cancer as a chronic disease" 17 (17): 47-50, 2010

      82 김수현, "Cancer Survivorship에 대한 이해와 전망" 대한종양간호학회 10 (10): 19-29, 2010

      83 Bloom, J. R., "Addressing the needs of young breast cancer survivors at the 5 year milestone : can a short-term, low intensity intervention produce change?" 2 (2): 190-204, 2008

      84 변용찬, "3단계 장애범주 확대방안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85 중앙암등록본부, "2015년 국가암등록통계 참고 자료"

      86 이한솔, "10만 병상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정책 빨간불"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