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경찰관들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Police Officials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Metropolitan Autonomous Police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3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a desirable direct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front-line police officers on the introduction of the metropolitan autonomous police system under discuss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details such as personnel, organization, political neutrality, division of duties, and finances within the regional autonomous police system. A survey was conducted on 1,227 national police officers nationwide to find out about the shortcomings and advantage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rganizational justice and commitment, pros and con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investigated preferences and intentions to turnover among the operating types of the police system. SPSS 18 was used for the calculation and analysis of the basic statistics. The analysis methods were factor analysis and logistic analysis.
      Logistic analysis shows that those who are more aware of the shortcoming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re more likely to oppos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urity service and the labor cost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recognized,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oppose it. Women are more likely to oppos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an men, and the older are more likely to suppor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Meanwhile, when the intention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was analyzed as a dependent variable, those who recognized more about the shortcomings of autonomous police system were more likely not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In addition, police officers who perceiv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urity service and labor costs for autonomous police were more likely not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Regarding organizational fairness, the higher recognition of interaction fairness and procedural justice, the more likely it would not be to turn away. The higher the level of normative and emotional commitment, the more likely they would not turn to autonomous police, and the older they were, the higher their intention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wo policy for police. First, it is necessary to rethink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f there is no solution to the fundamental problem represent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Second, for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 active persuasion process for officer is essential.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a desirable direct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front-line police officers on the introduction of the metropolitan autonomous police system under discuss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a desirable direct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front-line police officers on the introduction of the metropolitan autonomous police system under discuss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details such as personnel, organization, political neutrality, division of duties, and finances within the regional autonomous police system. A survey was conducted on 1,227 national police officers nationwide to find out about the shortcomings and advantage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rganizational justice and commitment, pros and con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investigated preferences and intentions to turnover among the operating types of the police system. SPSS 18 was used for the calculation and analysis of the basic statistics. The analysis methods were factor analysis and logistic analysis.
      Logistic analysis shows that those who are more aware of the shortcoming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re more likely to oppos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urity service and the labor cost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recognized,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oppose it. Women are more likely to oppos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an men, and the older are more likely to suppor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Meanwhile, when the intention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was analyzed as a dependent variable, those who recognized more about the shortcomings of autonomous police system were more likely not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In addition, police officers who perceiv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urity service and labor costs for autonomous police were more likely not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Regarding organizational fairness, the higher recognition of interaction fairness and procedural justice, the more likely it would not be to turn away. The higher the level of normative and emotional commitment, the more likely they would not turn to autonomous police, and the older they were, the higher their intention to turn to autonomous polic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wo policy for police. First, it is necessary to rethink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f there is no solution to the fundamental problem represent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Second, for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 active persuasion process for officer is essenti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 안에 대한 일선 경찰관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바람직한 방향의 자치경찰제 도입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 1,227명의 국가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치 경찰 제도의 장점·단점, 조직공정성과 몰입, 자치경찰제 안에 대한 찬·반 의견, 이직 의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본적인 통계 산출 및 분석은 SPSS 18을 이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요인 분석,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다.
      로지스틱 분석 결과, 자치경찰제도의 단점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반대 가능성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자치 경찰에 대한 치안 서비스와 인건비 차이를 더 많이 인식할수록 자치 경찰에 반대할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었다. 여성이 남성보다 자치경찰제도에 반대할 가능성이 크며, 연령이 많아질수록 자치경찰제도에 대해 찬성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치 경찰로의 이직 의도를 종속변수로 분석하였을 때는, 자치경찰제도의 단점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 자치 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자치 경찰에 대한 치안 서비스와 인건비의 차이가 크다고 인식하는 경찰공무원일수록 자치 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커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조직공정성과 관련해서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컸다. 규범·정서적 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자치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컸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치경찰로 이직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는 2가지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이 나타내는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이 없다면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에 대한 적극적인 설득의 과정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 안에 대한 일선 경찰관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바람직한 방향의 자치경찰제 도입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 1,227명의 국가 경찰공무원을...

      이 연구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 안에 대한 일선 경찰관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바람직한 방향의 자치경찰제 도입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 1,227명의 국가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치 경찰 제도의 장점·단점, 조직공정성과 몰입, 자치경찰제 안에 대한 찬·반 의견, 이직 의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본적인 통계 산출 및 분석은 SPSS 18을 이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요인 분석,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다.
      로지스틱 분석 결과, 자치경찰제도의 단점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반대 가능성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자치 경찰에 대한 치안 서비스와 인건비 차이를 더 많이 인식할수록 자치 경찰에 반대할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었다. 여성이 남성보다 자치경찰제도에 반대할 가능성이 크며, 연령이 많아질수록 자치경찰제도에 대해 찬성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치 경찰로의 이직 의도를 종속변수로 분석하였을 때는, 자치경찰제도의 단점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 자치 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자치 경찰에 대한 치안 서비스와 인건비의 차이가 크다고 인식하는 경찰공무원일수록 자치 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커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조직공정성과 관련해서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컸다. 규범·정서적 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자치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컸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치경찰로 이직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는 2가지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이 나타내는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이 없다면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에 대한 적극적인 설득의 과정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정, "효율적인 자치경찰제 운영을 위한 제언"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7 (7): 179-200, 2019

      2 황문규, "현 시점에서 도입가능한 자치경찰제 모델 구상과 과제" 한국경찰연구학회 17 (17): 249-280, 2018

      3 오재환, "특별사법경찰관리로서 자치경찰의 역할에 관한 연구- 제주자치경찰의 경험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9 : 81-102, 2017

      4 이재현, "책임 수사 기대·국가경찰 유지 도움?…수사 경과 시험대거응시"

      5 이훈재, "참여정부의 자치경찰법안과 문재인정부자치경찰 도입안의 주요쟁점 심층비교분석" 한국경찰연구학회 17 (17): 173-202, 2018

      6 조성규, "지방자치의 본질과 자치경찰제 논의" 행정법이론실무학회 (50) : 83-108, 2017

      7 박병욱, "지방자치분권시대 지방경찰청과 자치경찰의 임무분담"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57-105, 2018

      8 전호성, "조직침묵, 직무몰입, 조직공정성, 이직의도 간 구조적 관계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20 (20): 87-112, 2018

      9 장재협, "조직공정성 인식과 직무만족,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 초과근무 보상과 관련한 호텔주방종사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23 (23): 397-425, 2019

      10 김성찬, "조직 내 인력구조에서 오는 승진 불공정성이 이직 의도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12 (12): 103-127, 2019

      1 박현정, "효율적인 자치경찰제 운영을 위한 제언"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7 (7): 179-200, 2019

      2 황문규, "현 시점에서 도입가능한 자치경찰제 모델 구상과 과제" 한국경찰연구학회 17 (17): 249-280, 2018

      3 오재환, "특별사법경찰관리로서 자치경찰의 역할에 관한 연구- 제주자치경찰의 경험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9 : 81-102, 2017

      4 이재현, "책임 수사 기대·국가경찰 유지 도움?…수사 경과 시험대거응시"

      5 이훈재, "참여정부의 자치경찰법안과 문재인정부자치경찰 도입안의 주요쟁점 심층비교분석" 한국경찰연구학회 17 (17): 173-202, 2018

      6 조성규, "지방자치의 본질과 자치경찰제 논의" 행정법이론실무학회 (50) : 83-108, 2017

      7 박병욱, "지방자치분권시대 지방경찰청과 자치경찰의 임무분담"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57-105, 2018

      8 전호성, "조직침묵, 직무몰입, 조직공정성, 이직의도 간 구조적 관계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20 (20): 87-112, 2018

      9 장재협, "조직공정성 인식과 직무만족,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 초과근무 보상과 관련한 호텔주방종사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23 (23): 397-425, 2019

      10 김성찬, "조직 내 인력구조에서 오는 승진 불공정성이 이직 의도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12 (12): 103-127, 2019

      11 최은하, "제주자치경찰의 특별사법경찰사무" 경찰대학 17 (17): 65-88, 2017

      12 이훈재, "제주자치경찰의 위상제고를 위한 수사기능강화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6 (16): 159-190, 2017

      13 김원중, "제주자치경찰의 법집행에 관한 변천 검토" 유럽헌법학회 (28) : 319-343, 2018

      14 조성제, "자치경찰제의 논의의 검토와 향후 과제" 한국치안행정학회 17 (17): 229-248, 2020

      15 허경미, "자치경찰제법(안)상 자치단체장의 자치권한 행사 제한과 관련된 쟁점" 경찰학연구소 14 (14): 277-303, 2019

      16 박성수,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경찰공무원의 인식조사에 관한 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9 (9): 123-141, 2007

      17 김상호,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대한 시민태도 영향요인 분" 치안정책연구소 33 (33): 103-138, 2019

      18 곽영길, "자치경찰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소고" 치안정책연구소 33 (33): 67-102, 2019

      19 박상민, "우리 실정에 맞는 자치경찰제 도입 방안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32 (32): 141-176, 2018

      20 서울시, "서울시민, 자차경찰제 도입 긍정적이지만 중립성 확보는과제" 민생사법수사단 2017

      21 서울시, "서울시, 자치경찰제 도입 관련 2차 설문조사 결과 발표"

      22 이지선, "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사의 성격 특성과 조직지원 및 조직공정성 인식의 영향력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1 (21): 257-285, 2019

      23 황문규, "문재인 정부의 광역단위 자치경찰제에 관한 고찰" 한국지방자치학회 29 (29): 23-54, 2017

      24 송무빈, "문재인 정부 자치경찰제안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한양법학회 30 (30): 67-93, 2019

      25 자치분권위원회, "문재인 정부 자치경찰제 도입 초안 공개"

      26 김하경, "대한민국 자치경찰제의 현재 그리고 미래" 11 (11): 3-22, 2018

      27 이영남, "권력기관 개편안에 따른 자치경찰제도의 실시방향" 한국경찰연구학회 17 (17): 145-172, 2018

      28 임창호, "경찰관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찰승진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18 (18): 55-88, 2016

      29 문유석, "경찰관의 업무적 자아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정부학회 13 (13): 83-102, 2010

      30 이정훈, "경찰공무원의 역할과 업무환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 - 수사과와 비수사과의 다중집단분석 (Multi-Group Analysis)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14 (14): 3-32, 2012

      31 황문규, "경찰개혁: ‘경찰을 경찰답게’ 만들기 위한 경찰조직 재설계" 법학연구소 39 : 293-324, 2017

      32 경찰청, "경찰 개혁위원회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권고안 발표"

      33 Bies. Robert. J., "Research on negotiations in organization" JAI Press 1986

      34 Greenberg, Jerald, "Organizational Justic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16 : 399-432, 1990

      35 Thurston, Paul. W., "Justice perceptions of performance appraisal practices" 25 (25): 201-228, 2010

      36 Greenberg. Jerald, "Employee Theft ac A Reaction to Underpayment Inequity" 76 : 845-855, 1990

      37 Meyer, John. P., "A three 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1 (1): 61-89,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5-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7 0.78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