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회계 직종 근로자의 주요 직무환경 요인과 직무만족ㆍ조직몰입의 영향 관계 분석 = Major Job Environmental Factors for Accounting Occupation Workers and Analyzation of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among Job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828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irstly analyzed the main job environment factors affecting work satisfaction and work position satisfaction of accounting occupation workers, and secondly, analyz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job environment of the accounting occupation worker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the analysis results, among job environments, the main factors affecting work satisfaction were wage or income, job stability,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ity, and welfare and benefits, of which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 development had the greatest effect. The main job environment factors for work position satisfaction were wage or income, working environment, working time, fairness of employee evaluation, and welfare and benefits, of which welfare and benefits had the greatest effect.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alysis of job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d a much greater effect than other control variables such as employment type,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ing style, etc.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In conclusion, the better the job environment of accounting occupation workers, the greater the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hich is felt while performing accounting tasks, can increase the intensit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as attachment to work.
      번역하기

      This study firstly analyzed the main job environment factors affecting work satisfaction and work position satisfaction of accounting occupation workers, and secondly, analyz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job environment of the accounting occupa...

      This study firstly analyzed the main job environment factors affecting work satisfaction and work position satisfaction of accounting occupation workers, and secondly, analyz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job environment of the accounting occupation worker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the analysis results, among job environments, the main factors affecting work satisfaction were wage or income, job stability,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ity, and welfare and benefits, of which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 development had the greatest effect. The main job environment factors for work position satisfaction were wage or income, working environment, working time, fairness of employee evaluation, and welfare and benefits, of which welfare and benefits had the greatest effect.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alysis of job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d a much greater effect than other control variables such as employment type,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ing style, etc.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In conclusion, the better the job environment of accounting occupation workers, the greater the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hich is felt while performing accounting tasks, can increase the intensit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as attachment to 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첫째, 회계 직종 근로자의 일 만족과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직무환경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둘째, 회계 직종 근로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9개의 직무환경 중 일 만족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은 임금 또는 소득, 취업의 안전성, 개인의 발전가능성, 복지후생이었으며, 이 중 개인의 발전가능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일자리 만족에 대한 주요 직무환경 요인은 임금 또는 소득, 근로환경, 근로시간, 인사고과의 공정성, 복지후생이었으며, 이 중 복지후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일만족과 일자리 만족 모두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은 임금 또는 소득과 복지후생 2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회계직종 근로자의 직무환경․직무만족․조직몰입의 영향 관계 분석에서는, 직무환경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모두에 매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고용형태, 조직문화, 근무동기 등의 다른 통제변수와 비교해서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친 영향도 매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
      결론적으로, 회계직종 근로자의 직무환경이 양호할 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크고, 회계 직무를 수행하면서 느끼는 직무만족은 직장에 대한 애착심과 같은 조직몰입의 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일과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직무환경 요인 분석 결과는 직무환경 개선을 고려하는 조직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첫째, 회계 직종 근로자의 일 만족과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직무환경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둘째, 회계 직종 근로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

      본 연구는 첫째, 회계 직종 근로자의 일 만족과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직무환경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둘째, 회계 직종 근로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9개의 직무환경 중 일 만족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은 임금 또는 소득, 취업의 안전성, 개인의 발전가능성, 복지후생이었으며, 이 중 개인의 발전가능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일자리 만족에 대한 주요 직무환경 요인은 임금 또는 소득, 근로환경, 근로시간, 인사고과의 공정성, 복지후생이었으며, 이 중 복지후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일만족과 일자리 만족 모두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은 임금 또는 소득과 복지후생 2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회계직종 근로자의 직무환경․직무만족․조직몰입의 영향 관계 분석에서는, 직무환경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모두에 매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고용형태, 조직문화, 근무동기 등의 다른 통제변수와 비교해서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친 영향도 매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
      결론적으로, 회계직종 근로자의 직무환경이 양호할 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크고, 회계 직무를 수행하면서 느끼는 직무만족은 직장에 대한 애착심과 같은 조직몰입의 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일과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직무환경 요인 분석 결과는 직무환경 개선을 고려하는 조직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현대, "회계담당자의 내적 환경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9 (9): 121-139, 2008

      2 이정기, "회계담당자의 내적 환경과 조직충성이 회계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회계학회 (39) : 319-338, 2011

      3 노미현, "회계·경리 사무원의 근무환경 실태와 개인 및 근무 특성별 차이 분석" 한국상업교육학회 31 (31): 109-136, 2017

      4 고미애, "호텔종사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239-251, 2015

      5 서철현, "호텔기업의 복리후생제도가 종사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타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131-152, 2012

      6 박소정, "호텔기업 내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41 (41): 85-103, 2016

      7 박계영, "호텔 종사원의 직무환경이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8 (28): 213-225, 2014

      8 박영기, "호텔 아웃소싱 근로자의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2 (22): 21-35, 2007

      9 김호정, "행정조직과 기업조직의 조직문화 비교" 한국행정학회 38 (38): 49-67, 2004

      10 박인주, "항공사 여객운송직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101-116, 2017

      1 신현대, "회계담당자의 내적 환경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9 (9): 121-139, 2008

      2 이정기, "회계담당자의 내적 환경과 조직충성이 회계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회계학회 (39) : 319-338, 2011

      3 노미현, "회계·경리 사무원의 근무환경 실태와 개인 및 근무 특성별 차이 분석" 한국상업교육학회 31 (31): 109-136, 2017

      4 고미애, "호텔종사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239-251, 2015

      5 서철현, "호텔기업의 복리후생제도가 종사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타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131-152, 2012

      6 박소정, "호텔기업 내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41 (41): 85-103, 2016

      7 박계영, "호텔 종사원의 직무환경이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8 (28): 213-225, 2014

      8 박영기, "호텔 아웃소싱 근로자의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2 (22): 21-35, 2007

      9 김호정, "행정조직과 기업조직의 조직문화 비교" 한국행정학회 38 (38): 49-67, 2004

      10 박인주, "항공사 여객운송직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101-116, 2017

      11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 2007"

      12 고용노동부, "한국직업전망 2017"

      13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패널조사"

      14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직업분류 2018 설명자료"

      15 김혜숙, "학교생활만족 및 학업성취 설명 모형의 탐색 -물리적․작용적 학교환경, 소진경험과 자기조절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2 (12): 105-121, 2005

      16 박영옥,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11 (11): 111-135, 2015

      17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18 김상욱,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의 행태학적 결정요인: 전국 패널자료를 사용한 GLM 및 GEE 추정" 한국사회학회 36 (36): 3-29, 2002

      19 김재영, "지방 세무직 공무원의 직무환경과 직업의식: 인천광역시 일반직-세무직 공무원 비교" 33 (33): 163-181, 1999

      20 박희봉,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Hofstede의 문화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2 (32): 345-364, 2018

      21 박경환,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고용형태와 선택동기 자발성 여부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도의 차이 분석" 73-85, 2015

      22 김영락, "임금근로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도, 불평행동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회계학회 (27) : 51-73, 2010

      23 이훈영, "이훈영 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도서출판 청람 2012

      24 이희필, "유통업체 정규직/비정규직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3 (3): 89-123, 2008

      25 김기영, "외식기업의 조직문화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8 (28): 179-189, 2014

      26 양재영, "여행사 직원들의 여가만족이 직장만족과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3 (23): 147-161, 2014

      27 박영진, "여행기업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직장 내에서 직원들의 직업존중감과 직장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28 이환공, "세무회계사무소 여성 근로자의 교육훈련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원 1 (1): 33-39, 2016

      29 유시정, "서비스 기업의 의사소통 환경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173-196, 2006

      30 홍승희,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 11 (11): 25-54, 2014

      31 최우석, "미용산업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1 (21): 805-823, 2008

      32 이영민, "기업의 인적자원 환경이 재직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교육학회 10 (10): 59-78, 2008

      33 조형래, "기업가지향성과 조직문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 9 (9): 345-371, 2012

      34 김주엽,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직무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 글로벌경영학회 11 (11): 151-178, 2014

      35 나홍규, "근무환경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 커피전문점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한국관광산업학회 42 (42): 43-64, 2017

      36 김영수, "공정성 지각이 직무만족·조직몰입·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새마을금고 구성원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 11 (11): 135-159, 2014

      37 이상희, "고용형태에 따른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영향 관계: 프랜차이즈 한식당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8 (28): 129-140, 2014

      38 정재우, "고용형태에 따른 일자리 만족도-일자리 선택의 자발성 측면에서" 83-97, 2016

      39 이용기, "개인-환경 적합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특1급 호텔 식음료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0 (30): 277-297, 2006

      40 문영주, "개인 및 조직 수준의 일자리 질이 조직몰입과 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 부산 지역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20 (20): 1-23, 2013

      41 Vroom V. H., "Work and Motivation" Jhon wiley & Sons 1964

      42 Weng, Q. X.,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Growth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77 (77): 391-400, 2010

      43 Herzberg F, "The Motivation to Work" Jhon wiley 1959

      44 Mowday R. T.,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17 : 224-247, 1979

      45 Gul F. A., "The Effect of Management Accounting Systems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on Small Business Managers’Performance" 21 : 57-67, 1991

      46 Faisal M. N., "Modeling the Enable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20 (20): 25-46, 2014

      47 이효익, "IFRS 회계원리" 신영사 2017

      48 Locke E. 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 McNally 1297-1350, 1976

      49 Poter L., "Behavior in Organization" McGraw-Hill 1975

      50 Neter, J., "Applied Linear Statistical Models" Irwin 1985

      51 Brown S. P.,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lesperson Job Satisfaction : A Meta-analysis and Assessment of Causal Effects" 30 (30): 63-77, 1993

      52 Weiss H.M, "Affective Events Theory : A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Structur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ffective Experiences at Work" 18 : 293-321, 1996

      53 Laschinger H. K. S.,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mpact of Workplace Empowerment on Work Satisfaction" 25 (25): 527-545,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국제경상교육학회 -> 글로벌경영학회
      영문명 : Korea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Education -> Academic Society of Global Business Administration
      KCI등재
      2015-02-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國際經商敎育硏究 -> 글로벌경영학회지
      외국어명 : International Business Education Review -> Global Business Administration Review
      KCI등재
      2013-07-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4 0.5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