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research team have tried to study centering around 'our' constitutional history transcended the bounds of adjacent sciences or internal of law through □□ The Study of Korean Modern Constitutional History □□. We made an analysis the modern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5396
-
200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ur research team have tried to study centering around 'our' constitutional history transcended the bounds of adjacent sciences or internal of law through □□ The Study of Korean Modern Constitutional History □□. We made an analysis the modern ...
Our research team have tried to study centering around 'our' constitutional history transcended the bounds of adjacent sciences or internal of law through □□ The Study of Korean Modern Constitutional History □□. We made an analysis the modern judicial construction and evolution from the viewpoint of a research of constitutional history on the research subject of "The Construction of Judicial System and Democratic Constitutionalism". We collected internal and external materials at large for studying our research subject. The core materials we have collected are ① The file of an established regulation of prosecution(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Service, 1945-1961) ② the judicial bureau' documents of the Governors-General in Chosun(for example, the Ordinance about Chosun lawyer, etc) ③ the document file related with judicial system of USAGIK in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uthority of U.S.A.[RG 554, Entry no. 2516(A1), 1376(A1), 1379(A1), 1396(A1), 1401(A1), 1403(A1), etc.]. Besides we collected and pigeonholed various data(journal or magazine materials, law literatures, text of court decision and so forth). We have a material series in contemplation collecting materials related with judicial system under one cover. Our research team are proud that we promoted the study about korean modern judicial history to a higher level through our study. We examined new facts and political line of connection included in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judicial system making efficient use of the existing study. materials. "COURT ORGANIZATION LAW" of United States Army Government Period and after Government Establishment didn't mean a special results in that political process. But there were a hot conversation around the power of the judicature and constitution of the judicial power and it did again reverse for that background. American jurists were judge advocates or law office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INTERIM COURT ORGANIZATION LAW". We have to grasp lineage of various issues existing in the dark side of opposites about reformation of judicial system at that time. This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rowing a light o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Martial Law System, correlation between Martial Law and Sedition Act, and offered some new basement relative to unconstitutionality denunciation of KOREAN COAST GUARD LAW. We also illustrated a chain of situation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ature from analyzing the leading political circumstances in the National Foundation period. Our research team brought all our energies to bear on explaining the construction of law systematical side in judicial system and politicalㆍsocial background related them on the basis of our study purpose. Although that, we didn't realize satisfactory study about the operation realities of the judicature, concrete execution of law and analysis of cases. This is a limit of our study and a problem awaiting solution in the future. Our research team are continuously to carry on our study on judicial history as constitutional history on the basis of our study results duly recognizing this problem. So we will make a suggestion practical subject of korean democratic constitutionalism through our constant research.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팀은 이번 연구과제를 통하여 헌정사연구의 관점에서 근현대 사법체제의 형성과 전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과제의 수행을 위하여 국내외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하였다. 핵심...
본 연구팀은 이번 연구과제를 통하여 헌정사연구의 관점에서 근현대 사법체제의 형성과 전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과제의 수행을 위하여 국내외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하였다. 핵심자료로 ① 국가기록원 검찰예규철(1945-1961년 분), ② 조선총독부 법무국문서(조선변호사령, 예방구금, 1940-1년 예산요구철 등), ③ 미국 국립문서관(U.S. NARA)에 소장된 미군정청 사법관계 문서철(RG 554, Entry no. 2516(A1), 1376(A1), 1379(A1), 1396(A1), 1401(A1), 1403(A1)로 분류된 문서상자) 등을 수집하였다. 이외에도 국내의 신문․잡리자료, 법률문헌, 판결문 등을 수집 또는 정리하였다. 이들 자료중 법원조직법과 검찰청법, 군사법제도 관련 자료들을 묶어 자료집을 발간할 계획이다.
본 연구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연구팀은 한국의 근현대 사법사 연구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고 감히 자부한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법령집, 국내의 신문․잡지자료, 법률문헌을 위주로 진행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위의 자료들을 활용하여 새로운 사실들을 밝혀내고 미군정기와 건국기의 사법제도의 재편과정에 담겨있는 복잡한 정치적 맥락을 드러낼 수 있었다.
미군정기의 과도법원조직법과 정부수집후 제정된 법원조직법은 당시의 정치과정에서 특별히 두드러진 결과물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수면 아래에서는 사법부의 권한과 사법권력의 구성을 둘러싼 치열한 협상이 벌어지고 정치지형의 변화와 맞물려 반전이 거듭되었다. 과도법원조직법의 입법에서 사법부고문인 미국인 법률가들의 역할은 예상하였던 것 이상으로 중요하였다. 대법원의 구성문제는 단순히 최고법원의 법관의 자격과 충원방식을 정하는 것에 그치지 않았다. 관여자들은 모두 이 문제가 사법부문 내의 정치적 분파의 힘을 통제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고 인식하였다. 정부수립후에는 정권과 대법원의 관계설정이라는 문제가 직접적으로 제기되었다. 아울러 이 시기의 사법권 독립론, 검찰독립론, 법원․검찰조직의 재편논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방 이후의 새로운 지식과 논의뿐만 아니라 일본적 사법체제와 결합되었던 과거의 것들에도 주목해야 한다. 그러할 때, 이 시기의 사법제도개혁에 관한 표면적 견해대립의 이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쟁점들의 계보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충분하지는 않지만 미군 관할의 군정재판제도의 실제모습과 국방경비법의 제정과정 및 법규상의 지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군사법제도의 정립과정, 군사법(軍事法)과 치안법의 상호관계를 해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국방경비법의 위헌논란을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해 준다. 또한 건국기의 주요 정치사건들을 분석함으로써, 반공독재체제가 정립되는 과정에서 사법권의 독립 및 그 아류격인 검찰권의 독립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었고, 정치와 사법, 정부와 법원․검찰, 정권과 사법관료가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관계를 설정해 나갔는지를 예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근현대 사법체제의 형성과정을 밝힌다는 연구목적에서 국내외의 자료를 활용하여 사법체제의 법제적 측면의 형성과 그것에 관련된 정치적․사회적 배경의 설명에 집중하였다. 때문에 사법의 운영실태, 구체적인 법집행과 사례분석에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것은 본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