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와 몽골간의 6차에 걸친 전쟁 중에 몽골군이 고려에 의해 패퇴하여 철수 한 것은 2차 전쟁이 유일하다. 2차 전쟁에 대한 고려 승전의 결정적인 전투가 金允侯가 참전했던 處仁城戰鬪(1232...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64779
2019
-
對蒙抗爭期 ; 金允侯 ; 處仁城戰鬪 ; 防護別監 ; 忠州城戰鬪 ; 東北面兵馬使 ; 寒溪山城戰鬪 ; 武經總要 Goryeo Dynasty s Wars against Mongolian Invasion ; Kim Yun-Hoo ; Cheoinseong Fortress battle ; Mountain fortress guard officer ; Chungjuseong Fortress battle ; Military commander of a Northeast area ; Hangyesanseong Fortress battle ; Wujing Zongyao
900
KCI등재
학술저널
121-152(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와 몽골간의 6차에 걸친 전쟁 중에 몽골군이 고려에 의해 패퇴하여 철수 한 것은 2차 전쟁이 유일하다. 2차 전쟁에 대한 고려 승전의 결정적인 전투가 金允侯가 참전했던 處仁城戰鬪(1232...
고려와 몽골간의 6차에 걸친 전쟁 중에 몽골군이 고려에 의해 패퇴하여 철수 한 것은 2차 전쟁이 유일하다. 2차 전쟁에 대한 고려 승전의 결정적인 전투가 金允侯가 참전했던 處仁城戰鬪(1232년 12월)이며, 이 전투에서 몽골군 총사령관 撒禮塔이 사살되었다. 김윤후는 대몽항쟁기에 처인성전투와 5차 전쟁에서 防護別監으로 임명되어 忠州城戰鬪를勝戰(1253년 10월)으로 이끈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김윤후가 1259년 1월에 임명된 東北面兵馬使재임기간 동안 발생한 麟蹄寒溪山城勝戰(1259년 2월)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 당시 기록이 빈약하여 처인성전투와 충주성전투, 한계산성전투의 자세한 전황을 파악하기 어렵다. 본고는 사료의 빈곤을 보완할 수 있는 대표적인 현장의 자료인 성곽과 11세기에 발간된 北宋의 兵書인 武經總要 와 몽골이 서하와 금, 송나라의 전쟁과정을 기록한 자료들을 통해 당시의 전투상황을 비교 검토하여, 처인성과 충주성승전의 전황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인제 한계산성의 승전에 대한 의의를 도출해냈다. 필자는 김윤후가 군사조직의 리더로서 전투상황 속에서 어떠한 해결방안을 도출해 내고, 어떻게 조직을 이끌어서 성공적인 결과물을 창출해냈는지, 그리고 승전 이후 하부조직에 대한 적절한 공적의 분배 등을 통해 군지도자로서의 리더십(leadership)과 관련된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ourse of six wars between Goryeo Dynasty and Mongolia, the Mongol army was only defeated and withdrew in the 2nd War. The crucial battle for Goryeo to win this war was the Cheoinseong Fortress battle, in which a military officer, Kim Yun-Hoo, ...
In the course of six wars between Goryeo Dynasty and Mongolia, the Mongol army was only defeated and withdrew in the 2nd War. The crucial battle for Goryeo to win this war was the Cheoinseong Fortress battle, in which a military officer, Kim Yun-Hoo, took part and the Mongol military commander Salietai was killed.(December 1232) Kim Yun-Hoo, appointed as the mountain fortress guard officer during Goryeo s 5th war against Mongolia(October 1253), is famous for achieving victory in the Battle of Chungjuseong Fortress in this period. However, the fact that he led Inje Hangyesanseong Fortress battle in triumph during his service, as a military commander of the Northeast area since 1259, is not well known. The documentation regarding that time is so lacking that it is tough to grasp the detailedsituation of the battles in Cheoinseong Fortress and Chungjuseong Fortres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data and determine the war situation in detail, this article closely investigates the castles themselves; North Song Dynasty s military compendium Wujing Zongyao published in the 11th century; Mongol s record of wars against Seoha, the Jin Dynasty, and the Song Dynasty. The conclusion illuminates the unexplained significance of the successful war of the Hangyesanseong Fortress battle. This paper examines what solutions Kim Yun-Hoo, as a leader of a military organization, found during the battles, how he led the organization to successful outcomes, how he appropriately distributed the credit of the victories to those lower in his organization. I hope it opens up a new horizon in the field of research related to Kim Yun-Hoo s leadership.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충북대 중원문화연구소, "龍仁 處仁城-試掘調査 報告書" 2002
2 차용걸, "충주지역의 항몽과 그 위치" 1993
3 김호동, "집사-징기스칸기" 사계절 2003
4 강원대학교 박물관, "인제 한계산성 학술조사 보고서" 2012
5 尹龍爀, "여몽전쟁과 강화도성 연구" 혜안 2011
6 尹龍爀, "여몽전쟁과 1259년 한계산성 전투 한계산성의 역사적 성격과 조사 보존방안" 2015
7 경기도문화재연구원, "북한산성 성랑지 및 성벽 학술 발굴조사 보고서" 2015
8 박원길, "몽골비사의 종합적 연구" 민속원 2006
9 尹龍爀, "김현길교수 정년기념 향토사학 논총" 1997
10 심재석, "김윤후, 처인성, 충주산성 그리고 민" 16 : 1993
1 충북대 중원문화연구소, "龍仁 處仁城-試掘調査 報告書" 2002
2 차용걸, "충주지역의 항몽과 그 위치" 1993
3 김호동, "집사-징기스칸기" 사계절 2003
4 강원대학교 박물관, "인제 한계산성 학술조사 보고서" 2012
5 尹龍爀, "여몽전쟁과 강화도성 연구" 혜안 2011
6 尹龍爀, "여몽전쟁과 1259년 한계산성 전투 한계산성의 역사적 성격과 조사 보존방안" 2015
7 경기도문화재연구원, "북한산성 성랑지 및 성벽 학술 발굴조사 보고서" 2015
8 박원길, "몽골비사의 종합적 연구" 민속원 2006
9 尹龍爀, "김현길교수 정년기념 향토사학 논총" 1997
10 심재석, "김윤후, 처인성, 충주산성 그리고 민" 16 : 1993
11 金虎俊, "고려의 대몽항쟁과 축성" 서경문화사 2017
12 이정기, "고려시기 양계 통치체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3 이기백, "고려병제사연구" 일조각 2011
14 정은정, "고려말 東北面 경계의 공간분절과 多層的 권력" 부경역사연구소 (39) : 75-108, 2016
15 김호준, "고려 대몽항쟁기 인제 한계산성의 성격과 위상" 한국문물연구원 (7) : 2017
16 尹龍爀, "高麗對蒙抗爭史硏究" 一志社 1991
17 "高麗史節要"
18 "高麗史"
19 김호준, "高麗 對蒙抗爭期의 築城과 入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20 신용민, "韓國城郭硏究의 新傾向 -한국성곽학회 초대감사 심정보교수 퇴임기념 논총-" 한국성곽학회 2014
21 "記述"
22 尹龍爀, "蒙古의 2차 侵寇와 處仁城 勝捷 -특히 廣州民과 處仁部曲民의 抗戰에 주목하여-" 29 : 1980
23 김창현, "蒙古의 2차 侵寇와 處仁城 勝捷 -특히 廣州民과 處仁部曲民의 抗戰에 주목하여-" 59 : 2015
24 "燃藜室"
25 "武經總要"
26 "東國李相國集"
27 한영우, "朝鮮初期의 歷史敍述과 歷史認識" (3-2) : 1977
28 "新增東國輿地勝覽"
29 충북문화재연구원, "忠州邑城 學術調査報告書" 2011
30 김호준, "對蒙抗爭期 3次 戰爭과 竹州山城 築城의 變化" 한국문화사학회 (46) : 39-60, 2016
31 柳在城, "對蒙抗爭史" 국방부 군사편찬위원회 1988
32 강재광, "對蒙戰爭期 處仁城勝捷의 성격과 역사적 의미-廣州道 방어 및 部曲民‧僧徒의 항전과 연관하여-" 한국중세사학회 (53) : 225-259, 2018
33 "宣祖實錄"
34 "元史"
35 노명호,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재인식과 한국사학의 과제" 역사학회 (228) : 119-149, 2015
36 강재광, "1232년 李世華의 廣州山城전투 勝捷의 歷史的 意味" 민족문화연구원 (78) : 125-153, 201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59 | 1.72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