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범죄예방환경설계와 공원 주변 지역의 시설환경이 공원의 안전도에 미치는 영향-어린이공원의 안전도 평가에 관한 연구- = Impact of CPTED and Local Facility Environment around Parks on the Safety of Park-A Study on the Safety Assessment of Children's Pa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47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hildren's park is an important place to give children psychological stability. However, in 2018, children's park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C-graded parks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of children's parks by examining CPTED and the local facility environment where the parks are located. The study sites were children's parks that has been received safety grades C and A each in Seoul in 2018. CPTED concepts and urban crime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through related papers and literature,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PTED guidelines were reviewed. Based on the reviewed contents, the CPTED checklist, user behavior survey, and the facility environment of the park areas were analyzed, and results were derived. The results show that both CPTED and the local facility environment where the parks are located affect the safety of children's pa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planning and constructing children's parks.
      번역하기

      A children's park is an important place to give children psychological stability. However, in 2018, children's park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C-graded parks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

      A children's park is an important place to give children psychological stability. However, in 2018, children's park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C-graded parks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of children's parks by examining CPTED and the local facility environment where the parks are located. The study sites were children's parks that has been received safety grades C and A each in Seoul in 2018. CPTED concepts and urban crime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through related papers and literature,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PTED guidelines were reviewed. Based on the reviewed contents, the CPTED checklist, user behavior survey, and the facility environment of the park areas were analyzed, and results were derived. The results show that both CPTED and the local facility environment where the parks are located affect the safety of children's pa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planning and constructing children's par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어린이공원은 아이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중요한 장소이나 2018년도 서울시 내 안전도C등급을 부여받은 공원 중 어린이공원이 절반이상을 차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본 연구는 CPTED와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을 같이 분석하여 어린이공원의 안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지는 2018년도 서울시 내 안전도 C등급과 A등급을 부여받은 어린이공원으로 선정되었다. 관련 논문과 문헌을 통해 CPTED 개념과 도시 범죄특성을 고찰하고 국내외 CPTED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였다. 고찰한 내용을 기반으로 CPTED 체크리스트, 이용자 행태조사,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을 같이 분석하고 종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 공원의 안전도에 있어 CPTED와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 둘 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공원을 계획하고 조성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어린이공원은 아이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중요한 장소이나 2018년도 서울시 내 안전도C등급을 부여받은 공원 중 어린이공원이 절반이상을 차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본 연구는 C...

      어린이공원은 아이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중요한 장소이나 2018년도 서울시 내 안전도C등급을 부여받은 공원 중 어린이공원이 절반이상을 차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본 연구는 CPTED와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을 같이 분석하여 어린이공원의 안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지는 2018년도 서울시 내 안전도 C등급과 A등급을 부여받은 어린이공원으로 선정되었다. 관련 논문과 문헌을 통해 CPTED 개념과 도시 범죄특성을 고찰하고 국내외 CPTED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였다. 고찰한 내용을 기반으로 CPTED 체크리스트, 이용자 행태조사,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을 같이 분석하고 종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 공원의 안전도에 있어 CPTED와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 둘 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공원을 계획하고 조성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철, "지역의 시설환경과 강력범죄발생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찰학회 17 (17): 127-156, 2015

      2 곽명신, "도시의 물리적환경이 범죄유형별 발생시점별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225-236, 2017

      3 강용길, "도시공원의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셉테드학회 2 (2): 1-17, 2011

      4 손지현, "근린공원 CPTED 적용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유형별 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대한토목학회 35 (35): 237-254, 2015

      5 염성진, "공원조성 가이드라인의 CPTED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수원시 공원조성 가이드라인을 사례로-" 한국환경과학회 26 (26): 97-107, 2017

      6 "https://www.auri.re.kr/index.asp"

      7 "http://www.spo.go.kr/site/spo/crimeAnalysis.do"

      8 "http://www.cpted.kr"

      9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50826010014497"

      10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10 110600025&code=620100"

      1 이승철, "지역의 시설환경과 강력범죄발생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찰학회 17 (17): 127-156, 2015

      2 곽명신, "도시의 물리적환경이 범죄유형별 발생시점별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225-236, 2017

      3 강용길, "도시공원의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셉테드학회 2 (2): 1-17, 2011

      4 손지현, "근린공원 CPTED 적용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유형별 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대한토목학회 35 (35): 237-254, 2015

      5 염성진, "공원조성 가이드라인의 CPTED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수원시 공원조성 가이드라인을 사례로-" 한국환경과학회 26 (26): 97-107, 2017

      6 "https://www.auri.re.kr/index.asp"

      7 "http://www.spo.go.kr/site/spo/crimeAnalysis.do"

      8 "http://www.cpted.kr"

      9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50826010014497"

      10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10 110600025&code=620100"

      11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0827000448"

      12 Park, M., "How to Institutionalize CPTED in Korea(IV)-An Application of CPTED Principles for City Parks"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2011

      13 Suwon City,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Parks in Suwon city" Park in Suwon 2016

      14 CPTED Research Information Center, "Guidelines for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ark and Greens 2015

      15 National Police Agency, "Design Guidelines for Preventing Crime" Park 2007

      16 Edmonton City, "Design Guide for a Safer City" Park 1995

      17 Virginia Crime Prevention Associati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lanning Today for a Safer Virginia" Virginia Park 2005

      18 The City of Victoria,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Review of Banfield Park" Banfield Park 2005

      19 City of Federal Way, WA,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hecklist Instructions" FWC Park and Green 2004

      20 National Police Agency,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ark 2005

      21 Natural Crime Prevention Council,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 Singapore Park 2003

      22 송병화, "CPTED원리를 적용한 어린이공원 환경디자인 개선방안 - 주민 의견수렴을 통한 영통 어린이공원을 사례 대상지로-"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 (20): 175-190, 2017

      23 김정민, "CPTED를 적용한 어린이공원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3 (13): 179-192, 2018

      24 강석진, "CPTED관점에서 안전한 공원 조성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29 (29): 125-134, 2013

      25 Oh, M.,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Environment Influencing Crimes-Focusing on 5 Major Crimes-" Hongik University 2011

      26 Baek, S., "A Study on Physical Neighborhood Environment with the Effects on Crime Incidence :Focused on 3 Districts in Seoul" Yonsei University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 휴양및경관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휴양및경관연구 ->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논문집 -> 휴양및경관연구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4 0.407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