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무용교육 = Sociological approach of danc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522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Dance reflects culture of specific era. Dance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 of building culture of certain age, thus it helps us to understand culture of certain periods. Therefore, dance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valuable and the important curriculum of cultural education since ancient Greece. Plat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ance education which can accomplish the soundness of body and spirit. Even in the royal house in monarchy age, dance education was one of the important curriculums of cultural education. These fact shows one the example of relation between dance education and society. However, now a day, dance education cannot admit the cultural stream activel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nk of dance education and sociology, and future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urriculum of dance education start from recreation and ends with creative dance. Buy the way, in the present age, the creative dance education has not been taught properly in public education but has been taught in private lesson. Yoga, Dance sports, and Pilates are good example of private lesson of dance education. There are several reasons but one of the prior problems is teaching methodologies of teachers. The reason is that teaching methodology fails to notice the educational and societal aspect of dance and it only emphasizes the artistic aspect of dance. Therefore, sociological approach of dance education will extend the meaning of dance and explain the various function of dance. Thus, sociological approach of dance is one of the methodologies to show future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번역하기

      SDance reflects culture of specific era. Dance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 of building culture of certain age, thus it helps us to understand culture of certain periods. Therefore, dance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valuable and the important...

      SDance reflects culture of specific era. Dance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 of building culture of certain age, thus it helps us to understand culture of certain periods. Therefore, dance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valuable and the important curriculum of cultural education since ancient Greece. Plat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ance education which can accomplish the soundness of body and spirit. Even in the royal house in monarchy age, dance education was one of the important curriculums of cultural education. These fact shows one the example of relation between dance education and society. However, now a day, dance education cannot admit the cultural stream activel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nk of dance education and sociology, and future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urriculum of dance education start from recreation and ends with creative dance. Buy the way, in the present age, the creative dance education has not been taught properly in public education but has been taught in private lesson. Yoga, Dance sports, and Pilates are good example of private lesson of dance education. There are several reasons but one of the prior problems is teaching methodologies of teachers. The reason is that teaching methodology fails to notice the educational and societal aspect of dance and it only emphasizes the artistic aspect of dance. Therefore, sociological approach of dance education will extend the meaning of dance and explain the various function of dance. Thus, sociological approach of dance is one of the methodologies to show future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무용은 특정한 시대를 표현하고 반영한다. 즉 춤은 우리 역사에 있어서 특정시대의 사회상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또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무용은 고대 그리스부터 그 교육적 가치를 높게 인정받았다. 플라톤은 신체와 정신의 함께 건강할 수 있는 최고의 수단을 무용을 통한 교육으로 보았고, 절대왕권 시대의 왕실에서도 교양수업에 빠지지 않는 것도 바로 무용교육이었다. 이것은 무용교육과 그 사회의 관계를 단편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무용교육은 그 시대의 흐름을 빠르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용교육이 사회와 결부하여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그것을 통해 앞으로 우리 무용교육이 사회 속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검토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학교 교육의 교과과정에 있는 무용교육은 놀이에서 시작되어 창작무용 교육에 이르렀다. 하지만 현 시대의 실제 학교 교육에서는 이러한 창작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도 못하고, 사회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요가나 댄스스포츠, 필라테스와 같은 시간외 수업으로 무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 몇 가지 문제점이 있지만, 우선적인 것은 교사의 문제이다. 즉 이것은 무용이 예술에만 갇혀서 교육적인 면과 사회적인 면을 관가한 결과이다. 이러한 무용의 사회학적 접근은 무용의 의미를 확대시켜주며 무용의 다양한 가능성을 설명해 주는 것으로 무용교육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론의 하나라고 생각되어져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번역하기

      무용은 특정한 시대를 표현하고 반영한다. 즉 춤은 우리 역사에 있어서 특정시대의 사회상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또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무용은 고대 그리스부터 그 ...

      무용은 특정한 시대를 표현하고 반영한다. 즉 춤은 우리 역사에 있어서 특정시대의 사회상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또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무용은 고대 그리스부터 그 교육적 가치를 높게 인정받았다. 플라톤은 신체와 정신의 함께 건강할 수 있는 최고의 수단을 무용을 통한 교육으로 보았고, 절대왕권 시대의 왕실에서도 교양수업에 빠지지 않는 것도 바로 무용교육이었다. 이것은 무용교육과 그 사회의 관계를 단편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무용교육은 그 시대의 흐름을 빠르게 받아들여지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용교육이 사회와 결부하여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그것을 통해 앞으로 우리 무용교육이 사회 속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검토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학교 교육의 교과과정에 있는 무용교육은 놀이에서 시작되어 창작무용 교육에 이르렀다. 하지만 현 시대의 실제 학교 교육에서는 이러한 창작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도 못하고, 사회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요가나 댄스스포츠, 필라테스와 같은 시간외 수업으로 무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 몇 가지 문제점이 있지만, 우선적인 것은 교사의 문제이다. 즉 이것은 무용이 예술에만 갇혀서 교육적인 면과 사회적인 면을 관가한 결과이다. 이러한 무용의 사회학적 접근은 무용의 의미를 확대시켜주며 무용의 다양한 가능성을 설명해 주는 것으로 무용교육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론의 하나라고 생각되어져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 체욱사 연구 교학연구사" 1985

      2 "한국 근대체육사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1985

      3 "한국 교육무용사" 한학문화 1998

      4 "체육교과교육 과정의 변천과 6차 교육과정 시안의 문제점" 1991

      5 "창의적인 무용 움직임이 언어인지 기술발달에 미치는 여향" 대덕 문화사 1991

      6 "신교육의 변천과정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 1984

      7 "무용창작의 기초적 접근" 1994

      8 "무용교육개혁의 긴급성" 1988

      9 "근대학교 체육의 전개 양상과 체육사적 의미" 1989

      10 "What has led you to study Movement" 1951

      1 "한국 체욱사 연구 교학연구사" 1985

      2 "한국 근대체육사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1985

      3 "한국 교육무용사" 한학문화 1998

      4 "체육교과교육 과정의 변천과 6차 교육과정 시안의 문제점" 1991

      5 "창의적인 무용 움직임이 언어인지 기술발달에 미치는 여향" 대덕 문화사 1991

      6 "신교육의 변천과정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 1984

      7 "무용창작의 기초적 접근" 1994

      8 "무용교육개혁의 긴급성" 1988

      9 "근대학교 체육의 전개 양상과 체육사적 의미" 1989

      10 "What has led you to study Movement" 1951

      11 "The principles of Art" 1974

      12 "The Philosophy of Modern Art" 1955

      13 "Critique of pure Reason" 196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3-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0.947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