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어학계에서는 '화법'이란 용어를 쓰는 데 비하여 북한에서는 '화술'을 쓰고 있다. '화법'을 영국과 미국에서 '스피치(speech)라고 일컫는다. 유형 분류로 볼 때, 북한 화법은 공적인 담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국어학계에서는 '화법'이란 용어를 쓰는 데 비하여 북한에서는 '화술'을 쓰고 있다. '화법'을 영국과 미국에서 '스피치(speech)라고 일컫는다. 유형 분류로 볼 때, 북한 화법은 공적인 담화...
우리 국어학계에서는 '화법'이란 용어를 쓰는 데 비하여 북한에서는 '화술'을 쓰고 있다. '화법'을 영국과 미국에서 '스피치(speech)라고 일컫는다. 유형 분류로 볼 때, 북한 화법은 공적인 담화, 선동 연설, 강연과 강의, 낭독과 낭송이 포함되고, 특히 방송 화법에 중점이 두어지고 있다. 따라서 사적인 담화·환담·토의·토론·회의·연극·언어 교정 등이 리 상벽 지은 『조선말 화술』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저서에서 주목되는 부분이 제1편의 기초 이론이다. 그 가운데에 '발음법', '소리마루 법칙', '말소리의 흐름'을 중심으로 뽑아 실례를 토대로 우리 국어 생활과 대조하는 방식으로 이 글을 구성해 본 것이다.
거시적으로 보아 본질적으로 남·북한의 화법에 별로 차이점이 없으나, 세부적인 면에서 보면 몇 가지 놓칠 수 없는 가닥이 있다. 첫째, 남한의 '표준어' 규정과 북한의 '문화어' 규정이오, 둘째, 이념을 달리하는 정치 체계가 언어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분명히 있다는 사실이다.
『조선말 화술』은 북한에서 쓰이고 있는 언어의 음성 실현을 이해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