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경쟁불안, 스포츠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vert Narcissism, Competitive Anxiety and Sports Aggression of Elementar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508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among covert narcissism, competitive anxiety and sports aggression of elementar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competitive anxiety on mediating effect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ports aggressio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39 5th and 6th grade students from eigh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 city(male:219, female:220). Data were collected using surve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0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by using AMOS 18.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vert narcissism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competitive anxiety. Second, the covert narcissism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sports aggression. Third, the competitive anxiety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sports aggression. Forth, the competitive anxiety showed moderated effect partially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ports aggression. The sports leaders believe that in guiding aggressive students in sporting activities, a long-term approach to reducing covert narcissism is needed while eliminating factors that increase competitive anxie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among covert narcissism, competitive anxiety and sports aggression of elementar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competitive anxiety on mediating effects between cove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among covert narcissism, competitive anxiety and sports aggression of elementar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competitive anxiety on mediating effect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ports aggressio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39 5th and 6th grade students from eigh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 city(male:219, female:220). Data were collected using surve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0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by using AMOS 18.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vert narcissism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competitive anxiety. Second, the covert narcissism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sports aggression. Third, the competitive anxiety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sports aggression. Forth, the competitive anxiety showed moderated effect partially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ports aggression. The sports leaders believe that in guiding aggressive students in sporting activities, a long-term approach to reducing covert narcissism is needed while eliminating factors that increase competitive anx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포츠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공격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고자 내현적 자기애와 경쟁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살펴봄과 동시에 경쟁불안이 내현적 자기애와 공격성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8개 초등학교의 5-6학년 학생, 총 439명(남: 219, 여: 220)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고, SPSS 18.0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18.0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는 경쟁불안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는 스포츠 공격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경쟁불안은 스포츠 공격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경쟁불안은 내현적 자기애가 스포츠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포츠 지도자는 스포츠 활동에서 공격적인 학생들을 지도할 때 단기적으로는 경쟁불안을 높이는 요인들을 제거하면서 장기적으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감소시키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스포츠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공격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고자 내현적 자기애와 경쟁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살펴봄과 동시에 경쟁불안이 내현...

      본 연구는 스포츠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공격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고자 내현적 자기애와 경쟁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살펴봄과 동시에 경쟁불안이 내현적 자기애와 공격성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8개 초등학교의 5-6학년 학생, 총 439명(남: 219, 여: 220)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고, SPSS 18.0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18.0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는 경쟁불안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는 스포츠 공격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경쟁불안은 스포츠 공격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경쟁불안은 내현적 자기애가 스포츠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포츠 지도자는 스포츠 활동에서 공격적인 학생들을 지도할 때 단기적으로는 경쟁불안을 높이는 요인들을 제거하면서 장기적으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감소시키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수균,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487-501, 2002

      2 이은아,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5 (25): 477-495, 2013

      3 곽진영, "청소년의 자기애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7 (7): 315-331, 2010

      4 이강우,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가와 폭력행동의 관계 연구" 한국체육학회 42 (42): 153-160, 2003

      5 차타순,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청소년 비행성향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0 (10): 71-86, 2002

      6 이정민, "자기애와 공격성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7 이현옥, "인간의 공격성과 스포츠" 한국체육학회 41 (41): 43-52, 2002

      8 박세란,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정서 특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255-266, 2005

      9 서경현, "심리적 스트레스 반응과 주관적 웰빙에 대한 자기애와 자존감의 역할" 한국건강심리학회 15 (15): 653-671, 2010

      10 김은숙, "방과 후 스포츠활동 참여가 남자 중학생들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6 (16): 53-61, 2014

      1 서수균,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487-501, 2002

      2 이은아,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5 (25): 477-495, 2013

      3 곽진영, "청소년의 자기애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7 (7): 315-331, 2010

      4 이강우,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가와 폭력행동의 관계 연구" 한국체육학회 42 (42): 153-160, 2003

      5 차타순,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청소년 비행성향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0 (10): 71-86, 2002

      6 이정민, "자기애와 공격성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7 이현옥, "인간의 공격성과 스포츠" 한국체육학회 41 (41): 43-52, 2002

      8 박세란,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정서 특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255-266, 2005

      9 서경현, "심리적 스트레스 반응과 주관적 웰빙에 대한 자기애와 자존감의 역할" 한국건강심리학회 15 (15): 653-671, 2010

      10 김은숙, "방과 후 스포츠활동 참여가 남자 중학생들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6 (16): 53-61, 2014

      11 이진숙, "내현적 자기애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소극적 대처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61-181, 2012

      12 강선희,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705-723, 2002

      13 김현우, "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와 공격성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479-499, 2014

      14 김광혁, "가족빈곤이 아동학대 및 방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부모의 우울 및 가족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7 (17): 847-860, 2008

      15 Siegfried L Sporer, "When a Grandiose Self-Image Is Threatened: Narcissism and Self-Concept Clarity as Predictors of Negative Emotions and Aggression Following Ego-Threat" Wiley 70 (70): 509-532, 2002

      16 C. H. Jung, "Understanding Sports Psychology" Geumgwang Publisher 1999

      17 Paul Wink, "Two faces of narcissism"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61 (61): 590-597, 1991

      18 Brad J. Bushman, "Threatened egotism, narcissism, self-esteem, and direct and displaced aggression: Does self-love or self-hate lead to viole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75 (75): 219-229, 1998

      19 S. J. Cho,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Depressi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trinsic Narcissism of the Youth Adolescent" 1 (1): 19-33, 2009

      20 Kohut, H., "The restoration of the self"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21 J. G. Yang, "The effect of Sports activ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Juvenile" 10 (10): 45-53, 2000

      22 E. J. Yo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Aggressiveness of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Inferiority" 35 (35): 45-59, 2014

      23 Christopher T. Barry, "The Relation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to Conduct Problems in Childre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forma UK Limited 32 (32): 139-152, 2003

      24 K. J. Hong, "The Effects of Assertive Training on the Reduction of Aggression and Anxiety in Juvenile Delinquents" 4 (4): 19-31, 1983

      25 Bollen, K. A.,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Publication 1993

      26 James C. Anders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03 (103): 411-423, 1988

      27 Baron, R. A., "Social psychology" Allyn & Bacon 1994

      28 Schurman, C. L., "Social phobia and covert narcissism" Wright Institute Graduate School of Psychology 2000

      29 Roy F. Baumeister, "Self-Esteem, Narcissism, and Aggression" SAGE Publications 9 (9): 26-29, 2000

      30 J. J. Song, "SPSS/AMOS Statistical analysis method" 21st century publisher 2009

      31 J. O. Baek,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Tendency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ts : Testing Mediator Effects of Internalizing Problems" 30 : 65-88, 2007

      32 Roy F. Baumeister, "Relation of threatened egotism to violence and aggression: The dark side of high self-esteem"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03 (103): 5-33, 1996

      33 Susan M. Swearer, "Psychosocial Correlates in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forma UK Limited 2 (2): 95-121, 2001

      34 Kline, R. B.,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1998

      35 Richard Bailey,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in Schools: A Review of Benefits and Outcomes" Wiley 76 (76): 397-401, 2006

      36 K. H. Lee, "Personality traits of Elite shooters" 3 (3): 15-26, 2005

      37 Akhtar, S.,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ublishing 139 (139): 12-20, 1982

      38 Richard P. Bagozz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6 (16): 74-94, 1988

      39 Joseph T. McCann, "Narcissistic Personality Features and Self-Reported Anger" SAGE Publications 64 (64): 55-58, 1989

      40 Robert Raskin, "Narcissism, Self-Esteem, and Defensive Self-Enhancement" Wiley 59 (59): 19-38, 1991

      41 Charles E. Joubert, "Narcissism, Need for Power, and Social Interest" SAGE Publications 82 (82): 701-702, 1998

      42 Michael H. Kernis, "Narcissism and Reactions to Interpersonal Feedback" Elsevier BV 28 (28): 4-13, 1994

      43 Brad J. Bushman, "Looking Again, and Harder, for a Link Between Low Self-Esteem and Aggression" Wiley 77 (77): 427-446, 2009

      44 Richard P. Bagozzi, "Intentional social action in virtual communities" Elsevier BV 16 (16): 2-21, 2002

      45 Benjamin P. Papps, "Extreme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and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and aggression" Wiley 24 (24): 421-438, 1998

      46 Mahoney, J. L., "Do extracurricular activities protect against early school dropout?" 33 : 241-253, 1997

      47 S. M. Lee, "Covariate Structure Analysis" Seongwon Press 1990

      48 Martens, R., "Competitive anxiety in sport" Human Kinetics 1990

      49 Y. J. Jang, "Comparing and Contrasting Middle School Students’ Narcissistic Propensity and Dominance Depending on Gender Differences and Aggression Type" Ewha Womans University 2007

      50 S. M. Gwon, "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Hakjisa 2000

      51 G. B. Kim, "A study on aggression of the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17 : 37-46, 1998

      52 K. H. Park, "A Study on Competitive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areer and Position of Basktball Players in Mans Junior High School" Kon KuK University 2008

      53 G. S. Kim,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Hannarae Publisher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