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입문기 국어 능력 검사는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 학습이 시작되기 전 실시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중 1학년 학생들이 학습 가능하다고 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초등 입문기 국어 능력 검사는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 학습이 시작되기 전 실시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중 1학년 학생들이 학습 가능하다고 판...
초등 입문기 국어 능력 검사는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 학습이 시작되기 전 실시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중 1학년 학생들이 학습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성취기준을 선별하였으며, 이를 지필형 검사와 수행형 검사로 나누어 문항화하였다. 검사 결과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을 각 성취기준별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학생 변인에 따른 수준 차이도 볼 수 있었다. 전체 검사 결과를 보면, 전체 학생 2,635명에 대한 평균은 19.4655점, 표준편차는 3.5391로 나타났다. 초등 입문기 국어 능력 검사 결과 전체 19개 문항 중 16개 문항에서 학생들이 정답률 80% 이상을 보였다. 그러나 말의 재미를 주는 요소를 활용하여 자신의 경험 표현하여 쓰기에서는 정답률 70% 미만, 자신의 생각을 문장으로 표현하기, 이야기의 시작, 중간, 끝 파악하기와 관련된 문항에서는 정답률 50% 미만을 보였다. 변인별 검사 결과와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미한 변인은 성별이었다. 전체 19개 문항 중 15개 문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또 다른 주요 변인은 지역이다. 14개 문항에서 도시 지역의 학생들이 읍 · 면 지역의 학생들에 비해 더 높은 정답률을 나타냈다. 취학 전 교육 변인과 다문화 가정 변인은 성별이나 지역 변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통계적 유의미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시 출발점 행동 설정을 위한 주안점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dministered diagnostic tests to students before the course began.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diagnostic tests related to KLAE. (1) Students consistently had difficulty when asked to verbally report what they did befor...
The study administered diagnostic tests to students before the course began.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diagnostic tests related to KLAE. (1) Students consistently had difficulty when asked to verbally report what they did before they came to school on that day. (2) In the section on reading, writing, and grammar, students had difficulty comprehending unusual vocabulary and long sentences. (3) In the section on literature, students had great difficulty when asked to report the order of events in a story that they had read. I suggest that this task - reporting the order of events in a story - is too difficult for K- and 1st-grade level students, and should not be taught until later. (4) The best predictors of performance on the diagnostic tests were, first, gender(girls performed better), and second, reg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혜승,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의 향방"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2 (42): 185-216, 2010
2 심영택, "초등학교 저학년 기초 문식성 교수 학습 방법-‘개미[ㅐ]와 베짱이[ㅔ]’가르치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2) : 129-161, 2010
3 백경선,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수학 교육과정의 수준 적합성 제고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4 박수자, "초등학교 국어과 언어능력 평가에서 빈칸메우기검사(cloze test) 활용 방안에 대한연구" 12 : 167-221, 1996
5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6 교육과학기술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
7 이형래, "직업문식성 평가로서의 9급 공무원 임용 국어 시험 분석 연구" 국어교육학회 31 (31): 167-210, 2008
8 노명완, "직업 문식성 연구- 9, 5급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13 (13): 62-99, 2005
9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0호"
10 김봉순,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문식성 발달." 46 (46): 25-56, 2011
1 정혜승,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의 향방"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2 (42): 185-216, 2010
2 심영택, "초등학교 저학년 기초 문식성 교수 학습 방법-‘개미[ㅐ]와 베짱이[ㅔ]’가르치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2) : 129-161, 2010
3 백경선,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수학 교육과정의 수준 적합성 제고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4 박수자, "초등학교 국어과 언어능력 평가에서 빈칸메우기검사(cloze test) 활용 방안에 대한연구" 12 : 167-221, 1996
5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6 교육과학기술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
7 이형래, "직업문식성 평가로서의 9급 공무원 임용 국어 시험 분석 연구" 국어교육학회 31 (31): 167-210, 2008
8 노명완, "직업 문식성 연구- 9, 5급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13 (13): 62-99, 2005
9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0호"
10 김봉순,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문식성 발달." 46 (46): 25-56, 2011
11 박정진, "빈 칸 메우기 검사의 타당성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8) : 67-90, 2005
12 윤여탁,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13 정현선, "기호와 소통으로서의 언어관에 따른 매체언어교육의 목표에 관한 고찰" 국어교육연구소 19 (19): 99-140, 2007
14 최인자, "국어교육의 문화론적 지평" 소명출판 2001
15 박인기, "국어교육과 문화교육: 문화적 문식성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15 : 23-54, 2002
16 김대행, "국어교과학을 위한 언어 재개념화" 30 : 25-94, 2002
17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18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고시제2011-30호. 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1-106호에 따른 5세 누리과정 해설서" 2012
19 Whitehurst, G. J., "Emergent literacy: Development from prereaders to readers, In Handbook of Early Literacy Research" Guilford Press 11-29, 2002
초등학교 6학년 듣기 · 말하기 수업을 위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사례 연구
초등학교 다문화미술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초등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1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7 | 1.353 | 0.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