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융복합시대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 - TV드라마, 영화, 게임서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42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1세기 문화융복합 시대에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의 성격에 대한 고찰이다. 신화는 인류가 세계와 삶에 대해 경험하고 인식해 온 것들을 담고 있는 이야기이다. 오늘날 신화는 그 특유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새로 유입된 콘텐츠와 대중들의 다양한 요구가 결합되어 재창조되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가 TV드라마, 영화, 게임서사에 수용되는 양상에 대해 살펴 보았다. 구체적 사례로, 드라마 <도깨비>와 영화 <매트릭스>, 그리고 게임 서사에 나타난 신화적 소재와 상상력에 대해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21세기 문화융복합 시대에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의 성격에 대한 고찰이다. 신화는 인류가 세계와 삶에 대해 경험하고 인식해 온 것들을 담고 있는 이야기이다. 오늘날 신화...

      이 연구는 21세기 문화융복합 시대에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의 성격에 대한 고찰이다. 신화는 인류가 세계와 삶에 대해 경험하고 인식해 온 것들을 담고 있는 이야기이다. 오늘날 신화는 그 특유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새로 유입된 콘텐츠와 대중들의 다양한 요구가 결합되어 재창조되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가 TV드라마, 영화, 게임서사에 수용되는 양상에 대해 살펴 보았다. 구체적 사례로, 드라마 <도깨비>와 영화 <매트릭스>, 그리고 게임 서사에 나타난 신화적 소재와 상상력에 대해 고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of mythology as a cultural content material in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in the 21st century. Myths are stories that contain what mankind has experienced and perceived about the world and life. Today, based on its unique imagination, myths are being recreated by combining newly introduced contents with various demands from the public.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s of mythology as a cultural content material being accepted in TV dramas, movies, and game narratives. As a specific example, the drama “Toggaebi(Goblin)”, the movie “Matrix”, and the mythological material and imagination shown in the game narrative were considere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of mythology as a cultural content material in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in the 21st century. Myths are stories that contain what mankind has experienced and perceived about the world and life. Today, based on its ...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of mythology as a cultural content material in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in the 21st century. Myths are stories that contain what mankind has experienced and perceived about the world and life. Today, based on its unique imagination, myths are being recreated by combining newly introduced contents with various demands from the public.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s of mythology as a cultural content material being accepted in TV dramas, movies, and game narratives. As a specific example, the drama “Toggaebi(Goblin)”, the movie “Matrix”, and the mythological material and imagination shown in the game narrative were conside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융복합 시대의 도래와 신화의 수용양식
      • Ⅲ.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
      • 1. TV드라마 소재로서의 신화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융복합 시대의 도래와 신화의 수용양식
      • Ⅲ.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
      • 1. TV드라마 소재로서의 신화
      • 2. 영화에서의 신화적 콘텐츠로의 변용
      • 3. 컴퓨터 게임 서사로서의 신화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