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he Influence of Knowledge Gap on Personal and Attributed AIDS Stigma = 지식 격차가 에이즈 개인적 낙인과 사회적 낙인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650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에이즈 낙인 관련 연구는 그 감염 및 발병률이 높은 저개발 도상국가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한국과 같이 감염인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선진국에서 어떻게 에이즈를 낙인화 하는 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에이즈 지식 수준의 차이가 한국인들의 에이즈 낙인 (개인적 낙인과 사회적 낙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 기 위한 모델을 제안 및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감염에 대한 두려움을 에이즈 지식과 에이즈 낙인을 연결하는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세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2008년 에이 즈 공익 캠페인 효과조사를 위해 745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에이즈 지식은 감염에 대한 두려움 및 개인적 낙인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부적 예측 변인이었으며, 감염에 대한 두려움은 개인적 낙인 및 사회적 낙인의 부적 예측 변인으 로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 역시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육 수준의 경우 에이즈 지식 및 개인적 낙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현재 에이즈 낙인 관련 연구는 그 감염 및 발병률이 높은 저개발 도상국가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한국과 같이 감염인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선진국에서 어떻게 에이즈를 낙인화 하는 가...

      현재 에이즈 낙인 관련 연구는 그 감염 및 발병률이 높은 저개발 도상국가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한국과 같이 감염인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선진국에서 어떻게 에이즈를 낙인화 하는 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에이즈 지식 수준의 차이가 한국인들의 에이즈 낙인 (개인적 낙인과 사회적 낙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 기 위한 모델을 제안 및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감염에 대한 두려움을 에이즈 지식과 에이즈 낙인을 연결하는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세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2008년 에이 즈 공익 캠페인 효과조사를 위해 745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에이즈 지식은 감염에 대한 두려움 및 개인적 낙인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부적 예측 변인이었으며, 감염에 대한 두려움은 개인적 낙인 및 사회적 낙인의 부적 예측 변인으 로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 역시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육 수준의 경우 에이즈 지식 및 개인적 낙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AIDS stigma has been widely studied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the prevalence of HIV/AIDS infection is high, less is known about how people living in countries where HIV-infected people are scarce perceive and manifest AIDS stigma in their society. To fill this gap, this study tested a comprehensive model that explicates the influence of AIDS knowledge gap on personal and attributed stigma among people living in Korea. The study considered fear of contagion as a mediator between AIDS knowledge gap and AIDS stigma. With the data (N = 745) collected to evaluate the impact of 2008 Korean AIDS campaig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between AIDS knowledge gap, fear of contagion, personal stigma, and attributed stigma. The findings indicate that AIDS knowledg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ar of contagion and personal stigma. Fear of contagion is also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personal and attributed stigma. Sex and age significantly predicted fear of contagion and education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IDS knowledge and personal stigma.
      번역하기

      Although AIDS stigma has been widely studied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the prevalence of HIV/AIDS infection is high, less is known about how people living in countries where HIV-infected people are scarce perceive and manifest AIDS stigma in their...

      Although AIDS stigma has been widely studied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the prevalence of HIV/AIDS infection is high, less is known about how people living in countries where HIV-infected people are scarce perceive and manifest AIDS stigma in their society. To fill this gap, this study tested a comprehensive model that explicates the influence of AIDS knowledge gap on personal and attributed stigma among people living in Korea. The study considered fear of contagion as a mediator between AIDS knowledge gap and AIDS stigma. With the data (N = 745) collected to evaluate the impact of 2008 Korean AIDS campaig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between AIDS knowledge gap, fear of contagion, personal stigma, and attributed stigma. The findings indicate that AIDS knowledg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ar of contagion and personal stigma. Fear of contagion is also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personal and attributed stigma. Sex and age significantly predicted fear of contagion and education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IDS knowledge and personal stigm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The Influence of Knowledge Gap on Personal and Attributed HIV/AIDS Stigma
      • 2. Two Types of AIDS stigma: Personal Stigma and Attributed Stigma
      • 3. Instrumental Mechanisms of AIDS stigma: Knowledge and Fear of Contagion
      • 4. Proposed Model
      • 5. Method
      • 1. The Influence of Knowledge Gap on Personal and Attributed HIV/AIDS Stigma
      • 2. Two Types of AIDS stigma: Personal Stigma and Attributed Stigma
      • 3. Instrumental Mechanisms of AIDS stigma: Knowledge and Fear of Contagion
      • 4. Proposed Model
      • 5. Method
      • 6. Results
      • 7. Discuss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