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부모가족의 가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자가족과 부자가족의 지출 비교 = Determinants of household expenditure in single-parent families: A comparison between single-mother families and single-father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42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usehold expenditure patterns for single-parent families to better underst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o consider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cisions on monetary allo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ousehold expenditure patterns and the determinants of expenditure patterns for single-father families as compared to those for single-mother families. A series of analyses of the data, which was gathered from the 2015 Single-parent Family Survey on household expenditur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household expenditure volumes and patterns between single-father families and single-mother families. Differences in the categories of expenditure and variations in the share that was allocated for each expenditure category in single-father families as compared to in single-mother families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parities were found in seven categories of household expenditure between single-father families and single-mother families. The amount allocated from total expenditures for each expenditure category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ingle-father families and single-mother families in regards to clothing, home equipment, housing, water/light/heat costs,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 The determinants of the total household expenditure for single-parent families were age, level of education, number of family members, public transfer, household income, assets, and debt.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household expenditure patterns for single-parent families to better underst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o consider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cisions on monetary allo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ousehold expenditu...

      This study examines household expenditure patterns for single-parent families to better underst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o consider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cisions on monetary allo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ousehold expenditure patterns and the determinants of expenditure patterns for single-father families as compared to those for single-mother families. A series of analyses of the data, which was gathered from the 2015 Single-parent Family Survey on household expenditur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household expenditure volumes and patterns between single-father families and single-mother families. Differences in the categories of expenditure and variations in the share that was allocated for each expenditure category in single-father families as compared to in single-mother families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parities were found in seven categories of household expenditure between single-father families and single-mother families. The amount allocated from total expenditures for each expenditure category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ingle-father families and single-mother families in regards to clothing, home equipment, housing, water/light/heat costs,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 The determinants of the total household expenditure for single-parent families were age, level of education, number of family members, public transfer, household income, assets, and deb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다영, "한부모의 성별 및 가구구성별 경제적 여건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121-140, 2011

      2 박정윤, "한부모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개인자원, 가족자원, 발달환경자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121-141, 2014

      3 서지원, "한부모가족 사회적 자원의 삶의 질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7 (17): 103-124, 2013

      4 노정자, "한부모 이혼 남성의 홀로서기과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145-163, 2012

      5 손진분, "한부모 가정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1 (11): 45-65, 2007

      6 김진욱, "한부모 가구의 빈곤과 소득이전: 양부모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7 (37): 101-125, 2010

      7 고선강,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93-114, 2014

      8 양세정, "편모가계와 양부모가계의 소비지출 행태 비교" 20 : 1-20, 2005

      9 이성림, "편모가계 여성가장의 취업 및 가계의 경제상태: 양부모 가계와의 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69-179, 2004

      10 이현주, "저소득층의 소비 특성과 그 함의"

      1 배다영, "한부모의 성별 및 가구구성별 경제적 여건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121-140, 2011

      2 박정윤, "한부모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개인자원, 가족자원, 발달환경자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121-141, 2014

      3 서지원, "한부모가족 사회적 자원의 삶의 질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7 (17): 103-124, 2013

      4 노정자, "한부모 이혼 남성의 홀로서기과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145-163, 2012

      5 손진분, "한부모 가정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1 (11): 45-65, 2007

      6 김진욱, "한부모 가구의 빈곤과 소득이전: 양부모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7 (37): 101-125, 2010

      7 고선강,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93-114, 2014

      8 양세정, "편모가계와 양부모가계의 소비지출 행태 비교" 20 : 1-20, 2005

      9 이성림, "편모가계 여성가장의 취업 및 가계의 경제상태: 양부모 가계와의 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69-179, 2004

      10 이현주, "저소득층의 소비 특성과 그 함의"

      11 배미경,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소비결정 함수 분석" 9 (9): 83-100, 1998

      12 강기정,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족 사례관리 실천 경험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7 (17): 39-61, 2013

      13 곽민주, "재무비율을 이용한 편모가계의 재정상태 평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4 (14): 55-71, 2003

      14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 2015~2045" 통계청 2017

      15 손서희, "이혼한 여성 한부모의 홀로서기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 31 (31): 59-75, 2013

      16 문은영, "서울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본 부자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1 (1): 135-174, 2011

      17 진미정, "빈곤 여성가장 가족의 소득구성과 물질적 곤궁 경험"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7) : 163-188, 2005

      18 고선강, "부모의 성별에 따른 한부모가계의 경제자원 차이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9 (19): 95-120, 2015

      19 홍성희, "건강가정을 위한 가정자원관리" 신정 2008

      20 조희금, "건강가정론" 신정 2010

      21 최홍철, "가구유형을 고려한 생애주기와 소비지출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FP학회 7 (7): 93-125, 2014

      22 여윤경, "가구유형에 따른 소비지출패턴 비교 분석" 12 (12): 65-81, 2001

      23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통계청 2014

      24 Hanson, T., "Windows on divorce : Before and after" 27 : 329-349, 1998

      25 Ziol-Guest, K., "A single father’s shopping bag purchasing decisions in single-father families" 30 (30): 605-622, 2009

      26 통계청, "2016 인구총조사 자료" 통계청 2016

      27 여성가족부, "2015 한부모가족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외국어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 of KFRMA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6 1.709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