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의 성인기 자녀에 대한 자원 제공과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 Baby boomers’ resource transfer of their adult children and level of later-life prepa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4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source transfer for baby boomers’ adult children and related factors pertaining to baby boomers’ later-life prepa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16 using written questionnaires completed by 405 baby boomers resid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cities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0 and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frequency, percentile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 t-test, one-way ANOVA, Cronbach’s alpha,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aby boomers’ average level of later-life preparation was found to be 3.45/5, a relatively rational score. Baby boomers tended to transfer more resource from their adult children when they had many adult children,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romantic relationship. Baby boomers’ level of later-life preparation was higher when there was lesser resource transfer of their adult children. The greatest influential variables pertaining to the respondents’ later-life preparation were their family’s income, children’s marital status, satisfaction with their romantic relationship, and level of transfer from their adult children. It was concluded that baby boomers have insufficient later-life preparation in terms of finances due to their need to support their adult children; thus, nation-wide practical programs are needed to prepare baby boomers for a happy life.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source transfer for baby boomers’ adult children and related factors pertaining to baby boomers’ later-life prepa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16 using written questionnaires completed by 405 baby boomer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source transfer for baby boomers’ adult children and related factors pertaining to baby boomers’ later-life prepa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16 using written questionnaires completed by 405 baby boomers resid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cities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0 and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frequency, percentile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 t-test, one-way ANOVA, Cronbach’s alpha,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aby boomers’ average level of later-life preparation was found to be 3.45/5, a relatively rational score. Baby boomers tended to transfer more resource from their adult children when they had many adult children,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romantic relationship. Baby boomers’ level of later-life preparation was higher when there was lesser resource transfer of their adult children. The greatest influential variables pertaining to the respondents’ later-life preparation were their family’s income, children’s marital status, satisfaction with their romantic relationship, and level of transfer from their adult children. It was concluded that baby boomers have insufficient later-life preparation in terms of finances due to their need to support their adult children; thus, nation-wide practical programs are needed to prepare baby boomers for a happy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obayashi, M., "한국의 미혼 성인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지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13

      2 방하남, "한국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0

      3 추기철, "한국 중년층의 노후 대첵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4 유효순, "중장년층의 가족관계 특성,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6

      5 고선강, "중년층의 소득계층별 세대간 경제자원 이전, 노후생활비 준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79-101, 2014

      6 신승희,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7 임다영, "중년층의 노후준비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8 송경미, "중년기의 가족부양부담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9 고선강,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의 호혜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103-121, 2012

      10 김순미, "중년기 가정의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 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59-76, 2012

      1 Kobayashi, M., "한국의 미혼 성인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지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13

      2 방하남, "한국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0

      3 추기철, "한국 중년층의 노후 대첵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4 유효순, "중장년층의 가족관계 특성,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6

      5 고선강, "중년층의 소득계층별 세대간 경제자원 이전, 노후생활비 준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79-101, 2014

      6 신승희,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7 임다영, "중년층의 노후준비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8 송경미, "중년기의 가족부양부담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9 고선강,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의 호혜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103-121, 2012

      10 김순미, "중년기 가정의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 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59-76, 2012

      11 이준희, "중ㆍ장년층의 가족특성, 노후인식 및 사회적지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7

      12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가족패널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13 최연실, "성인자녀의 부모 동거 현황 및 분석틀의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 32 (32): 75-89, 2014

      14 최여진, "성인자녀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도구적 지원 관련 요인: 지원에 관한 태도 및 지원 제공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32 (32): 87-105, 2014

      15 이윤석, "부모의 성인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 관련 태도 연구: 자녀, 어머니, 아버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4 (34): 1-30, 2011

      16 이미선, "베이비붐세대의 노부모 부양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7 이용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53-261, 2013

      18 박다정,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에 대한 인식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19 김정미,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특성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6 (16): 197-221, 2014

      20 정경희,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1 이승신,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여부에 관한 연구 -일반적 및 경제적 특성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원 44 (44): 73-95, 2013

      22 곽인숙, "베이비부머의 노후생활설계 인식과 준비도 : 전·후기집단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7 (17): 147-172, 2013

      23 정경희,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진입에 따른 정책과제" 1-21, 2010

      24 정순둘,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신체적 노후준비 영향요인:Andersen과 Newman 모델의 적용"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237-256, 2013

      25 정순둘,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 영향요인: 성역할인식과 부양부담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181-197, 2014

      26 한정애, "베이비부머세대 부모와 에코부머세대 자녀의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비교연구"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4

      27 서울대학교 노화ㆍ고령사회연구소, "베이비부머 연구 특집"

      28 김혜경, "베이비부머 세대의 집단주의 가치관에 관한 연구 -전기 베이비부머 여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9 (39): 31-70, 2015

      29 손기복, "베이비부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 건강상태 및 여가활동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30 박주희,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족 특성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 (20): 1-17, 2016

      31 신인수, "베이비 붐 세대의 실버타운 입지 및 주거유형 선호에 관한 연구 : 수도권 거주자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32 정경희, "베이비 부머의 가족생활과 노후생활 전망" 192 : 40-49, 2012

      33 곽인숙, "노인의 자녀와의 상호간 지원 교환이 성공적인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107-127, 2011

      34 유정헌, "노년기 우울에 대한 가족관계 만족도의 중재효과" 한국노년학회 29 (29): 717-728, 2009

      35 통계청, "고령자통계"

      36 여성가족부, "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0

      37 한주리,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에 따른 자녀의 성격 및 의사소통 능력의 차이" 29-31, 2005

      38 뉴시스, "‘미운 우리 새끼’ 황혼육아에 노부모들 ‘번아웃 증후군’"

      39 Buchmann, M. C., "Transition to adulthood in Europe" 37 : 481-503,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외국어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 of KFRMA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6 1.709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