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엑스포공원을 활용한 국립청소년시설 건립에 관한 기초적 연구 - 공간구성 및 면적배분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008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립청소년시설의 건립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여수 엑스포공원 부지 내에 적합한 청소년시설의 건립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세월호 사고(2014.04), 태안 해병대 캠프사건(2013.07) 이후, 청소년들의 체계적인 해양안전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년 전문 해양교육시설은 미비한 실정이며 이로 인해 학교에서의 해양관련 활동도 위축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자유학기제 전면도입에 따른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체험학습 공간 조성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다양한 체험공간 확충이 추진되고 있는 시점에, 국립청소년시설로서의 해양청소년시설은 청소년기에 다양한 전문 해양문화 및 해양스포츠를 교육 및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해양스포츠의 즐거움 및 소질개발의 기회제공과 스포츠를 통한 인성함양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해양교육지도자, 해양생존훈련 등을 통해 미래의 해양전문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인력 양성기관을 조성하여 2012 여수세계박람회 시설과 연계를 통한 시너지효과로 세계적인 해양교육시설의 모델 구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엑스포박람회 사후활용 방안의 성공적인 과업을 이끌어 내고 해양과 관련된 교육·문화 인프라의 지역 균형배치로 양질의 교육 및 체험을 보다 많은 사람이 받을 수 있게 제공하며, 차별화 방안 연구를 통하여 타 분야 해양문화 체험시설과의 기능 중복 논란을 해소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립청소년시설의 건립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여수 엑스포공원 부지 내에 적합한 청소년시설의 건립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세월호 사고(2014.04), 태안 해병대 캠프사건(2013.07) ...

      본 연구는 국립청소년시설의 건립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여수 엑스포공원 부지 내에 적합한 청소년시설의 건립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세월호 사고(2014.04), 태안 해병대 캠프사건(2013.07) 이후, 청소년들의 체계적인 해양안전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년 전문 해양교육시설은 미비한 실정이며 이로 인해 학교에서의 해양관련 활동도 위축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자유학기제 전면도입에 따른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체험학습 공간 조성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다양한 체험공간 확충이 추진되고 있는 시점에, 국립청소년시설로서의 해양청소년시설은 청소년기에 다양한 전문 해양문화 및 해양스포츠를 교육 및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해양스포츠의 즐거움 및 소질개발의 기회제공과 스포츠를 통한 인성함양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해양교육지도자, 해양생존훈련 등을 통해 미래의 해양전문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인력 양성기관을 조성하여 2012 여수세계박람회 시설과 연계를 통한 시너지효과로 세계적인 해양교육시설의 모델 구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엑스포박람회 사후활용 방안의 성공적인 과업을 이끌어 내고 해양과 관련된 교육·문화 인프라의 지역 균형배치로 양질의 교육 및 체험을 보다 많은 사람이 받을 수 있게 제공하며, 차별화 방안 연구를 통하여 타 분야 해양문화 체험시설과의 기능 중복 논란을 해소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promote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youth facilities, this research suggests the direction of proper youth facilities on the site of Yeosu Expo Park. Ferry Sewol-ho accident(2014.04) and the Taean Camp accident(2013.07), the need for systematic marine safety education for teenagers has emerged, but there is a lack of marine education facilities specializing in teenagers that can carry out it, which has also dampened marine-related activities in schools. Moreover, at a time when various experience spaces are being expanded in recognition of the need to create safe and reliable learning space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National Institute of Marine Education as a national youth facility can provide a space for education and experience various specialized marine culture and marine sports in adolescenc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marine sports and fostering character through spor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model for world-class marine education facilities by creating a systematic human resources training institution to foster future marine experts through marine education leaders and marine survival training, and by linking them with the facilities of the 2012 Yeosu Expo.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lead to successful tasks of post-utilization measures at the Expo and to provide more people with quality education and experience through balanced regional deployment of education and cultural infrastructure related to the ocean, and to resolve controversy over overlapping functions with marine cultural experience facilities in other fields through research on differentiation measures.
      번역하기

      In order to promote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youth facilities, this research suggests the direction of proper youth facilities on the site of Yeosu Expo Park. Ferry Sewol-ho accident(2014.04) and the Taean Camp accident(2013.07), the need for ...

      In order to promote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youth facilities, this research suggests the direction of proper youth facilities on the site of Yeosu Expo Park. Ferry Sewol-ho accident(2014.04) and the Taean Camp accident(2013.07), the need for systematic marine safety education for teenagers has emerged, but there is a lack of marine education facilities specializing in teenagers that can carry out it, which has also dampened marine-related activities in schools. Moreover, at a time when various experience spaces are being expanded in recognition of the need to create safe and reliable learning space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National Institute of Marine Education as a national youth facility can provide a space for education and experience various specialized marine culture and marine sports in adolescenc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marine sports and fostering character through spor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model for world-class marine education facilities by creating a systematic human resources training institution to foster future marine experts through marine education leaders and marine survival training, and by linking them with the facilities of the 2012 Yeosu Expo.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lead to successful tasks of post-utilization measures at the Expo and to provide more people with quality education and experience through balanced regional deployment of education and cultural infrastructure related to the ocean, and to resolve controversy over overlapping functions with marine cultural experience facilities in other fields through research on differentiation meas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
      • 1.2 연구의 목적
      • 2. 국내외 청소년 및 해양관련 시설 사례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
      • 1.2 연구의 목적
      • 2. 국내외 청소년 및 해양관련 시설 사례
      • 2.1 청소년 특화시설
      • 2.2 해양관련시설
      • 3. 관련 현황
      • 3.1 여수시 일반현황
      • 3.2 상위개발계획 현황
      • 4. 부지의 사후 활용계획
      • 4.1 사후 활용계획의 기본방향 및 추진과제
      • 4.2 부지의 사후 활용계획
      • 5. 시설 건립을 위한 기본구상(안)
      • 5.1 입지 여건
      • 5.2 건립 위치
      • 5.3 관련법규의 검토
      • 5.4 배치계획안의 수립
      • 5.5 공간구성 및 면적 배분
      • 6.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진이, "특성화 국립청소년수련시설 건립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5 (15): 121-131, 2017

      2 유진이, "청소년수련시설 현황분석 및 건립 기본방향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0 (10): 27-36, 2012

      3 홍영균, "청소년수련시설 건립 활성화를 위한 제반법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6 (6): 67-75, 2008

      4 김연, "지역특성의 활동 프로그램에 따른 청소년 수련관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0 (10): 89-100, 2012

      5 홍영균, "지역청소년지원체계를 위한 복합청소년시설 건립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6 (6): 59-67, 2008

      6 유진이, "국립청소년수련시설의 중장기 건립 기본방향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0 (10): 105-114, 2012

      7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Feasibility Study of Youth Marine Education Institut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16

      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 Study on Design Criteria and Model Development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Sports 1993

      1 유진이, "특성화 국립청소년수련시설 건립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5 (15): 121-131, 2017

      2 유진이, "청소년수련시설 현황분석 및 건립 기본방향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0 (10): 27-36, 2012

      3 홍영균, "청소년수련시설 건립 활성화를 위한 제반법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6 (6): 67-75, 2008

      4 김연, "지역특성의 활동 프로그램에 따른 청소년 수련관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0 (10): 89-100, 2012

      5 홍영균, "지역청소년지원체계를 위한 복합청소년시설 건립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6 (6): 59-67, 2008

      6 유진이, "국립청소년수련시설의 중장기 건립 기본방향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0 (10): 105-114, 2012

      7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Feasibility Study of Youth Marine Education Institut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16

      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 Study on Design Criteria and Model Development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Sports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3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