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초기 다양한 왜구대책의 실시로 남방지역에 대한 경계인식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왜인통제책의 하나인 포소의 제한으로 남방지역에 대한 경계인식이 형성되어 갔다. 그러나 고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81884
2011
Korean
왜구대책 ; 경계인식 ; 대마도정벌 ; 고초도조어금약 ; 대마번병의식 ; 대마속주의식 ; 양속관계 ; 기미관계 ; 해금정책 ; countermeasure against Japanese marauders ; the awareness of the vigilance ; attack on Tsushima ; Gochodo Fisheries Agreement ; sense of 'a remote barracks of Joseon' about Tsushima ; sense of 'one of the Joseon provinces' about Tsushima ; Gimi gwangye ; center-periphery relations ; the ban on maritime trade
KCI등재
학술저널
131-158(28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초기 다양한 왜구대책의 실시로 남방지역에 대한 경계인식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왜인통제책의 하나인 포소의 제한으로 남방지역에 대한 경계인식이 형성되어 갔다. 그러나 고려...
조선초기 다양한 왜구대책의 실시로 남방지역에 대한 경계인식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왜인통제책의 하나인 포소의 제한으로 남방지역에 대한 경계인식이 형성되어 갔다. 그러나 고려말 조선초에 실시된 해금정책과 일부 섬에 대한 "공도화"는 이러한 인식의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서남해안의 섬에 주민들이 몰래 들어가 거주하면서 조선에서는 남쪽 해양에 대한 경계인식이 점차 확산되어 갔다.
1423년(세종 5) 폐쇄되었던 삼포의 개항으로 왜인들이 고기잡이 할 수 있는 지역도 부산포·내이포 등처로 제한되었다. 왜인들은 여러 차례 포소의 추가 개항을 요구하였지만 거절당하자 대신에 경상도 연해어장의 확대를 요구하였다. 그 결과 1435년 10월에 울산의 개운포지역까지 어장을 확대해주었다. 그 후에도 대마도에서는 전라도 남해 연안의 어장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조선에서는 많은 의견 대립이 있었으나 1443년(세종 25) 고 초도에서의 고기잡이를 허용하였다. 그러나 그곳이 조선의 땅임을 확인하는 의미로 왜인들에게 漁稅를 징수하였으며, 또한 정해진 지역 이외의 곳을 마음대로 돌아다니는 자는 적왜로 간주하여 처벌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 그 결과 조선에서 남방지역에 대한 경계인식이 확립되어 갔음을 알 수 있다.
조선초에는 대마도를 왜구의 소굴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대마도정벌을 계기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조선에서는 "대마번병의식"과 "대마속주의식"이 일반화되었으며, "對馬區分意識"도 나타났다. 이러한 조선의 대마인식은 대마도를 조선중심의 외교질서 즉 기미관계의 외교체제 속에 편입시키는 정신적인 기반이 되었으며, 이후 대일외교 체제의 형성과 전개과정에서 커다란 변화와 영향을 주었다. 또한 대마도가 영토적으로는 일본에 속하였지만 정치·외교적으로는 조선의 국가질서 속에 편입되어 있는 "양속관계"가 성립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조선후기에 들어서 "대마번병의식"과 "대마속주의식"은 점차 약화되어 갔지만, "대마구분의식"은 전기보다 성화되어 갔다.
한편, 조선의 일본 또는 일본인에 대한 인식은 양국관계의 전개와 밀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국"·"일본인"은 주로 양국간의 관계가 우호적이고 평화적일 때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용어로 많이 사용되었다. 반면에 "왜국"·"왜인"·"왜노"는 양국간의 갈등과 대립이 있을 때 부정적인 인식을 하는 용어로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왜인을 이적시하거나 야만시하는 표현인 "倭奴"는 선조대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조선을 침략한 일본에 대한 적대감의 표현이었다. 또한 일본 본주의 왜인과는 달리 대마도의 왜인을 부정적으로 지칭할 때에는 "島倭"·"島夷"·"小醜"등의 용어를 사용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高橋公明, "해역세계 가운데 제주도와 고려"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0 : 2002
2 손승철, "해동제국기의 세계" 경인문화사 2008
3 이문기, "한・중・일의 해양인식과 해금" 동북아역사재단 2007
4 한일관계사연구회, "한일관계사연구의 회고와 전망" 국학자료원 2002
5 강봉룡, "한국해양사의 전환-해양시대에서 해금시대로-"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0 : 2002
6 김경옥, "조선후기 島嶼 연구" 혜안 2004
7 한문종, "조선전기 향화·수직왜인 연구" 국학자료원 2001
8 부경대 해양문화연구소, "조선전기 해양개척과 대마도" 국학자료원 2007
9 임영정, "조선전기 해금정책의 시행배경" 동국사학회 31 : 1997
1 高橋公明, "해역세계 가운데 제주도와 고려"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0 : 2002
2 손승철, "해동제국기의 세계" 경인문화사 2008
3 이문기, "한・중・일의 해양인식과 해금" 동북아역사재단 2007
4 한일관계사연구회, "한일관계사연구의 회고와 전망" 국학자료원 2002
5 강봉룡, "한국해양사의 전환-해양시대에서 해금시대로-"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0 : 2002
6 김경옥, "조선후기 島嶼 연구" 혜안 2004
7 한문종, "조선전기 향화·수직왜인 연구" 국학자료원 2001
8 부경대 해양문화연구소, "조선전기 해양개척과 대마도" 국학자료원 2007
9 임영정, "조선전기 해금정책의 시행배경" 동국사학회 31 : 1997
10 한문종, "조선전기 대일 외교정책 연구-대마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북대 1996
11 하우봉, "조선전기 대외관계에 나타난 自我認識과 他者認識" 한국사연구회 (123) : 8-270, 2003
12 신명호, "조선 초기 중앙정부의 경상도 海島政策을 통한 空島政策 재검토" 부산경남사학회 (66) : 1-27, 2008
13 박선영, "동아시아의 영토와 민족문제(백두산정계비와 조청국경에 대한 문제)백두산정계비와 화이질서(중국학보, 2007.12)" 경인문화사 2008
14 손승철, "동아시아속의 중세한국과 일본" 경인문화사 2008
15 한일관계사연구회, "독도와 대마도" 지성의 샘 1996
16 신동규, "근세시기(朝鮮後期?江戶時代) 韓?日간 獨島 연구의 쟁점과 문제점 고찰" 고려사학회 28 (28): 245-286, 2007
17 荒野泰典, "江戶幕府と東アジア" 吉川弘文館 2007
18 鄭 多 函, "朝鮮初期 野人과 對馬島에 대한 藩籬 · 藩屛 認識의 형성과 敬差官의 파견" 국학연구원 141 (141): 221-266, 2008
19 長節子, "孤草島釣魚硏究" 朝鮮學會 91 : 1979
20 長節子, "孤草島釣魚の變容" 九州大學朝鮮學硏究會 1 : 1990
21 關周一, "中世日朝海域史の硏究" 吉川弘文館 2002
22 荒木和憲, "中世對馬宗氏領國と朝鮮" 山川出版社 2007
23 長節子, "中世國境海域の倭と朝鮮" 吉川弘文館 2002
24 村井章介, "中世 日本の內と外" 筑摩書房 1999
25 金源模, "19세기 韓英 航海文化交流와 朝鮮의 海禁政策" 한국문화사학회 (21) : 947-994, 2004
1878년 두모진 수세를 둘러싼 조일 양국의 인식과 대응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 | 1.5 | 1.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09 | 1.872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