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도작업 활성화를 위한 조직체계 개편방안 =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system reform plan to vitalize prison labor in the Republic of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organizational system reform plan to vitalize the prison labor of the Republic of Korea by focusing on the best practices of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SA, Singapore, and Japan. The vitalization of prison labor is clearly an important catalyst for the success of the correctional administration because it will play a pivotal role in the construction of a safe society through the rehabilitation of prisoners, their subsequent return to society and the prevention of recidivism.
      This paper presents the major methods of an organizational system reform plan; establishing the Korea Correctional Industries Corporation(KCIC) as a separate special corporation, creating a special prison labor division in the two existing special corporations, the Korean National Correctional Officers Veterans Association(KNCOVA) and the Correctional Mutual Aid Association(CMAA). Among these measures, the former method modeled on the Federal Prison Industry Corporation(FPI) in the United States or the SCORE in Singapore is defined as the best way to revitalize the prison labor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this measure requires the substantial use of national financial resources as well as the consent of the people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Korea Correctional Industries Corporation Act’. In this regard, this article proposes the latter methods as an alternative plan.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organizational system reform plan to vitalize the prison labor of the Republic of Korea by focusing on the best practices of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SA, Singapore, and Japan. The vitalization of pris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organizational system reform plan to vitalize the prison labor of the Republic of Korea by focusing on the best practices of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SA, Singapore, and Japan. The vitalization of prison labor is clearly an important catalyst for the success of the correctional administration because it will play a pivotal role in the construction of a safe society through the rehabilitation of prisoners, their subsequent return to society and the prevention of recidivism.
      This paper presents the major methods of an organizational system reform plan; establishing the Korea Correctional Industries Corporation(KCIC) as a separate special corporation, creating a special prison labor division in the two existing special corporations, the Korean National Correctional Officers Veterans Association(KNCOVA) and the Correctional Mutual Aid Association(CMAA). Among these measures, the former method modeled on the Federal Prison Industry Corporation(FPI) in the United States or the SCORE in Singapore is defined as the best way to revitalize the prison labor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this measure requires the substantial use of national financial resources as well as the consent of the people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Korea Correctional Industries Corporation Act’. In this regard, this article proposes the latter methods as an alternative pl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교도작업 활성화를 위한 조직체계 개편방안을 미국, 싱가포르, 일본 등 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도작업의 활성화는 수형자의 교정교화와 사회복귀에는 물론 재범방지를 통한 안전한 사회 건설에도 순기능적인 역할을 할 것이므로 교정행정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촉매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도작업이 대내외의 불리한 환경을 극복하고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획기적인 조직개편이 요구된다.
      새로운 교도작업 조직구성방안으로는 별도의 특수법인으로 한국교정산업공사를 설립하는 방안, 기존의 특수법인인 대한민국재향교정동우회나 교정공제회에 교도작업사업부를 신설하는 방안이 있다. 이러한 방안 중에서 교도작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미국의 연방교도소 산업공사(FPI)나 싱가포르의 교도작업공사(SCORE)를 모델로 하는 한국교정산업공사를 설립하는 방안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제시하였다. 다만, 이러한 방안은 당장 막대한 국가재정이 투입되어야 하고, 「한국교정산업공사법」의 제정 등 국민의 동의가 필요하므로 교정동우회나 교정공제회에서 일본 교정협회의 형무작업 협력사업부를 참고한 교도작업사업부를 신설하여 단계적으로 교도작업을 수탁 받아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교도작업 활성화를 위한 조직체계 개편방안을 미국, 싱가포르, 일본 등 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도작업의 활성화는 수형자의 교정교화와 사회복귀에는 물론 ...

      본 연구에서는 교도작업 활성화를 위한 조직체계 개편방안을 미국, 싱가포르, 일본 등 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도작업의 활성화는 수형자의 교정교화와 사회복귀에는 물론 재범방지를 통한 안전한 사회 건설에도 순기능적인 역할을 할 것이므로 교정행정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촉매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도작업이 대내외의 불리한 환경을 극복하고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획기적인 조직개편이 요구된다.
      새로운 교도작업 조직구성방안으로는 별도의 특수법인으로 한국교정산업공사를 설립하는 방안, 기존의 특수법인인 대한민국재향교정동우회나 교정공제회에 교도작업사업부를 신설하는 방안이 있다. 이러한 방안 중에서 교도작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미국의 연방교도소 산업공사(FPI)나 싱가포르의 교도작업공사(SCORE)를 모델로 하는 한국교정산업공사를 설립하는 방안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제시하였다. 다만, 이러한 방안은 당장 막대한 국가재정이 투입되어야 하고, 「한국교정산업공사법」의 제정 등 국민의 동의가 필요하므로 교정동우회나 교정공제회에서 일본 교정협회의 형무작업 협력사업부를 참고한 교도작업사업부를 신설하여 단계적으로 교도작업을 수탁 받아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화수, "한국교정학" 한국교정학회 490-, 2007

      2 박영규, "한국교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생산성본부 145-167, 2011

      3 박재윤, "피구금자처우최저기준규칙(2) : 해설 및 전문" 148 : 30-, 1988

      4 "일본 법무성 홈페이지의 형무작업 설명"

      5 법무부 교정본부, "일본 교도작업(직업훈련) 시찰결과 보고서(2010. 11)"

      6 이영근, "윤강 정갑섭 교수 정년퇴임기념 논문집" 222-223, 1999

      7 "싱가포르 교도작업공사 홈페이지"

      8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의 「교도작업의 운영 및 특별회계에 관한 법률」 제・ 개정이유"

      9 법무부, "법무연감" 법무부 272-, 2018

      10 송광섭, "범죄학과 형사정책" 유스티니아누스 514-, 1998

      1 김화수, "한국교정학" 한국교정학회 490-, 2007

      2 박영규, "한국교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생산성본부 145-167, 2011

      3 박재윤, "피구금자처우최저기준규칙(2) : 해설 및 전문" 148 : 30-, 1988

      4 "일본 법무성 홈페이지의 형무작업 설명"

      5 법무부 교정본부, "일본 교도작업(직업훈련) 시찰결과 보고서(2010. 11)"

      6 이영근, "윤강 정갑섭 교수 정년퇴임기념 논문집" 222-223, 1999

      7 "싱가포르 교도작업공사 홈페이지"

      8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의 「교도작업의 운영 및 특별회계에 관한 법률」 제・ 개정이유"

      9 법무부, "법무연감" 법무부 272-, 2018

      10 송광섭, "범죄학과 형사정책" 유스티니아누스 514-, 1998

      11 "방위사업청 홈페이지"

      12 권태정, "미연방 교도작업 산업공사(UNICOR) 운영실태" 53 (53): 128-129, 1990

      13 "미국 연방교도소 산업공사 홈페이지"

      14 "대한민국재향군인회 홈페이지"

      15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종합사업본부 홈페이지"

      16 "대한민국재향교정동우회 홈페이지"

      17 "군인공제회 홈페이지"

      18 정성훈, "국가지원 재소자 재활특구 조성방안" 대구경북 연구원 99-110, 2015

      19 이백철, "교정학" 교육과학사 652-663, 2015

      20 허주욱, "교정학" 법문사 490-571, 2013

      21 신용해, "교정에 있어 회복적 사법의 적용 실태와 발전 방향" 법학연구소 14 (14): 139-153, 2009

      22 "교정본부 홈페이지"

      23 "교정공제회 홈페이지"

      24 정창헌, "교도작업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형사정책적 개선 방안" 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25 장규원, "교도작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8 (18): 1223-1246, 2007

      26 탁희성, "교도작업의 개선방안 연구-교도작업의 법적 지위-" 한국 형사정책연구원 26-, 2010

      27 박영규, "교도작업의 개선방안" 법학연구원 24 (24): 267-296, 2014

      28 양준영, "교도작업 발전방안 연구" 한국산업경제연구원 10-151, 2005

      29 허경미, "교도소 수용자노동의 쟁점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26 (26): 141-164, 2016

      30 De Vito, Christian G., "International Institute of Social History" 58 : 285-325, 2013

      31 Singapore Corporation of Rehabilitative Enterprises, "Enhancing Employability, Creating Opportunities" SCORE 8-12, 2017

      32 Reichel, Philip L., "Corrections : philosophies, practices, and procedures" Allyn and Bacon 2001

      33 UNICOR, "Bringing Jobs Home: Investing in America" Federal Correctional Institution 11-,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s Service KCI등재
      2016-04-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矯正硏究 -> 교정연구
      외국어명 : Correction Review -> Corrections Review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1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