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고전해양문학의 정위(正位)와 기대지평 = The Correct Position and Expected Prospects of Korean Classical Maritime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74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ategorize the correct 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Maritime literature as a subordinate category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we predicted the expected horizon of further research in the field along with pending issues such as the field of view and data expansion. Korean classical maritime literature has become the subject of research since the 1990s. However, it was limited to a few literary work or drift records. Moreover, its definition, category, and personality have not been clarified. I have formerl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Korean classical marine literature in the reflux of East Asian land and marine culture. As an extension, in order to overcome the monotony of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and to share that the imagination and desire of the marine zone are important components of Korean culture, the perspective of access to the field, data expansion, and overall layer reconstruction were presented. In particular, the most urgent issue for the united image of classical marine literature is the expansion of data, which is the need to discover and organize the data beyond genre. Following the data expansion, the types were organized in four layers, which includes the emotion of life in the marine zone, the realization of desire, and the reconstruction of total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interest and perception of the sea by the wri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le the new possibilities of classical marine literature was realized with the case of drift records, such an interesting narrative tradition related to the sea. Finally, the expected prospects of further research in this field was predicted as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realization of Korean literary geography, and composition of Korean maritime literature histor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ategorize the correct 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Maritime literature as a subordinate category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we predicted the expected horizon of further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ategorize the correct 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Maritime literature as a subordinate category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we predicted the expected horizon of further research in the field along with pending issues such as the field of view and data expansion. Korean classical maritime literature has become the subject of research since the 1990s. However, it was limited to a few literary work or drift records. Moreover, its definition, category, and personality have not been clarified. I have formerl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Korean classical marine literature in the reflux of East Asian land and marine culture. As an extension, in order to overcome the monotony of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and to share that the imagination and desire of the marine zone are important components of Korean culture, the perspective of access to the field, data expansion, and overall layer reconstruction were presented. In particular, the most urgent issue for the united image of classical marine literature is the expansion of data, which is the need to discover and organize the data beyond genre. Following the data expansion, the types were organized in four layers, which includes the emotion of life in the marine zone, the realization of desire, and the reconstruction of total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interest and perception of the sea by the wri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le the new possibilities of classical marine literature was realized with the case of drift records, such an interesting narrative tradition related to the sea. Finally, the expected prospects of further research in this field was predicted as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realization of Korean literary geography, and composition of Korean maritime literature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고전해양문학의 정위(正位)를 재범주화 하여 한국 고전문학의 하위 분야로 정초하기 위한 논의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시야와 자료 확충 등의 현안과 함께 향후 해당 분야 연구의 기대지평까지 전망한 것이다. 고전해양문학은 1990년대부터 연구의 대상이 되기 시작했으나 그 대상이 몇몇 작품이나 표해록에 한정되었다. 거기에 정의와 범주, 성격 등도 명확하지 못한 채 지금에 이르렀다. 필자는 이미 동아시아 육지문화와 해양문화의 환류성(還流性) 속에서 한국 고전해양문학의 가능성을 타진한 바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고전문학 연구의 단선성을 극복하기 위해, 또 해양지대의 상상과 욕망도 엄연한 한국문화의 중요한 구성 요소임을 공유하는 차원에서 해당 분야에 대한 접근의 시각, 자료의 확충, 전면적인 층위의 재구성 등을 제시하였다. 특히 고전해양문학의 전체상을 위해서 가장 시급한 현안이 자료의 확충인데, 장르를 넘어선 해당 자료의 전면적인 발굴과 정리의 필요성이다. 이런 자료 확충의 기반 아래 그 유형을 네 가지 층위로 상정하였다. 즉 해양지대의 삶과 정감, 욕망의 구현, 총체성의 재구성 등이다. 또한 조선후기 창작주체들의 해양에 대한 관심과 인식의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하고, 해양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서사 전통인 표류담의 사례를 가지고 고전해양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짚어 보았다. 마지막으로 향후 이 분야 연구의 기대지평을 고전문학 연구, 한국 문학지리학의 실현, 한국해양문학사의 구성 등으로 전망하였다.
      번역하기

      이 글은 고전해양문학의 정위(正位)를 재범주화 하여 한국 고전문학의 하위 분야로 정초하기 위한 논의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시야와 자료 확충 등의 현안과 함께 향후 해당 분야 연구의 기...

      이 글은 고전해양문학의 정위(正位)를 재범주화 하여 한국 고전문학의 하위 분야로 정초하기 위한 논의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시야와 자료 확충 등의 현안과 함께 향후 해당 분야 연구의 기대지평까지 전망한 것이다. 고전해양문학은 1990년대부터 연구의 대상이 되기 시작했으나 그 대상이 몇몇 작품이나 표해록에 한정되었다. 거기에 정의와 범주, 성격 등도 명확하지 못한 채 지금에 이르렀다. 필자는 이미 동아시아 육지문화와 해양문화의 환류성(還流性) 속에서 한국 고전해양문학의 가능성을 타진한 바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고전문학 연구의 단선성을 극복하기 위해, 또 해양지대의 상상과 욕망도 엄연한 한국문화의 중요한 구성 요소임을 공유하는 차원에서 해당 분야에 대한 접근의 시각, 자료의 확충, 전면적인 층위의 재구성 등을 제시하였다. 특히 고전해양문학의 전체상을 위해서 가장 시급한 현안이 자료의 확충인데, 장르를 넘어선 해당 자료의 전면적인 발굴과 정리의 필요성이다. 이런 자료 확충의 기반 아래 그 유형을 네 가지 층위로 상정하였다. 즉 해양지대의 삶과 정감, 욕망의 구현, 총체성의 재구성 등이다. 또한 조선후기 창작주체들의 해양에 대한 관심과 인식의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하고, 해양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서사 전통인 표류담의 사례를 가지고 고전해양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짚어 보았다. 마지막으로 향후 이 분야 연구의 기대지평을 고전문학 연구, 한국 문학지리학의 실현, 한국해양문학사의 구성 등으로 전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모룡, "해양풍경" 산지니 2013

      2 구모룡, "해양문학이란 무엇인가" 전망 2004

      3 조규익, "해양문학을 찾아서" 집문당 1994

      4 김승호, "해양공간의 설화적 수용과 의미 -三國遺事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37) : 41-70, 2009

      5 구모룡, "한국 ‘해양문학’ 연구의 현실과 전망" 새얼문화재단 4 : 1994

      6 남송우, "한․중 해양문학론 논의의 현황과 방향성 모색"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24, 2016

      7 김수연, "표류지에 대한 조선후기 상상력 일고" 이화어문학회 37 : 2015

      8 최영호, "통섭적 사유와 인문학적 상상력: 해양문학의 지평 확대를 위하여" 국제언어인문학회 13 (13): 73-96, 2011

      9 정환국, "조작되는 하위/ 하위주체들 - 횡재 소재 표류서사의 변이양상과 하위주체의 성격" 민족문학사연구소 (68) : 131-158, 2018

      10 정환국, "조선 후기 표류를 통해 ‘발견된’ 섬, 그 심상지리적 성격" 민족문학사연구소 (71) : 259-287, 2019

      1 구모룡, "해양풍경" 산지니 2013

      2 구모룡, "해양문학이란 무엇인가" 전망 2004

      3 조규익, "해양문학을 찾아서" 집문당 1994

      4 김승호, "해양공간의 설화적 수용과 의미 -三國遺事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37) : 41-70, 2009

      5 구모룡, "한국 ‘해양문학’ 연구의 현실과 전망" 새얼문화재단 4 : 1994

      6 남송우, "한․중 해양문학론 논의의 현황과 방향성 모색"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24, 2016

      7 김수연, "표류지에 대한 조선후기 상상력 일고" 이화어문학회 37 : 2015

      8 최영호, "통섭적 사유와 인문학적 상상력: 해양문학의 지평 확대를 위하여" 국제언어인문학회 13 (13): 73-96, 2011

      9 정환국, "조작되는 하위/ 하위주체들 - 횡재 소재 표류서사의 변이양상과 하위주체의 성격" 민족문학사연구소 (68) : 131-158, 2018

      10 정환국, "조선 후기 표류를 통해 ‘발견된’ 섬, 그 심상지리적 성격" 민족문학사연구소 (71) : 259-287, 2019

      11 이원명, "정본 한국 야담전집 08" 보고사 2021

      12 정환국, "정본 한국 야담전집 07" 보고사 2021

      13 유몽인, "정본 한국 야담전집 01" 보고사 2021

      14 고순희, "우리 고전 해양문학 연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해양문화학회 (창간) : 2005

      15 이중환, "완역 정본 택리지" 휴머니스트 2018

      16 신경준, "여암전서" 경인문화사 1976

      17 김태준, "서평—윤치부 지음 한국해양문학연구" 국어국문학회 (111) : 1994

      18 정환국, "동아시아 漂流敍事 序說 ―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端緖로써" 대동문화연구원 (100) : 295-320, 2017

      19 김정녀, "고전서사문학에서 해양문학론의 현황과 전망 -표해류 작품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2 (12): 25-43, 2011

      20 이경엽, "고전문학에 나타난 해양인식 태도—어부가 ․ 표해록 ․ 어로요를 중심으로"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20 : 2002

      21 조용호, "고전문학과 바다" 민속원 2015

      22 정환국, "거인 소재 표류담의 몇 국면" 대동문화연구원 (101) : 103-130, 2018

      23 신익철, "申景濬의 국토지리관과 海路·船舶에 대한 인식" 한국한문학회 (43) : 109-135, 2009

      24 유득공, "古芸堂筆記" 한국고전번역원 2020

      25 정환국, "18세기 후반 한문단편의 성격 -한문단편의 세속화적 경향과 관련하여-" 한국고전문학회 (54) : 185-218, 2018

      26 정환국, "18세기 제주문인 정체성의 일단: 장한철 『표해록(漂海錄)』의 경우" 한국문학연구소 (65) : 111-149,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4 1.46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