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모룡, "해양풍경" 산지니 2013
2 구모룡, "해양문학이란 무엇인가" 전망 2004
3 조규익, "해양문학을 찾아서" 집문당 1994
4 김승호, "해양공간의 설화적 수용과 의미 -三國遺事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37) : 41-70, 2009
5 구모룡, "한국 ‘해양문학’ 연구의 현실과 전망" 새얼문화재단 4 : 1994
6 남송우, "한․중 해양문학론 논의의 현황과 방향성 모색"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24, 2016
7 김수연, "표류지에 대한 조선후기 상상력 일고" 이화어문학회 37 : 2015
8 최영호, "통섭적 사유와 인문학적 상상력: 해양문학의 지평 확대를 위하여" 국제언어인문학회 13 (13): 73-96, 2011
9 정환국, "조작되는 하위/ 하위주체들 - 횡재 소재 표류서사의 변이양상과 하위주체의 성격" 민족문학사연구소 (68) : 131-158, 2018
10 정환국, "조선 후기 표류를 통해 ‘발견된’ 섬, 그 심상지리적 성격" 민족문학사연구소 (71) : 259-287, 2019
1 구모룡, "해양풍경" 산지니 2013
2 구모룡, "해양문학이란 무엇인가" 전망 2004
3 조규익, "해양문학을 찾아서" 집문당 1994
4 김승호, "해양공간의 설화적 수용과 의미 -三國遺事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37) : 41-70, 2009
5 구모룡, "한국 ‘해양문학’ 연구의 현실과 전망" 새얼문화재단 4 : 1994
6 남송우, "한․중 해양문학론 논의의 현황과 방향성 모색"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24, 2016
7 김수연, "표류지에 대한 조선후기 상상력 일고" 이화어문학회 37 : 2015
8 최영호, "통섭적 사유와 인문학적 상상력: 해양문학의 지평 확대를 위하여" 국제언어인문학회 13 (13): 73-96, 2011
9 정환국, "조작되는 하위/ 하위주체들 - 횡재 소재 표류서사의 변이양상과 하위주체의 성격" 민족문학사연구소 (68) : 131-158, 2018
10 정환국, "조선 후기 표류를 통해 ‘발견된’ 섬, 그 심상지리적 성격" 민족문학사연구소 (71) : 259-287, 2019
11 이원명, "정본 한국 야담전집 08" 보고사 2021
12 정환국, "정본 한국 야담전집 07" 보고사 2021
13 유몽인, "정본 한국 야담전집 01" 보고사 2021
14 고순희, "우리 고전 해양문학 연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해양문화학회 (창간) : 2005
15 이중환, "완역 정본 택리지" 휴머니스트 2018
16 신경준, "여암전서" 경인문화사 1976
17 김태준, "서평—윤치부 지음 한국해양문학연구" 국어국문학회 (111) : 1994
18 정환국, "동아시아 漂流敍事 序說 ―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端緖로써" 대동문화연구원 (100) : 295-320, 2017
19 김정녀, "고전서사문학에서 해양문학론의 현황과 전망 -표해류 작품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2 (12): 25-43, 2011
20 이경엽, "고전문학에 나타난 해양인식 태도—어부가 ․ 표해록 ․ 어로요를 중심으로"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20 : 2002
21 조용호, "고전문학과 바다" 민속원 2015
22 정환국, "거인 소재 표류담의 몇 국면" 대동문화연구원 (101) : 103-130, 2018
23 신익철, "申景濬의 국토지리관과 海路·船舶에 대한 인식" 한국한문학회 (43) : 109-135, 2009
24 유득공, "古芸堂筆記" 한국고전번역원 2020
25 정환국, "18세기 후반 한문단편의 성격 -한문단편의 세속화적 경향과 관련하여-" 한국고전문학회 (54) : 185-218, 2018
26 정환국, "18세기 제주문인 정체성의 일단: 장한철 『표해록(漂海錄)』의 경우" 한국문학연구소 (65) : 111-149,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