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무용동작치료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 무용동작치료의 활용방안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학위논문과 학술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68847
2017
-
중년기 여성 ; 우울 ; 무용동작치료 ; 정서표현 ; 문헌연구 ; middle-aged women ; depression ; dance movement therapy ; emotion expression ; literature review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1-45(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무용동작치료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 무용동작치료의 활용방안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학위논문과 학술지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무용동작치료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 무용동작치료의 활용방안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학위논문과 학술지 17편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자기 감정표현의 어려움으로 우울을 경험하는 중년기 여성에게 무용동작치료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한 무용동작치료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프로그램별, 하위요인별로 연구를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프로그램 개발 절차나 구성에 대한 근거를 밝히고 있지 않았다. 이에 프로그램 적용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적절한 구성과 내용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아직 무용동작치료가 대중화, 일반화 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할 때 명확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를 따른 프로그램의 구성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또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보다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향후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중년여성 우울의 어느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상의 문헌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무용동작치료의 일반화에 일조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둘째, 연구에 이용한 선행 연구 수가 많지 않아 연구 결과를 객관화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eding researches of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to reduce the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to examine their effectiveness and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the dance movement therapy. The 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eding researches of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to reduce the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to examine their effectiveness and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the dance movement therap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eding researches show that the dance movement therapy was effective for those who experience the depression as they struggle to express their own emotions. Second, I analyzed the researches in order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the dance movement therapy through the proceeding research by its programs and sub factors, most of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of the proceeding research did not disclose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or the resource of the compos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proper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program in order to secure the efficiency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Especially,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the dance movement therapy is not popular nor to be generalized, the program composition that follows the specific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is highly necessary. Also, to apply the dance movement therapy more concretely, the further study needs to examine in which part of the depression of the middle aged women, the dance movement therapy is effective.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these are suggestions. Firs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I expect that the dance movement therapy for the middle-aged women depression decrease is composed and the many researches that help the generalization of dance movement therapy are taken. Second, I considered that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s of proceeding researches that a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 has limitation to be objectified.
무용/동작치료의 고유성(originality)에 대한 고찰 : 신체심리치료, 치유적 무용교육과의 공통적 토대와 경계
보호관찰소 청소년 대상으로 정서 인식 및 정서 표현을 강화한 무용/동작 심리치료 프로그램 효과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분석: 너나들이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