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트남 여성들이 지각하는 K-beauty와 한국화장품 브랜드 이미지 = Images of K-beauty and Korean Cosmetic Brands Perceived by Vietnamese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64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anks to the wide spread of Korean wave, demand for Korean cosmetics has been increasing very rapid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ages on K-beauty and Korean cosmetic brands perceived by Vietnamese women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osmetic industry and cultural contents.
      Thirty seven Vietnamese women participated in mobile focused group interviews in 5 groups. Pre-test was conducted in February, 2015 and the main interviews during 4 weekends in March, 2015. Word Cloud software was used in the analysis and the Korean cosmetic brand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for the analysis.
      Images perceived by Vietnamese women on Korea or K-beauty were closely related to Korean entertainers. Naturalness and white skin were the most dominant images of K-beauty. The expensive brands relied heavily on the models for their images, and effects such as anti-aging or moisturizing were also well conveyed. Mass cosmetic brands were perceived eco-friendly and reasonably priced, while mass makeup brands had distinctive images depending the package and jar designs. Bodycare brands were commonly associated with good smell.
      While the K-beauty images relied heavily on the images of Korean entertainers, Korean cosmetic brands seemed to have well-established images unique to each brand and brand categories.
      번역하기

      Thanks to the wide spread of Korean wave, demand for Korean cosmetics has been increasing very rapid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ages on K-beauty and Korean cosmetic brands perceived by Vietnamese women in order to contribute...

      Thanks to the wide spread of Korean wave, demand for Korean cosmetics has been increasing very rapid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ages on K-beauty and Korean cosmetic brands perceived by Vietnamese women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osmetic industry and cultural contents.
      Thirty seven Vietnamese women participated in mobile focused group interviews in 5 groups. Pre-test was conducted in February, 2015 and the main interviews during 4 weekends in March, 2015. Word Cloud software was used in the analysis and the Korean cosmetic brand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for the analysis.
      Images perceived by Vietnamese women on Korea or K-beauty were closely related to Korean entertainers. Naturalness and white skin were the most dominant images of K-beauty. The expensive brands relied heavily on the models for their images, and effects such as anti-aging or moisturizing were also well conveyed. Mass cosmetic brands were perceived eco-friendly and reasonably priced, while mass makeup brands had distinctive images depending the package and jar designs. Bodycare brands were commonly associated with good smell.
      While the K-beauty images relied heavily on the images of Korean entertainers, Korean cosmetic brands seemed to have well-established images unique to each brand and brand catego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류의 확산과 함께 한국 화장품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베트남 여성들이 지각하는 K-beauty와 한국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를 파악하여 한국 화장품과 문화 콘텐츠 개발에 이바지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하노이에 거주하고 있는 20대 베트남 여성 37명을 5개 그룹으로 나누어 모바일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2015년 2월에 이루어졌으며, 본 조사는 3월 중 4 주말에 걸쳐 실시되었다. 분석에는 Word Cloud 프로그램을 사용되었고, 한국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는 고가 브랜드, 중저가 브랜드, 중저가 색조브랜드, 바디케어 브랜드의 4개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베트남 여성들이 지각하는 한국과 K-beauty에 대한 이미지는 한류 스타들과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K-beauty 이미지는 자연미와 희고 고운 피부가 가장 두드러졌다. 고가화장품 브랜드 이미지는 각 브랜드의 광고 모델과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 있었으며, 안티에이징, 보습 등의 기능성도 잘 인식되어 있었다. 중저가 브랜드는 자연친화적이고 가격이 적당하다고 인식되어 있었고, 중저가 색조화장품 브랜드는 패키지·용기 디자인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브랜드 별 아이덴티티가 뚜렷하게 성립되어 있었다. 바디케어 화장품 브랜드는 좋은 향에 대한 이미지가 뚜렷하였다.
      베트남 여성들은 한류스타와 깊게 연관된 K-beauty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 화장품 브랜드들은 유형 별, 브랜드 별로 차별화된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한류의 확산과 함께 한국 화장품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베트남 여성들이 지각하는 K-beauty와 한국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를 파악하여 한국 화장품과 문화 콘텐...

      한류의 확산과 함께 한국 화장품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베트남 여성들이 지각하는 K-beauty와 한국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를 파악하여 한국 화장품과 문화 콘텐츠 개발에 이바지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하노이에 거주하고 있는 20대 베트남 여성 37명을 5개 그룹으로 나누어 모바일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2015년 2월에 이루어졌으며, 본 조사는 3월 중 4 주말에 걸쳐 실시되었다. 분석에는 Word Cloud 프로그램을 사용되었고, 한국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는 고가 브랜드, 중저가 브랜드, 중저가 색조브랜드, 바디케어 브랜드의 4개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베트남 여성들이 지각하는 한국과 K-beauty에 대한 이미지는 한류 스타들과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K-beauty 이미지는 자연미와 희고 고운 피부가 가장 두드러졌다. 고가화장품 브랜드 이미지는 각 브랜드의 광고 모델과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 있었으며, 안티에이징, 보습 등의 기능성도 잘 인식되어 있었다. 중저가 브랜드는 자연친화적이고 가격이 적당하다고 인식되어 있었고, 중저가 색조화장품 브랜드는 패키지·용기 디자인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브랜드 별 아이덴티티가 뚜렷하게 성립되어 있었다. 바디케어 화장품 브랜드는 좋은 향에 대한 이미지가 뚜렷하였다.
      베트남 여성들은 한류스타와 깊게 연관된 K-beauty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 화장품 브랜드들은 유형 별, 브랜드 별로 차별화된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령, "한류인식, 구매목적, 외모관여도에 따른 중국 여성관광객의 한국화장품 구매행동" 한국미용학회 21 (21): 336-346, 2015

      2 이창현, "한류경험의 유형이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기업 및 제품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87) : 364-391, 2010

      3 이제홍, "한류가 베트남 시장에서 한국 이미지와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7 (17): 73-91, 2015

      4 이수희, "한국 화장품 브랜드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 특성이 한류 스타 애착 및 브랜드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 국제지역학회 20 (20): 141-172, 2016

      5 전형연, "한·중·일 3개국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이미지 인식 연구 -3개국 9개 브랜드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44 : 255-292, 2015

      6 도경은, "친환경소재가 적용된 화장품브랜드 용기디자인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8 (8): 57-68, 2010

      7 정형식, "중국시장에서 소비자의 한류지각이 한국상품 구매 및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학회 17 (17): 79-102, 2006

      8 김종섭, "중국내 한류가 한국화장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학회 17 (17): 195-217, 2013

      9 손성, "중국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에 따른 선호 용기 형태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한국감성과학회 11 (11): 531-540, 2008

      10 김경미, "제품의 가치론적 정체성에 근거한 글로벌 브랜드 전략 연구" 18 : 2005

      1 오령, "한류인식, 구매목적, 외모관여도에 따른 중국 여성관광객의 한국화장품 구매행동" 한국미용학회 21 (21): 336-346, 2015

      2 이창현, "한류경험의 유형이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기업 및 제품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87) : 364-391, 2010

      3 이제홍, "한류가 베트남 시장에서 한국 이미지와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7 (17): 73-91, 2015

      4 이수희, "한국 화장품 브랜드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 특성이 한류 스타 애착 및 브랜드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 국제지역학회 20 (20): 141-172, 2016

      5 전형연, "한·중·일 3개국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이미지 인식 연구 -3개국 9개 브랜드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44 : 255-292, 2015

      6 도경은, "친환경소재가 적용된 화장품브랜드 용기디자인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8 (8): 57-68, 2010

      7 정형식, "중국시장에서 소비자의 한류지각이 한국상품 구매 및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학회 17 (17): 79-102, 2006

      8 김종섭, "중국내 한류가 한국화장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학회 17 (17): 195-217, 2013

      9 손성, "중국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에 따른 선호 용기 형태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한국감성과학회 11 (11): 531-540, 2008

      10 김경미, "제품의 가치론적 정체성에 근거한 글로벌 브랜드 전략 연구" 18 : 2005

      11 김찬주, "일본과 중국 관광객의 한국 화장품 구매행동 비교" 한국복식학회 62 (62): 127-138, 2012

      12 김정욱,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의 구매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4

      13 "뷰티누리"

      14 "문화신문"

      15 울지바야르, "몽골 소비자의 한국산 화장품 구매의도에 국가이미지와 제품 이미지가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16 Chung, K, "The antecedent and consequences of brand image in a low-priced cosmetic brand of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u-ande-Service" 9 (9): 2016

      17 Kotler, P, "Marketing 3.0" John Wiley & Sons, Inc 2010

      18 김보영, "Brand Name의 현지화, 광고모델 이미지 및 원산지 이미지가 중국소비자의 한국산 화장품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23 (23): 1-23,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0.77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