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웹 3D 디스플레이를 통한 3D 콘텐츠의 전시 및 정보제시 방법에 대한 고찰 - 웹을 통한 사이버박물관의 구축을 중심으로 - = The 3D Contents and Information Display in the Web -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Cyber Museu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640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displaying 3D objects by using WebGL which is standardized with HTML5 among the technologies that implement 3D graphics in web environment. This is evolved from a virtual space that has been limitedly implemented by existing technologies such as `panoramic virtual museum` or VRML, which requires external plug-in, to Web3D exhibition interface that anyone can experience at the usual web environment. In this study, 3D data type which is suitable for WebGL technology was determined. And graphics technology suitable for Web3D was researched and utilized, thereby trying to obtain more realistic expression in a limited web environment. In addition, we have proposed the various web 3D virtual space creation methods using BIM tools and 3D modeling tools, and compared them to suggest a suitable method. We have generalized these display methods for 3D contents as a whole and propose a framework considering viewers` navigation as a method of presenting 3D information. Finally, we propose a framework as a method of presenting 3D information by generalizing such exhibition methods to 3D contents as a whole.
      번역하기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displaying 3D objects by using WebGL which is standardized with HTML5 among the technologies that implement 3D graphics in web environment. This is evolved from a virtual space that has been limitedly implemented by exi...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displaying 3D objects by using WebGL which is standardized with HTML5 among the technologies that implement 3D graphics in web environment. This is evolved from a virtual space that has been limitedly implemented by existing technologies such as `panoramic virtual museum` or VRML, which requires external plug-in, to Web3D exhibition interface that anyone can experience at the usual web environment. In this study, 3D data type which is suitable for WebGL technology was determined. And graphics technology suitable for Web3D was researched and utilized, thereby trying to obtain more realistic expression in a limited web environment. In addition, we have proposed the various web 3D virtual space creation methods using BIM tools and 3D modeling tools, and compared them to suggest a suitable method. We have generalized these display methods for 3D contents as a whole and propose a framework considering viewers` navigation as a method of presenting 3D information. Finally, we propose a framework as a method of presenting 3D information by generalizing such exhibition methods to 3D contents as a who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연, "전시공간에서 나타나는몰입경험 표현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2 (12): 187-198, 2014

      2 최길흥, "전시공간 선택속성이 전시공간 관람객의 이용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아산 산림자연사박물관”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596-604, 2015

      3 김새록, "전시 공간의 인터랙션 특성 연구- 상업·비상업 전시 공간 특성 비교 -"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123-133, 2014

      4 임현민, "웹페이지 기반의 가상박물관 현황과 향후 발전방향" 2014

      5 황준호, "서울대 미술관에서 나타나는 연속적 전시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6 이경훈, "사이버공간의 특성과 가상건축의 의미에 관한 연구" 2001

      7 배혜진, "사이버 가상박물관의 공간특성과 발전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8) : 151-158, 2002

      8 최성희, "미술관 전시 공간 내 체험적 요소를 구조화하기: 관계미학의 교육적 의미"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6 (16): 51-74, 2015

      9 "국립중앙박물관 뮤지엄뷰"

      10 류재호, "건축에 있어서 가상성에 관한 연구 - 건축역사 속의 가상성과 가상현실기술의 건축디자인 활용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1 (31): 51-61, 2015

      1 김효연, "전시공간에서 나타나는몰입경험 표현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2 (12): 187-198, 2014

      2 최길흥, "전시공간 선택속성이 전시공간 관람객의 이용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아산 산림자연사박물관”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596-604, 2015

      3 김새록, "전시 공간의 인터랙션 특성 연구- 상업·비상업 전시 공간 특성 비교 -"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123-133, 2014

      4 임현민, "웹페이지 기반의 가상박물관 현황과 향후 발전방향" 2014

      5 황준호, "서울대 미술관에서 나타나는 연속적 전시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6 이경훈, "사이버공간의 특성과 가상건축의 의미에 관한 연구" 2001

      7 배혜진, "사이버 가상박물관의 공간특성과 발전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8) : 151-158, 2002

      8 최성희, "미술관 전시 공간 내 체험적 요소를 구조화하기: 관계미학의 교육적 의미"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6 (16): 51-74, 2015

      9 "국립중앙박물관 뮤지엄뷰"

      10 류재호, "건축에 있어서 가상성에 관한 연구 - 건축역사 속의 가상성과 가상현실기술의 건축디자인 활용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1 (31): 51-61, 2015

      11 하민아, "가상 뮤지엄에서 관람객 유형에 따른 전시관람모델 및 맞춤형 서비스 개념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5 (15): 147-162, 2016

      12 손태진, "假想現實建築에서 立體映像을 이용한 사이버공간 구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 (20): 117-124, 2004

      13 Jean-Baptiste Pettit, "bioWeb3D: an online webGL 3D data visualisation tool" 2013

      14 "X3D in Wikipedia"

      15 "Webgl Stats, Florian Boesch"

      16 류재호, "WebGL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기반의 사이버 박물관의 전시공간구성에 관한 고찰" 2016

      17 "WebGL, Khronos Group"

      18 "Wavefront .obj file in Wikipedia"

      19 "Virtual Museum in Wikipedia"

      20 "VRML in World Wide Web Consortium"

      21 "Unity to WebGL"

      22 요스 드륵센, "Three.js로 3D 그래픽 만들기" acorn+packt 2016

      23 "Three. js"

      24 Falk, J. H., "The museum experience" Howells House 1992

      25 "The Museum of the World"

      26 "The Museum of World Heritage"

      27 "Telepresence in Wikipedia"

      28 "Smithsonian X 3D Beta"

      29 "Point Cloud in Wikipedia"

      30 "OBJLoader, threejs.org"

      31 건축과환경, "Museum & Exhibition Space" 건축과환경 2008

      32 "List of WebGL frameworks in Wikipedia"

      33 Ho-Seok Kwang,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Web 3D Based Virtual Educational System using O3D-WebGL" 2014

      34 Peter Wayner, "HTML5 in the browser: Canvas, video, audio, and graphics" Infoworld Media Group

      35 "Graphics Pipeline in Wikipedia"

      36 "GRAPHISOFT"

      37 김성아, "CAAD교육에 있어서 모델링의 역할" 1997

      38 "Blender"

      39 "Baking, Blender"

      40 "BIM in Wikipedia"

      41 "BIM in Wikipedia"

      42 "Anti-aliasing, threejs.org"

      43 Biijin Chen, "A framework for browser-based Multiplayer Online Games using WebGL and WebSocket" 2011

      44 Chanhom, Weeraphan, "A Distributed Platform for Archiving and Viewing Cultural Artifacts in 3D Using WebGL" 2012

      45 "3D·COFORM 전시 웹사이트"

      46 Nicholas Rego, "3Dmol.js: molecular visualization with WebGL" 2015

      47 "3DMLW in Wikipedia"

      48 이유영, "3D 웹 인터페이스 브라우징에서의 사용자 감성어휘 도출" 한국감성과학회 13 (13): 659-668, 2010

      49 "3D SYSTEMS"

      50 "3D Online RISD Museum"

      51 윤신용, "(Mapping & Texture) 3ds Max 재질:Meterial: reality" 디지털북스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2-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융복합학회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KCI등재
      2012-02-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융복합연구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KCI등재
      2011-12-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포디자인학회 -> 디자인융복합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Design ->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KCI등재
      2011-12-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포디자인이슈 -> 디자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InfoDESIGN ISSUE -> Design Convergence Stud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1 0.53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