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8세기 초 독일의 신학적 지형을 통해 읽는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종교성악작품: 경건주의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와 그의 음악을 그가 속해 있던 신학적 문맥 안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으며 이 신학적 문맥 안에서 바흐와 그의 음악을 신학적인 언어와 담론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목표에 따라 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첫째는 바흐가 속해 있던 18세기 초 독일의 특수한 신학적 문맥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여 이를 재구성하는 것이고, 둘째는 재구성된 문맥 안에서 바흐의 종교성악작품들이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지 논의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염두에 둔 채 1년차, 2년차, 그리고 3년차 연구는 아래와 같은 내용, 범위, 방법 등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자의 1년차 연구는 바흐가 얼마나 신학적인 음악가였는가의 문제를 바흐의 '내부'가 아닌 '외부'를 통해 들여다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바흐를 둘러싸고 있던 신학적 문맥 안에 바흐를 위치시키고 이 문맥과 작곡가와의 관계, 나아가 이 문맥과 바흐 음악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1년차 연구의 결과물은 "요한 세바스찬 바흐와 18세기 초 독일의 신학적 지형: 아브라함 칼로프(Abraham Calov)에서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August Hermann Francke)까지"라는 제목으로 2012년 4월 30일 연구재단 등재지, 『음악논단』에 출판되었으며 2012년 4월 21일, 한국예술종합학교 <고음악연구소 2012 학술포럼>에서 "바흐와 신학"이라는 주제로 발표되었다.
      2년차 연구는 두 개의 논문 출판과 3회에 걸친 논문발표를 포함하고 있다. 출판된 두 논문 중 첫 번째 논문은 "18세기 초 라이프치히,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와 그 이후"라는 제목으로 2012년 10월 30일, 『음악논단』 제28집에 게재되었으며 두 번째 논문은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칸타타 가사에 담긴 다층적 텍스트 구조에 관한 소고: 정통루터교와 경건주의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한국서양음악학회에서 출간되는 등재지, 『서양음악학』에 2013년 5월 15일에 게재되었다. 또한, 2년차 연구의 일부는 2012년 6월 18일, 전국오르가니스트 대회에서 "바흐와 신학"이라는 제목으로, 2012년 9월 15일, 한국서양음악학회 제65차 학술포럼에서 "요한 세바스찬 바흐와 신학: 칼로프에서 프랑케까지, 그리고 프랑케를 넘어서"라는 제목으로, 그리고 2012년 12월 1일, 한국바로크학회 동계학술발표회에서 "18세기 초 라이프치히: 프랑케와 그 이후"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다.
      『음
      번역하기

      이 연구는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와 그의 음악을 그가 속해 있던 신학적 문맥 안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으며 이 신학적 문맥 안에서 바흐와 그의 음...

      이 연구는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와 그의 음악을 그가 속해 있던 신학적 문맥 안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으며 이 신학적 문맥 안에서 바흐와 그의 음악을 신학적인 언어와 담론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목표에 따라 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첫째는 바흐가 속해 있던 18세기 초 독일의 특수한 신학적 문맥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여 이를 재구성하는 것이고, 둘째는 재구성된 문맥 안에서 바흐의 종교성악작품들이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지 논의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염두에 둔 채 1년차, 2년차, 그리고 3년차 연구는 아래와 같은 내용, 범위, 방법 등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자의 1년차 연구는 바흐가 얼마나 신학적인 음악가였는가의 문제를 바흐의 '내부'가 아닌 '외부'를 통해 들여다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바흐를 둘러싸고 있던 신학적 문맥 안에 바흐를 위치시키고 이 문맥과 작곡가와의 관계, 나아가 이 문맥과 바흐 음악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1년차 연구의 결과물은 "요한 세바스찬 바흐와 18세기 초 독일의 신학적 지형: 아브라함 칼로프(Abraham Calov)에서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August Hermann Francke)까지"라는 제목으로 2012년 4월 30일 연구재단 등재지, 『음악논단』에 출판되었으며 2012년 4월 21일, 한국예술종합학교 <고음악연구소 2012 학술포럼>에서 "바흐와 신학"이라는 주제로 발표되었다.
      2년차 연구는 두 개의 논문 출판과 3회에 걸친 논문발표를 포함하고 있다. 출판된 두 논문 중 첫 번째 논문은 "18세기 초 라이프치히,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와 그 이후"라는 제목으로 2012년 10월 30일, 『음악논단』 제28집에 게재되었으며 두 번째 논문은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칸타타 가사에 담긴 다층적 텍스트 구조에 관한 소고: 정통루터교와 경건주의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한국서양음악학회에서 출간되는 등재지, 『서양음악학』에 2013년 5월 15일에 게재되었다. 또한, 2년차 연구의 일부는 2012년 6월 18일, 전국오르가니스트 대회에서 "바흐와 신학"이라는 제목으로, 2012년 9월 15일, 한국서양음악학회 제65차 학술포럼에서 "요한 세바스찬 바흐와 신학: 칼로프에서 프랑케까지, 그리고 프랑케를 넘어서"라는 제목으로, 그리고 2012년 12월 1일, 한국바로크학회 동계학술발표회에서 "18세기 초 라이프치히: 프랑케와 그 이후"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다.
      『음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rticularing Johann Sebastain Bach and his music in theologial terms.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spell out Bach and his music in relation to Pieism of the 18th century Germany, the theology that was derived fromj Orthodox Lutheranism, but has different orientation, attitude, and philosphoy. This study consists of 4 independent articles. The first article trys to place Bach in a theological context in whcih lived. By carefully examining Bach's theological library, ths study suggests that Bach cannot be considered to an orthdox Lutheran, nor pietist. The second article further focuses upon Leipzig, trying to construct a loose narrative that connects Bach, Leipizig, and Francke who led the Pietism at the end of 17th and the beginning of 18th century. By analyzing various types of arguments and complaints posed by Bach in the course of 1720s and 1730s, this article draws a parallel found in Bach's theological mind and the Pietism of the time. The third study turns its attention to Bach's cantat texts. By considering the cantata text carrying various ways in which both Lutheran Orthodoxy and Pieism of the time, this paper explores to the extext which various types of cantata text delivers these two types of theological implications. Finall
      번역하기

      This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rticularing Johann Sebastain Bach and his music in theologial terms.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spell out Bach and his music in relation to Pieism of the 18th century Germany, the theology that was derive...

      This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rticularing Johann Sebastain Bach and his music in theologial terms.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spell out Bach and his music in relation to Pieism of the 18th century Germany, the theology that was derived fromj Orthodox Lutheranism, but has different orientation, attitude, and philosphoy. This study consists of 4 independent articles. The first article trys to place Bach in a theological context in whcih lived. By carefully examining Bach's theological library, ths study suggests that Bach cannot be considered to an orthdox Lutheran, nor pietist. The second article further focuses upon Leipzig, trying to construct a loose narrative that connects Bach, Leipizig, and Francke who led the Pietism at the end of 17th and the beginning of 18th century. By analyzing various types of arguments and complaints posed by Bach in the course of 1720s and 1730s, this article draws a parallel found in Bach's theological mind and the Pietism of the time. The third study turns its attention to Bach's cantat texts. By considering the cantata text carrying various ways in which both Lutheran Orthodoxy and Pieism of the time, this paper explores to the extext which various types of cantata text delivers these two types of theological implications. Final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