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만해학술문화제 논문> 신간회 경성지회장 만해의 독립운동 = The study of the Han Yongwun’s Independence Movement when he was Seoul branch president of Shinganhoe a Korean independent party in Japanese imperi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0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n Yongun was a prison three years later in 1919 3.1 movement. From a time of deep reflection, he thought a lot about Korean society.
      Han Yongun was developed social activities after joining the Shinganhoe.
      He was elected as the first president of Seoul branch of Shinganhoe in June 10, 1927. He led a social movement related Workers, youth, peasants, and improve the status of women etc. and he was released a society enlightening article to support the Seoul branch of Shinganhoe.
      Who resigned as the first president of Seoul branch December 10, 1927 was focused on the anti-Japanese movement through the Buddhist Youth Movement. This exercise is not unlike Shinganhoe activities.
      Shinganhoe was dismantled in May 16, 1931. After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the Han Yongun was deployed in two ways. First, an article was published in Korea's social problems, Farmers problem, Hangul promote, encourage Corp, and education problems etc. This means Shinganhoe activity.
      The other one was to resist the control of the Korean Buddhism by the Japanese imperialism. It argued for the abolition of the controlled law of Korean Buddhism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was the impediment of Korea Buddhism. and the Korean Buddhist organization shall establish and develop Korea Buddhism.
      번역하기

      Han Yongun was a prison three years later in 1919 3.1 movement. From a time of deep reflection, he thought a lot about Korean society. Han Yongun was developed social activities after joining the Shinganhoe. He was elected as the first president of Se...

      Han Yongun was a prison three years later in 1919 3.1 movement. From a time of deep reflection, he thought a lot about Korean society.
      Han Yongun was developed social activities after joining the Shinganhoe.
      He was elected as the first president of Seoul branch of Shinganhoe in June 10, 1927. He led a social movement related Workers, youth, peasants, and improve the status of women etc. and he was released a society enlightening article to support the Seoul branch of Shinganhoe.
      Who resigned as the first president of Seoul branch December 10, 1927 was focused on the anti-Japanese movement through the Buddhist Youth Movement. This exercise is not unlike Shinganhoe activities.
      Shinganhoe was dismantled in May 16, 1931. After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the Han Yongun was deployed in two ways. First, an article was published in Korea's social problems, Farmers problem, Hangul promote, encourage Corp, and education problems etc. This means Shinganhoe activity.
      The other one was to resist the control of the Korean Buddhism by the Japanese imperialism. It argued for the abolition of the controlled law of Korean Buddhism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was the impediment of Korea Buddhism. and the Korean Buddhist organization shall establish and develop Korea Buddh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19년 3.1운동 이후 3년에 걸친 옥중 생활을 보낸 만해 한용운은 깊은 성찰의 시간을 통해 1913년 ‘조선불교유신론’ 발간 이후 불교개혁에 몰입했던 그의 정신적 영역을 조선 사회로 확대시킬 수 있었다. 이런 만해의 생각이 사회적 활동으로 전개될 수 있었던 계기는 신간회 참여였다.
      1927년 1월 신간회 발기인으로 참여한 그는 1927년 6월 10일 신간회의 대표적 지회인 경성지회 초대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경성지회장으로 노동자, 청년, 농민, 그리고 여성의 지위향상과 관련된 사회운동을 이끌었다. 그리고 사회계몽적인 글을 발표하며 경성지회의 활동을 지원하였다.
      1927년 12월 10일 제1회 정기대회에서 경성지회장직을 사임한 만해는 불교청년운동을 통한 항일운동에 집중하였다. 이런 조선불교의 정체성 정립을 통한 시대인식은 신간회 활동선상과 다르지 않다.
      범민족적 단일 독립당이었던 신간회는 1931년 5월 16일 창립대회 후 4년 만에 개최된 전국전체대회에서 해소가 결의되었다. 해소 직후 만해의 항일운동은 두 가지 측면으로 전개되었다. 하나는 신간회가 관심을 가졌던 조선의 사회문제에 대한 글을 발표하면서 민족 계몽운동을 지속하였다. 이 무렵 만해는 농민문제, 한글장려, 물산장려, 그리고 교육문제 등 신간회가 당면 목표로 하였던 문제에 관련한 글을 발표하였다. 이것은 만해가 해소 후 전개한 계몽운동이 신간회 활동의 연속임을 의미한다.
      다른 하나는 불교계 항일운동의 연장선으로 사찰령과 그 시행령으로 생겨난 사법 폐지인 식민불교 철폐였다. 만해는 이러한 법령으로 인한 정치적 간섭은 조선 민중들이 대중 불교를 건설하는데 방해 요소이며 정치적 희생이다. 그러므로 불교통일 기관을 세워 법령의 폐지를 주장하고 조선불교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번역하기

      1919년 3.1운동 이후 3년에 걸친 옥중 생활을 보낸 만해 한용운은 깊은 성찰의 시간을 통해 1913년 ‘조선불교유신론’ 발간 이후 불교개혁에 몰입했던 그의 정신적 영역을 조선 사회로 확대시...

      1919년 3.1운동 이후 3년에 걸친 옥중 생활을 보낸 만해 한용운은 깊은 성찰의 시간을 통해 1913년 ‘조선불교유신론’ 발간 이후 불교개혁에 몰입했던 그의 정신적 영역을 조선 사회로 확대시킬 수 있었다. 이런 만해의 생각이 사회적 활동으로 전개될 수 있었던 계기는 신간회 참여였다.
      1927년 1월 신간회 발기인으로 참여한 그는 1927년 6월 10일 신간회의 대표적 지회인 경성지회 초대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경성지회장으로 노동자, 청년, 농민, 그리고 여성의 지위향상과 관련된 사회운동을 이끌었다. 그리고 사회계몽적인 글을 발표하며 경성지회의 활동을 지원하였다.
      1927년 12월 10일 제1회 정기대회에서 경성지회장직을 사임한 만해는 불교청년운동을 통한 항일운동에 집중하였다. 이런 조선불교의 정체성 정립을 통한 시대인식은 신간회 활동선상과 다르지 않다.
      범민족적 단일 독립당이었던 신간회는 1931년 5월 16일 창립대회 후 4년 만에 개최된 전국전체대회에서 해소가 결의되었다. 해소 직후 만해의 항일운동은 두 가지 측면으로 전개되었다. 하나는 신간회가 관심을 가졌던 조선의 사회문제에 대한 글을 발표하면서 민족 계몽운동을 지속하였다. 이 무렵 만해는 농민문제, 한글장려, 물산장려, 그리고 교육문제 등 신간회가 당면 목표로 하였던 문제에 관련한 글을 발표하였다. 이것은 만해가 해소 후 전개한 계몽운동이 신간회 활동의 연속임을 의미한다.
      다른 하나는 불교계 항일운동의 연장선으로 사찰령과 그 시행령으로 생겨난 사법 폐지인 식민불교 철폐였다. 만해는 이러한 법령으로 인한 정치적 간섭은 조선 민중들이 대중 불교를 건설하는데 방해 요소이며 정치적 희생이다. 그러므로 불교통일 기관을 세워 법령의 폐지를 주장하고 조선불교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운허, "한용운전집 4권" 불교문화연구원 419-420, 2006

      2 염무웅, "한용운전집 4권" 불교문화연구원 386-405, 2006

      3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364-365, 2006

      4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218-223, 2006

      5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206-209, 2006

      6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130-132, 2006

      7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196-199, 2006

      8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160-169, 2006

      9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149-159, 2006

      10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134-145, 2006

      1 운허, "한용운전집 4권" 불교문화연구원 419-420, 2006

      2 염무웅, "한용운전집 4권" 불교문화연구원 386-405, 2006

      3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364-365, 2006

      4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218-223, 2006

      5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206-209, 2006

      6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130-132, 2006

      7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196-199, 2006

      8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160-169, 2006

      9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149-159, 2006

      10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134-145, 2006

      11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365-, 2006

      12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366-, 2006

      13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200-205, 2006

      14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386-387, 2006

      15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388-, 2006

      16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387-, 2006

      17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216-218, 2006

      18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284-, 2006

      19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285-, 2006

      20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285-, 2006

      21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361-372, 2006

      22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380-, 2006

      23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380-, 2006

      24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381-, 2006

      25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383-, 2006

      26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383-384, 2006

      27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384-, 2006

      28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385-386, 2006

      29 박걸순, "한용운의 생애와 독립투쟁"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202, 1992

      30 삼보학회, "한국불교최근백년사 제4 - 1책" 민족사 1-146, 1985

      31 夢庭生, "청년운동의 통일을 促함" 불교사 (76) : 23-33, 1930

      32 조대순, "종헌반포 기념일과 청년동맹" 불교사 (104) : 14-15, 1933

      33 "조선총독부관보"

      34 "조선일보"

      35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下卷" 신문관 1-1248, 1918

      36 김경집, "일제하 한국불교 통제정책과 추이" 원효학연구원 17 : 43-74, 2012

      37 신용하, "신간회의 민족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349, 2007

      38 이은우, "신간회 운동에 대하여" 성신여대 사학회 12·13 : 253-280, 1995

      39 조규태, "신간회 경성지회의 조직과 활동" 국사편찬위원회 89 : 237-258, 2000

      40 이애숙, "세계 대공황기 사회주의진영의 전술 전환과 신간회 해소문제" 한국역사연구회 11 : 50-88, 1994

      41 "동아일보"

      42 "대한불교"

      43 유병덕, "근대한국불교사론" 민족사 103-181, 1992

      44 정광호, "근대한국불교사론" 민족사 69-101, 1992

      45 김경집, "日帝下 寺法에 관한 연구" 한국불교학회 (49) : 267-296, 2007

      46 박찬승, "1920년대 중반~1930년대 초 민족주의 좌파의 신간회운동론" 한국사연구회 80 : 58-89,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5-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재단법인 선학원 부설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1.3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