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만해학술문화제 논문> 만해의 ≪님의 침묵≫에 나타난 독립사상의 특징 = A Characteristic of the Independent Thought in Manhae's Nimeuichimmu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05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independent thought in the poetry of Manhae(1879-1944)'s Nimeuichimmuk(Silence of the Beloved). Manhae continuously waged the independent movement campaign based on the national history and tradition, resisting without any reconciliation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Even though the March 1st Movement ended in a failure, Manhae objectively came to recognize the nationalism and imperialism and also to have a new recognition about the permanent world peace stressing liberty and equality.
      The characteristic of Manhae's independent thought is the criticism on the modernity, imperialism like German and Japan. Above all, his focal point was the recovery of genuine liberty and equality, and national autonomy. Although Manhae was a Buddhist monk, seeing through a "change of times in advance, he exposed his mission to awaken the uncivilized people and to inculcate in them the doctrine of independence and self-respect. In this vein, he tried to present a direction to the people wandering and suffering because of the loss of the nation after the fail of the March 1st Movement through Nimeuichimmuk.
      Actually, the anthology expresses his strong will to sovereign independence by using the high poetic mechanism such as symbols, figures and paradoxes: grass, tree, flowers, etc. In a sense, influenced by Indian poet Targore, Manhae's poetic works are the product of the resistance expressing distinctly his dauntless independent will 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while redeem people's pain ad suffering.
      Consequently, Manahe's independent thought and writing poetry is a practical activity for an independent sovereignty, and it is not separated each other but has an organic interrelation based on a strong will and imagination toward a national independence and self-respec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independent thought in the poetry of Manhae(1879-1944)'s Nimeuichimmuk(Silence of the Beloved). Manhae continuously waged the independent movement campaign based on the national history and tradition, resist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independent thought in the poetry of Manhae(1879-1944)'s Nimeuichimmuk(Silence of the Beloved). Manhae continuously waged the independent movement campaign based on the national history and tradition, resisting without any reconciliation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Even though the March 1st Movement ended in a failure, Manhae objectively came to recognize the nationalism and imperialism and also to have a new recognition about the permanent world peace stressing liberty and equality.
      The characteristic of Manhae's independent thought is the criticism on the modernity, imperialism like German and Japan. Above all, his focal point was the recovery of genuine liberty and equality, and national autonomy. Although Manhae was a Buddhist monk, seeing through a "change of times in advance, he exposed his mission to awaken the uncivilized people and to inculcate in them the doctrine of independence and self-respect. In this vein, he tried to present a direction to the people wandering and suffering because of the loss of the nation after the fail of the March 1st Movement through Nimeuichimmuk.
      Actually, the anthology expresses his strong will to sovereign independence by using the high poetic mechanism such as symbols, figures and paradoxes: grass, tree, flowers, etc. In a sense, influenced by Indian poet Targore, Manhae's poetic works are the product of the resistance expressing distinctly his dauntless independent will 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while redeem people's pain ad suffering.
      Consequently, Manahe's independent thought and writing poetry is a practical activity for an independent sovereignty, and it is not separated each other but has an organic interrelation based on a strong will and imagination toward a national independence and self-resp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독립의 서」를 중심으로 만해의 독립사상의 특징과 그의 시 쓰기는 실천적 행위로서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민족독립에 대한 강한 의식과 시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살펴보는데 있다. 만해의 계몽주의와 혁신적인 사상적 행보에 보다 본질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무엇보다도 불교의 평등주의이며, 또한 양계초의 『음빙실문집』과 『영환지략』이라 할 수 있다.
      비록 3·1운동이 실패로 끝나고 말았지만은 만해는 3·1운동을 겪으면서 민족주의와 제국주의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갖게 되었고 또한 자유와 평등을 강조하는 항구적인 평화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었다. 만해의 독립사상의 특징은 제국주의로 요약되는 근대성에 대한 비판이며, 그 핵심은 진정한 자유와 평등, 민족자존성의 회복이었다. 따라서 그는 당시 전 인류가 자유와 평화를 갈망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위협하는 독일과 일본으로 대표되는 군국주의 세력이 종식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던 것이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각 민족의 독립자결은 인간 자존성의 본능이며 동시에 세계의 대세이고, 인류 미래의 행복의 원천이라는 믿음과 세계관에서 비롯되었다.
      3.1운동의 실패라는 역사적 사건으로 인하여 우리 문학에서는 전에 없이 많은 ‘님’의 시를 낳고 있다. 이러한 문학의 현실 상황에서 만해는 나라를 잃고 헤매는 우리 민족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현실의 침묵하는, 부재한 ‘님’을 찾았다. 삶의 기둥이 되는 ‘님’을 상실한, 즉 침묵의 시대에 있어서 불굴의 정신으로 민족의 자주 독립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현한 시집이 바로 『님의 침묵』이다. 그런 점에서 만해의 시문학은 불굴의 독립의 의지에서 배태되고 표출된 뜨거운 시혼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제국주의의 문화적, 정치적 속박에서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운동의 한 방편으로 저항적이고 혁명적인 국민문학이 요구되는 시대에 만해 시문학의 핵심적인 주제는 진정한 자유와 평등이 보장된 평화로운 민주국가 건설이었다. 그러한 정치적, 문화적 시문학을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시적 매체로 만해는 풀잎, 꽃, 나무와 같은 객관적 상관물을 혁명적이고 정치적 이미지로 변용시켜 그 자신의 독립의지를 선명하게 드러내 보여주었다. 여기에는 일제 강점기라는 암울한 현실상황을 극복하려는 만해의 탈식민지적 인식과 비판적 인식이 내재되어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조선독립의 서」를 중심으로 만해의 독립사상의 특징과 그의 시 쓰기는 실천적 행위로서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민족독립에 대한 강한 의식과 시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상호 ...

      본 논문은 「조선독립의 서」를 중심으로 만해의 독립사상의 특징과 그의 시 쓰기는 실천적 행위로서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민족독립에 대한 강한 의식과 시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살펴보는데 있다. 만해의 계몽주의와 혁신적인 사상적 행보에 보다 본질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무엇보다도 불교의 평등주의이며, 또한 양계초의 『음빙실문집』과 『영환지략』이라 할 수 있다.
      비록 3·1운동이 실패로 끝나고 말았지만은 만해는 3·1운동을 겪으면서 민족주의와 제국주의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갖게 되었고 또한 자유와 평등을 강조하는 항구적인 평화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었다. 만해의 독립사상의 특징은 제국주의로 요약되는 근대성에 대한 비판이며, 그 핵심은 진정한 자유와 평등, 민족자존성의 회복이었다. 따라서 그는 당시 전 인류가 자유와 평화를 갈망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위협하는 독일과 일본으로 대표되는 군국주의 세력이 종식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던 것이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각 민족의 독립자결은 인간 자존성의 본능이며 동시에 세계의 대세이고, 인류 미래의 행복의 원천이라는 믿음과 세계관에서 비롯되었다.
      3.1운동의 실패라는 역사적 사건으로 인하여 우리 문학에서는 전에 없이 많은 ‘님’의 시를 낳고 있다. 이러한 문학의 현실 상황에서 만해는 나라를 잃고 헤매는 우리 민족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현실의 침묵하는, 부재한 ‘님’을 찾았다. 삶의 기둥이 되는 ‘님’을 상실한, 즉 침묵의 시대에 있어서 불굴의 정신으로 민족의 자주 독립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현한 시집이 바로 『님의 침묵』이다. 그런 점에서 만해의 시문학은 불굴의 독립의 의지에서 배태되고 표출된 뜨거운 시혼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제국주의의 문화적, 정치적 속박에서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운동의 한 방편으로 저항적이고 혁명적인 국민문학이 요구되는 시대에 만해 시문학의 핵심적인 주제는 진정한 자유와 평등이 보장된 평화로운 민주국가 건설이었다. 그러한 정치적, 문화적 시문학을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시적 매체로 만해는 풀잎, 꽃, 나무와 같은 객관적 상관물을 혁명적이고 정치적 이미지로 변용시켜 그 자신의 독립의지를 선명하게 드러내 보여주었다. 여기에는 일제 강점기라는 암울한 현실상황을 극복하려는 만해의 탈식민지적 인식과 비판적 인식이 내재되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호, "휘트먼, 타골, 한용운의 시에 나타난 나무의 정치적 이미저리" 한국영어영문학회 52 (52): 431-453, 2006

      2 백원기, "화엄적 생명사랑의 실천: 하디와 만해의 시학"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1) : 77-108, 2009

      3 한용운, "한용운전집 4권" 불교문화연구원 1-422, 2006

      4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1-368, 2006

      5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1-389, 2006

      6 김영호, "한용운, 휘트먼, 타골의 시와 식물의 혁명적 심상" 국제어문학회 (36) : 215-261, 2006

      7 김광식, "한용운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1-478, 2011

      8 안병직, "한용운 사상연구" 민족사 69-93, 1980

      9 이명재, "한용운 사상연구" 민족사 149-194, 1980

      10 염무웅, "한용운 사상연구" 민족사 234-249, 1980

      1 김영호, "휘트먼, 타골, 한용운의 시에 나타난 나무의 정치적 이미저리" 한국영어영문학회 52 (52): 431-453, 2006

      2 백원기, "화엄적 생명사랑의 실천: 하디와 만해의 시학"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1) : 77-108, 2009

      3 한용운, "한용운전집 4권" 불교문화연구원 1-422, 2006

      4 한용운, "한용운전집 2권" 불교문화연구원 1-368, 2006

      5 한용운, "한용운전집 1권" 불교문화연구원 1-389, 2006

      6 김영호, "한용운, 휘트먼, 타골의 시와 식물의 혁명적 심상" 국제어문학회 (36) : 215-261, 2006

      7 김광식, "한용운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1-478, 2011

      8 안병직, "한용운 사상연구" 민족사 69-93, 1980

      9 이명재, "한용운 사상연구" 민족사 149-194, 1980

      10 염무웅, "한용운 사상연구" 민족사 234-249, 1980

      11 김재홍, "한용운 문학연구" 일지사 1-300, 1982

      12 최동호, "한용운" 건국대학교출판부 1-242, 2005

      13 김광식, "첫 키스로 만해를 만나다" 백담사 만해마을 1-270, 2004

      14 송욱, "시학평전" 일조각 1-438, 1971

      15 이혜원, "생명의 거미줄" 소명출판 1-330, 2007

      16 차차석, "만해의 ‘대중불교론’과 그 교학적 배경"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6) : 43-74, 2014

      17 이선이, "만해시의 생명사상 연구" 도서출판 월인 1-221, 2001

      18 김상용, "만해 한용운 평전" 시대의 창 1-626, 2006

      19 김종인,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 : 만해 한용운 《님의 침묵》평설" 나남 1-446, 2008

      20 고명수, "나의 꽃밭에 님의 꽃이 피었습니다" 한길사 1-325, 2009

      21 타골, "기딴쟈리" 샨띠 1-328, 2013

      22 김윤식, "근대한국문학연구" 일지사 1-246, 1973

      23 진순애, "<1920년대 연애시와 사랑의 정치학> - 이상화, 소월, 만해 시를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32) : 221-24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5-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재단법인 선학원 부설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1.3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