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에서 내재적-외현적 종교성향이 자기효능감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trinsic-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on Self-Efficacy and Anxiety in Undergraduat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641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내재적-외재적 종교성향의 차이가 자기효능감과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대학생 30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내재적-외현적 종교성향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불안 척도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을 평가하였으며, Pearson 상관 분석, t 검증,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 하였다.
      결 과 :
      남성에서 내재적 종교성향과 자기효능감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성에서는 내재적 종교성향이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성별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보이는 바, 연구에 사용된 변인들의 성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t검정 결과 모든 변인에서 남녀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회귀분석결과 높은 내재적 종교성향을 가진 남성은 높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나(p=0.010), 여성에서는 높은 내재적 종교성향이 낮은 자기효능감(p=0.007)과 높은 불안(p=0.013)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종교성향의 차이가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자기효능감 증진 및불안을 극복하기 위해서 일관된 접근이 아닌, 성별에 따라 종교성향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번역하기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내재적-외재적 종교성향의 차이가 자기효능감과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대학생 309명을 대상으로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내재적-외재적 종교성향의 차이가 자기효능감과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대학생 30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내재적-외현적 종교성향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불안 척도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을 평가하였으며, Pearson 상관 분석, t 검증,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 하였다.
      결 과 :
      남성에서 내재적 종교성향과 자기효능감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성에서는 내재적 종교성향이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성별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보이는 바, 연구에 사용된 변인들의 성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t검정 결과 모든 변인에서 남녀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회귀분석결과 높은 내재적 종교성향을 가진 남성은 높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나(p=0.010), 여성에서는 높은 내재적 종교성향이 낮은 자기효능감(p=0.007)과 높은 불안(p=0.013)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종교성향의 차이가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자기효능감 증진 및불안을 극복하기 위해서 일관된 접근이 아닌, 성별에 따라 종교성향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will discuss about effect of individual’s religious orientation on their self-efficacy and anxiety.
      Methods :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about religious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anxiety to 309 students in capital area. We used Intrinsic-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measurement, self-efficacy measurement and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o analyze data, we us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For males,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self-efficacy and anxie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For females,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anxie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ut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self-efficacy and anxie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p<0.01). To review the difference of major factors depend on participants’ sex, we conducted t-test. It is verified that sex differe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variables.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gh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ffects high self-efficacy to male (β=0.233, p=0.010), but high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ffects low self-efficacy to female (β=-0.206, p=0.007). Also, high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of female affects high anxiety significantly (β=0.192, p= 0.013).
      Conclusion :
      On this study, different to earlier studies that only focused on correlation of religious orientation and other measures, we could verify that religious orientation affects self-efficacy and anxiety according to sex. This will help people to understand even people who have same religious orientation can be different or conflict in self-efficacy, anxiety, and other internal factors according to sex, and find the way to take a cautious approach with this study.
      번역하기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will discuss about effect of individual’s religious orientation on their self-efficacy and anxiety. Methods :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about religious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anxiety to 309 stud...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will discuss about effect of individual’s religious orientation on their self-efficacy and anxiety.
      Methods :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about religious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anxiety to 309 students in capital area. We used Intrinsic-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measurement, self-efficacy measurement and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o analyze data, we us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For males,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self-efficacy and anxie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For females,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anxie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ut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self-efficacy and anxie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p<0.01). To review the difference of major factors depend on participants’ sex, we conducted t-test. It is verified that sex differe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variables.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gh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ffects high self-efficacy to male (β=0.233, p=0.010), but high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ffects low self-efficacy to female (β=-0.206, p=0.007). Also, high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of female affects high anxiety significantly (β=0.192, p= 0.013).
      Conclusion :
      On this study, different to earlier studies that only focused on correlation of religious orientation and other measures, we could verify that religious orientation affects self-efficacy and anxiety according to sex. This will help people to understand even people who have same religious orientation can be different or conflict in self-efficacy, anxiety, and other internal factors according to sex, and find the way to take a cautious approach with this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연구 대상 및 방법
      • 결 과
      • 고 찰
      • 참고문헌
      • 서 론
      • 연구 대상 및 방법
      • 결 과
      • 고 찰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