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엉겅퀴 섭취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의 혈당과 지질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83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실험에서 엉겅퀴의 잎과 뿌리 분말을 당뇨 유발 흰쥐에게 4주간 섭취시킨 후, 당질과 지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평균 식이섭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엉겅퀴-잎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모든 엉겅퀴섭취군의 경우 유의적 차이는 없지만 당뇨대조군보다 높은 체중증가량과 식이이용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엉겅퀴섭취가 당뇨유발로 인한 체중감소와 식이이용효율감소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장의 무게가 엉겅퀴-잎섭취군의 경우 당뇨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가볍게 나타났다. 폐, 비장, 췌장, 심장 및 뇌의 무게는 당뇨대조군과 엉겅퀴섭취군 비교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헤마토크릿치는 당뇨대조군과 비교하여 엉겅퀴의 잎을 먹인 쥐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정상군의 수준과 비슷해지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당뇨 유발시 ALT 활성도는 증가함을 나타내었고 엉겅퀴 잎을 먹인 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적게 증가하였다. 혈장의 포도당 수준은 모든 엉겅퀴섭취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혈당 증가폭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엉겅퀴-잎섭취군에서는 실험 2주째부터 실험 4주째까지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 수준을 나타내었다. 간의 글리코겐 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엉겅퀴섭취군에서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장 콜레스테롤 함량은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모든 엉겅퀴 섭취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혈장 중성지방함량은 엉겅퀴-뿌리섭취군에서,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잎섭취군에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당뇨 유발시 초래되는 당질대사 이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엉겅퀴의 잎과 뿌리를 당뇨 유발 흰쥐에게 섭취시킨 결과, 당뇨 흰쥐에서 신장과 체중의 정상화, 당뇨의 혈당 증가 완화를 확인하였기에 당질대사에 있어서 항당뇨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당뇨대사 이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질대사도 관찰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지만 약간의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엉겅퀴는 잎뿐만 아니라 뿌리도 잠재적 의약품 소재 및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있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실험에서 엉겅퀴의 잎과 뿌리 분말을 당뇨 유발 흰쥐에게 4주간 섭취시킨 후, 당질과 지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평균 식이섭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엉겅퀴-잎섭취...

      본 실험에서 엉겅퀴의 잎과 뿌리 분말을 당뇨 유발 흰쥐에게 4주간 섭취시킨 후, 당질과 지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평균 식이섭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엉겅퀴-잎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모든 엉겅퀴섭취군의 경우 유의적 차이는 없지만 당뇨대조군보다 높은 체중증가량과 식이이용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엉겅퀴섭취가 당뇨유발로 인한 체중감소와 식이이용효율감소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장의 무게가 엉겅퀴-잎섭취군의 경우 당뇨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가볍게 나타났다. 폐, 비장, 췌장, 심장 및 뇌의 무게는 당뇨대조군과 엉겅퀴섭취군 비교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헤마토크릿치는 당뇨대조군과 비교하여 엉겅퀴의 잎을 먹인 쥐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정상군의 수준과 비슷해지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당뇨 유발시 ALT 활성도는 증가함을 나타내었고 엉겅퀴 잎을 먹인 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적게 증가하였다. 혈장의 포도당 수준은 모든 엉겅퀴섭취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혈당 증가폭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엉겅퀴-잎섭취군에서는 실험 2주째부터 실험 4주째까지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 수준을 나타내었다. 간의 글리코겐 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엉겅퀴섭취군에서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장 콜레스테롤 함량은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모든 엉겅퀴 섭취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혈장 중성지방함량은 엉겅퀴-뿌리섭취군에서,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잎섭취군에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당뇨 유발시 초래되는 당질대사 이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엉겅퀴의 잎과 뿌리를 당뇨 유발 흰쥐에게 섭취시킨 결과, 당뇨 흰쥐에서 신장과 체중의 정상화, 당뇨의 혈당 증가 완화를 확인하였기에 당질대사에 있어서 항당뇨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당뇨대사 이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질대사도 관찰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지만 약간의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엉겅퀴는 잎뿐만 아니라 뿌리도 잠재적 의약품 소재 및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Cirsium japonicum consumption on the plasma glucose and lipid profiles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Diabetes mellitus was induced in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30 g by injection of STZ into the tail vein at 45 ㎎/㎏ body weight. The ra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groups: a normal and STZ-control fed an AIN-93 diet group, and diabetic groups whose diets were supplemented with 10% Cirsium japonicum powder containing leaf or root for four weeks. To observe the effects of Cirsium japonicum in the animal model, the levels of glucose,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in the plasma and the levels of glycogen in the tissue were determined after four weeks. Treatment of STZ-induced diabetic rats with leaf consumption significantly lowered the diet intake when compared with STZ-control rats. The relative weights of the liver and kidne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normal and diabetic groups. The weights of the kidneys in the leaf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STZ-control group. The level of hematocrit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diabetic rats whose diets were supplemented with leaves when compared to those of STZ-control rats. The plasma glucose level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in the leaf group than the STZ-control group. The effect was significant after 2 weeks. The HDL-cholesterol levels increased in all of the diabetic experimental groups when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with Circicum japonicum leaves induced considerable hypoglycemic effect in STZ-induced diabetic rats and that these leaves may be useful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번역하기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Cirsium japonicum consumption on the plasma glucose and lipid profiles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Diabetes mellitus was induced in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30 g ...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Cirsium japonicum consumption on the plasma glucose and lipid profiles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Diabetes mellitus was induced in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30 g by injection of STZ into the tail vein at 45 ㎎/㎏ body weight. The ra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groups: a normal and STZ-control fed an AIN-93 diet group, and diabetic groups whose diets were supplemented with 10% Cirsium japonicum powder containing leaf or root for four weeks. To observe the effects of Cirsium japonicum in the animal model, the levels of glucose,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in the plasma and the levels of glycogen in the tissue were determined after four weeks. Treatment of STZ-induced diabetic rats with leaf consumption significantly lowered the diet intake when compared with STZ-control rats. The relative weights of the liver and kidne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normal and diabetic groups. The weights of the kidneys in the leaf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STZ-control group. The level of hematocrit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diabetic rats whose diets were supplemented with leaves when compared to those of STZ-control rats. The plasma glucose level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in the leaf group than the STZ-control group. The effect was significant after 2 weeks. The HDL-cholesterol levels increased in all of the diabetic experimental groups when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with Circicum japonicum leaves induced considerable hypoglycemic effect in STZ-induced diabetic rats and that these leaves may be useful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경, "엉겅퀴 추출물의 항상화성,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활성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11 (11): 58-61, 2003

      2 김옥경, "산수유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흰쥐의 항당뇨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화학회 22 (22): 157-167, 2005

      3 이미경, "국화과 약용 식물의 면역증진활성 검색" 한국약용작물학회 10 (10): 10-57, 2002

      4 Dai S, "Thompson KH, McNeill JH. One-year treatment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ith vanadyl sulphate" 74 : 101-109, 1994

      5 West KM, "The role of circulating glucose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 “risk factors” as determinants of arterial disease in nine diabetic population samples from the WHO multinational study" 6 : 361-369, 1983

      6 Lee SJ, "The prevalence estima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based on data from general health medical examination: a multi-center study" 33 : 119-133, 2008

      7 WHO, "Technical Report Series 916.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8 Liu S, "She L, Yang Z. Tumor inhibition and improved immunity in mice treated with flavone from Cirsium japonicum DC" 6 : 1387-1393, 2006

      9 Cho SY,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30 : 133-137, 2001

      10 Seyer-Hansen K, "Renal hypertrophy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551-555, 1976

      1 이희경, "엉겅퀴 추출물의 항상화성,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활성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11 (11): 58-61, 2003

      2 김옥경, "산수유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흰쥐의 항당뇨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화학회 22 (22): 157-167, 2005

      3 이미경, "국화과 약용 식물의 면역증진활성 검색" 한국약용작물학회 10 (10): 10-57, 2002

      4 Dai S, "Thompson KH, McNeill JH. One-year treatment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ith vanadyl sulphate" 74 : 101-109, 1994

      5 West KM, "The role of circulating glucose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 “risk factors” as determinants of arterial disease in nine diabetic population samples from the WHO multinational study" 6 : 361-369, 1983

      6 Lee SJ, "The prevalence estima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based on data from general health medical examination: a multi-center study" 33 : 119-133, 2008

      7 WHO, "Technical Report Series 916.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8 Liu S, "She L, Yang Z. Tumor inhibition and improved immunity in mice treated with flavone from Cirsium japonicum DC" 6 : 1387-1393, 2006

      9 Cho SY,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30 : 133-137, 2001

      10 Seyer-Hansen K, "Renal hypertrophy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551-555, 1976

      11 Steer KA, "Renal hypertrophy in experimental diabetes. Changes in pentose phosphate pathway activity" 34 : 485-490, 1985

      12 Bar-on H, "Removal defect of very-low-density lipoproteins from diabetic rats" 793 : 115-118, 1984

      13 Richimond W,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a cholesterol oxidase from Nocardia sp. and its application to the enzymatic assay of total cholesterol in serum" 19 : 1350-1356, 1973

      14 Lee SS, "Pharmacological studies on the water extract of fractions of Lycium chinese Mill" 2 : 29-41, 1999

      15 Rabbo E, "On the enzymatic determination of blood glucose" 12 : 402-407, 1968

      16 Lee YN, "New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 345-, 2007

      17 Abrams JJ, "Metabolism of cholesterol and plasma triglycerides in nonketotic diabetes mellitus" 31 : 903-910, 1982

      18 Grover JK, "Medicinal plants of India with antidiabetic potential" 81 : 81-100, 2002

      19 Lynch MJ, "Medical Laboratory Technology and Clinical Pathology. 2nd ed" WB Saunders Co. 1969

      20 Giegel JL, "Manual and semi-automated procedures for measurements of triglycerides in serum" 21 : 1575-1581, 1975

      21 Goldberg RB, "Lipid disorders in diabetes" 4 : 561-572, 1981

      22 Kanai M, "Kanai's Manual of Clinical Laboratory Medicine" Kanehara 1998

      23 De Leo ME, "Iron modulation of LPS-induced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gene expression in rat tissues" 403 : 131-135, 1997

      24 Meglasson MD, "Identification of glucokinase as an alloxan sensitive glucose sensor of the pancreatic beta-cell" 35 : 1163-1173, 1986

      25 Zhang SL, "Hyperglycemia induces insulin resistance on angiotensinogen gene expression in diabetic rat kidney proximal tubular cells" 172 : 333-344, 2002

      26 Wannamethee SG, "Hematocrit and risk of NIDDM" 45 : 576-579, 1996

      27 Koh KS, "Ferns, Fern-allis, and Seed Bearing Plants of Korea" Iiljinsa 702-, 2003

      28 Park JC,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and its principle, hispidulin-7-O-neohesperidoside on hepatic alcohol- metabolizing enzymes and lipid peroxidation in ethanoltreated rats" 18 : 19-24, 2004

      29 Lee JS, "Effects of buckwheat on organ weight,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27 : 819-827, 1994

      30 Lim SS,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liver function, body lipid, and bile acid of hyperlipidemic rat" 30 : 797-802, 1997

      31 Lim SS,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cardiovascular system of hyperlipidemic rat" 30 : 12-18, 1997

      32 Junod A, "Diabetogenic action of streptozotocin: Relationship of dose to metabolic response" 48 : 2129-2139, 1969

      33 Glod G, "Diabetes induced with multiple subdiabetogenic doses of streptozotocin" 30 : 634-638, 1981

      34 Gallaher DD, "Diabetes increases excretion of urinary malonaldehyde conjugates in rats" 28 : 663-666, 1993

      35 Reeves PG, "Components of the AIN-93 diets as improvements in the AIN-76A diet" 127 : 838S-841S, 1997

      36 Yi KN, "Clinical Phathology File" Euihak Munwhasa 278-283, 1990

      37 Finley PR, "Cholesterol in high-density lipoprotein: use of Mg2+/dextran sulfate in its enzymic measurement" 24 : 931-933, 1978

      38 Hassid WZ, "Chemical procedures for analysis of polysaccharides,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and its principle, hispidulin-7-O-neohesperidoside on hepatic alcohol- metabolizing enzymes and lipid peroxidation in ethanoltreated rats" Academic Press 34-50, 1957

      39 Cho SY, "Alternation of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by supplementation of dandelion water extract" 317 : 109-117, 2002

      40 Reaven GM, "Abnormal lipoprotein metabolism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8 : 31-40, 1987

      41 Reitman S,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s" 28 : 56-63, 195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