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계열관계와 결합관계를 통한 한중 조리동사의 대응관계 - 삶다(煮)류 의미장을 중심으로 =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oking Verbs through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Relationships : Focusing on the Boiling Semantic Fie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73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nd Korean cooking verbs is complicated due to different semantic features. These verbs refer to the same activities in cooking, but there is no ‘one-to-one’ correspon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emantic correspondence of cooking verb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established the screening criteria for cooking verbs in the boiling (煮: zhǔ) field, under which 13 Chinese cooking verbs and nine Korean cooking verb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semantic features were analyzed by sememe through paradigmatic relationship and syntagmatic relationship. Dictionaries and corpuses were used to clarify the semantic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 study applied a methodology of setting and analyzing multiple sememes in polysemy and assessed the differences in the semantic featur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oking verbs.
      Through the semantic features analysi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polysemy in Chinese cooking verbs is higher and that the semantic category is larger than the Korean cooking verbs in the boiling (煮: zhǔ) field.
      번역하기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nd Korean cooking verbs is complicated due to different semantic features. These verbs refer to the same activities in cooking, but there is no ‘one-to-one’ correspon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nd Korean cooking verbs is complicated due to different semantic features. These verbs refer to the same activities in cooking, but there is no ‘one-to-one’ correspon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emantic correspondence of cooking verb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established the screening criteria for cooking verbs in the boiling (煮: zhǔ) field, under which 13 Chinese cooking verbs and nine Korean cooking verb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semantic features were analyzed by sememe through paradigmatic relationship and syntagmatic relationship. Dictionaries and corpuses were used to clarify the semantic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 study applied a methodology of setting and analyzing multiple sememes in polysemy and assessed the differences in the semantic featur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oking verbs.
      Through the semantic features analysi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polysemy in Chinese cooking verbs is higher and that the semantic category is larger than the Korean cooking verbs in the boiling (煮: zhǔ) fie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중 조리동사는 의미의 범주가 달라 대응관계가 매우 복잡하다. 동일한 조리활동을 가리키면서도 중국어와 한국어가 ‘일대일’의 대응관계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삶다(煮)류 의미장의 중국어 13개, 한국어 9개 조리동사를 대상으로 계열관계와 결합관계를 통해 의미소를 설정하고 이들의 의미특징을 분석하여 한중 조리동사의 대응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사전과 코퍼스를 활용하여 다의어에서 다수의 의미소를 설정하고 분석하는 방법과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한중 조리동사의 의미 범주 차이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의미자질 분석을 통해 중국어 조리동사에서 다의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의미의 범주가 크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번역하기

      한중 조리동사는 의미의 범주가 달라 대응관계가 매우 복잡하다. 동일한 조리활동을 가리키면서도 중국어와 한국어가 ‘일대일’의 대응관계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삶다(...

      한중 조리동사는 의미의 범주가 달라 대응관계가 매우 복잡하다. 동일한 조리활동을 가리키면서도 중국어와 한국어가 ‘일대일’의 대응관계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삶다(煮)류 의미장의 중국어 13개, 한국어 9개 조리동사를 대상으로 계열관계와 결합관계를 통해 의미소를 설정하고 이들의 의미특징을 분석하여 한중 조리동사의 대응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사전과 코퍼스를 활용하여 다의어에서 다수의 의미소를 설정하고 분석하는 방법과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한중 조리동사의 의미 범주 차이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의미자질 분석을 통해 중국어 조리동사에서 다의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의미의 범주가 크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예선, "한중요리동사의 의미대조-요리 단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9

      2 임지룡, "한국어 의미론" 한국문화사 2018

      3 반비비, "한국어 요리영역 동사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4 김정남, "한국어 요리 동사의 낱말밭" 한국어의미학회 34 : 77-107, 2011

      5 김인호, "한국어 교육을 위한 요리동사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

      7 Zhang Huihui, "한·중 요리 동사의 의미 대응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8 기 치, "한·중 가열 요리 동사 의미 대조 연구" 건국대학교 2018

      9 여문리, "한·중 가열 요리 동사 대조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0 "표준국어대사전"

      11 진설원,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요리 동사 교육 방안 연구 : 가열 동사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2016

      12 신근영 ; 이영월, "중국어 요리 동사 ‘炒’ 인지 의미 확장 양상 연구" 영남중국어문학회 (86) : 217-245, 2021

      13 심지언, "중국어 具有와 擁有 결합관계 비교연구 ― 말뭉치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66) : 113-141, 2019

      14 은수희, "일한 양언어의 비가열조리동사 대조연구" 한국일본어학회 9 : 2018

      15 신현숙, "의미와 의미분석" 푸른사상 2012

      16 존 라이언스, "의미론1 의미 연구의 기초" 한국문화사 2011

      17 구현정, "요리동사의 낱말밭" 건국대학교 19 : 1984

      18 박윤진, "요리관련동사의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충북대학교 2016

      19 권형찬, "요리 동사의 의미 성분분석 : 요리 방법과 단계를 기준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2007

      21 성미숙,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요리 동사 교육 방안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22 이숙의, "논항 정보 기반 “요리 동사”의 어휘의미망 구축 방안" 한국어학회 48 : 223-268, 2010

      23 윤평현, "국어의 의미론" 역락 2016

      24 홍사만, "국어 의미 분석론" 한국문화사 2008

      25 "고려대코퍼스 자료(trends21)"

      26 장사오위, "고대중국어어휘의미론" 차이나하우스 2012

      27 장쟈촨,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조리동사 교육 연구" 가톨릭대학교 2017

      28 李福印, "语义学概论" 北京大学出版社 2006

      29 符淮青, "词义的分析和描写"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2006

      30 邵 斌, "英汉词汇对比研究"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2019

      31 中国社会科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 "现代汉语词典" 商务印书馆 2016

      32 苏新春, "现代汉语分类词典" 商务印书馆出版社 2013

      33 董大年, "现代汉语分类大词典" 上海辞书出版社 2007

      34 李英兰, "汉韩饮食词汇隐喻对比研究" 华东师范大学 2017

      35 吉美兰, "汉韩烹饪动词对比研究" 中央民族大学 2012

      36 "北京语言大学BCC语料库"

      37 萧 帆, "中国烹饪辞典" 中国商业出版社 2000

      38 李廷芝, "中国烹饪词典" 山西科学技术出版社 2003

      39 中国烹饪百科全书编委会, "中国烹饪百科全书" 中国大百科全书出版社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7 0.439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