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식기반경제와 지적자본  :  국가별 특성에 따른 국민지적자본 측정지표 개발 = Knowledge-based Economy and Intellectual Capita l: The Development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 in National Contex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463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을 비롯한 미국, 일본, 그리고 중국 등 4개국을 대상으로 각 국가별 국민지적자본을 국민인적자본, 국민시장자본, 국민과정자본, 그리고 국민갱신 및 개발 자본으로 구분하여 최고치 대비 비율과 Re-scaling Normalization 값으로 지수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이 네 개의 국민지적자본지수 공통으로 4개국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국과 일본이 서로 비슷한 미국의 약 80%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은 두 지수 모두 미국의 38%~58%, 한국과 일본의 50%~60% 수준임에 있음을 보였다.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 분석에 있어서도 미국은 높은 1인당 GDP와 높은 국민지적자본 지수, 그리고 높은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을 동시에 조였다. 한국 역시 비교적 높은 국민지적자본지수와 효율성을 보이고 있는 반면, 중국의 경우 국민지적자본지수는 가장 낮으나 그 효율성은 4개국 중 2위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한국을 비롯한 미국, 일본, 그리고 중국 등 4개국을 대상으로 각 국가별 국민지적자본을 국민인적자본, 국민시장자본, 국민과정자본, 그리고 국민갱신 및 개발 자본으로 구분...

      본 연구에서는 한국을 비롯한 미국, 일본, 그리고 중국 등 4개국을 대상으로 각 국가별 국민지적자본을 국민인적자본, 국민시장자본, 국민과정자본, 그리고 국민갱신 및 개발 자본으로 구분하여 최고치 대비 비율과 Re-scaling Normalization 값으로 지수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이 네 개의 국민지적자본지수 공통으로 4개국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국과 일본이 서로 비슷한 미국의 약 80%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은 두 지수 모두 미국의 38%~58%, 한국과 일본의 50%~60% 수준임에 있음을 보였다.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 분석에 있어서도 미국은 높은 1인당 GDP와 높은 국민지적자본 지수, 그리고 높은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을 동시에 조였다. 한국 역시 비교적 높은 국민지적자본지수와 효율성을 보이고 있는 반면, 중국의 경우 국민지적자본지수는 가장 낮으나 그 효율성은 4개국 중 2위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asuring intellectual capital is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for all who are involved in knowledge-based econ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cept of the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and estimate the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 for Korea, US, Japan and China. The study focuses on the estimation of four types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es, i.e., (ⅰ) national human capital, (ⅱ) national marker capital, (ⅲ) national process capital, and (ⅳ) national renewal and development capital. In addition, the study also calculates and analyzes the efficiency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for those four countries.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highest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 is 130.30 which is US. The next countries are Korea and Japan which are 116.21 and 112.22 respectively. The lowest index is China which has only 38%~58% of the US. In the efficiency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the US shows both the highest efficiency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1.480 and the highest GDP per capita, 41,541 in 2005
      번역하기

      Measuring intellectual capital is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for all who are involved in knowledge-based econ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cept of the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and estimate the national intellectual capit...

      Measuring intellectual capital is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for all who are involved in knowledge-based econ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cept of the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and estimate the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 for Korea, US, Japan and China. The study focuses on the estimation of four types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es, i.e., (ⅰ) national human capital, (ⅱ) national marker capital, (ⅲ) national process capital, and (ⅳ) national renewal and development capital. In addition, the study also calculates and analyzes the efficiency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for those four countries.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highest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 is 130.30 which is US. The next countries are Korea and Japan which are 116.21 and 112.22 respectively. The lowest index is China which has only 38%~58% of the US. In the efficiency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the US shows both the highest efficiency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1.480 and the highest GDP per capita, 41,541 in 2005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국민지적자본의 개념과 진로설정
      • Ⅲ. 국민지적자본의 가치체계 및 구성요소
      • Ⅳ. 국가별 국민지적자본지수 측정
      • Ⅴ. 요약 및 결론
      • Ⅰ. 서론
      • Ⅱ. 국민지적자본의 개념과 진로설정
      • Ⅲ. 국민지적자본의 가치체계 및 구성요소
      • Ⅳ. 국가별 국민지적자본지수 측정
      • Ⅴ. 요약 및 결론
      • 부록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재, "지역별 특성에 따른 국민지적자본 측정지표개발- 광역 시를 중심으로-" 19 (19): 71-92, 2007

      2 김선재, "지식기반경제와 지적자본: 국민지적자본의 관점에 본 국민계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18 (18): 53-82, 2006

      3 김해동,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4 이무근, "인적자원개발: 다학문적 접근 제5차 KRIVET HRD 정책포럼자료집"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5 Lucas Jr, "Why Doesn’t Capital Flow from Rich to Poor Countries?" 80 (80): 92-96, 1990

      6 Zhang, K, "Vertical Multinationals and Host-Country Charac-teristics" 59 : 233-252, 1999

      7 OECD, "The Well-Being of Nations: The role of human and social capital, Centre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Paris 2001

      8 Machlup, F., "The Production of Knowledge in the United Sta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962

      9 Sveiby,K, "The New Organizational Wealth: Managing and Measuring Knowledge-Based Assets, San Francisco" Barrett-Kohler 1997

      10 Pasher,E, "The Intellectual Capital of the State of Israel, Kal Press" Herzlia Pituach, Israel 1999

      1 김선재, "지역별 특성에 따른 국민지적자본 측정지표개발- 광역 시를 중심으로-" 19 (19): 71-92, 2007

      2 김선재, "지식기반경제와 지적자본: 국민지적자본의 관점에 본 국민계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18 (18): 53-82, 2006

      3 김해동,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4 이무근, "인적자원개발: 다학문적 접근 제5차 KRIVET HRD 정책포럼자료집"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5 Lucas Jr, "Why Doesn’t Capital Flow from Rich to Poor Countries?" 80 (80): 92-96, 1990

      6 Zhang, K, "Vertical Multinationals and Host-Country Charac-teristics" 59 : 233-252, 1999

      7 OECD, "The Well-Being of Nations: The role of human and social capital, Centre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Paris 2001

      8 Machlup, F., "The Production of Knowledge in the United Sta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962

      9 Sveiby,K, "The New Organizational Wealth: Managing and Measuring Knowledge-Based Assets, San Francisco" Barrett-Kohler 1997

      10 Pasher,E, "The Intellectual Capital of the State of Israel, Kal Press" Herzlia Pituach, Israel 1999

      11 Andriessen, D. G, "The Intellectual Capital of the European Union, Inholland University of Professional Education" de Baak-Management Centre VNO-NCW 2004

      12 Galbraith, J. K., "The Affluent Society, Missouri" United States 1969

      13 Nunnally,J,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1978

      14 Drucker, P. F., "Post-Capitalist Society" New York: Harper Collins 1993

      15 Bontis, N.,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 Intellectual Capital Development in the Arab Region" UNDP 2002

      16 Malhotra,Y, "Measuring Knowledge Assets of a Nation: Knowledge System for Development,” presented the United Nation Advisory Meeting of the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Divis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Management" New York 2003

      17 Ducharme,, "Measuring Intangible Investment" OECD: Paris 1998

      18 World Bank, "Knowledge for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9

      19 Dahlman,C, "Knowledge Revolutio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Knowledge Products and Outreach Division, World Bank Institute" Damascus, Syria 1999

      20 Malhotra, Y., "Knowledge Assets in the Global Economy: Assessment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 Malhotra, Y. (Eds.), Knowledge Management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India Publishing Group 2001

      21 Rembe,A, "Invest in Sweden: Report 1999, Halls Offset AB" Stockholm,Sweden 1999

      22 Pulic,A, "Intellectual Capital: Efficiency on National and Company Level, Croatian Chamber of Economy-International Capital Association" Zagreb,Croatia 2003

      23 Pulic, A., "Intellectual Capital: Efficiency in Croatian Economy, International Business Efficiency Consulting" Zagreb, Croatia 2002

      24 Edvinsson,L, "Intellectual Capital" New York: Harper Business 1997

      25 Honig, B., "Human Capital and Structural Upheaval" 16 : 575-595, 2001

      26 UNESCO, "Education for All: Purpose and Context, Franc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1991

      27 Churchill,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16 : 64-73,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식연구 -> 금융지식연구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72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