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미군정 시대의 한국음악교육 실태: 1945~1948 = An Investigation on Korean Music Education during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Period: 1945~1948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70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해방직후에 실시된 미군정(1945.9-1948.8)이 당시의 한국음악교육 실상을어떻게 평가하고 어떤 정책을 시도했으며 무슨 결과를 가져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미국측 요원...

      본 연구에서는 해방직후에 실시된 미군정(1945.9-1948.8)이 당시의 한국음악교육 실상을어떻게 평가하고 어떤 정책을 시도했으며 무슨 결과를 가져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미국측 요원 3인의 기사 자료, 군정청의 활동보고서, 당시 발행된 공문서 및 음악 교과서 등의 사료를 검토하였다. 해방 직후 미군정은 교과서 발행, 교사재교육실시 및 음악활동지원 등 가시적인 분야에 행정력을 집중해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경성음악학교 사범과 신설(1946.2) 등 몇몇 의미 있는 시도가 무산되었고 군정기간 중 음악교수요목개발을 외면해버린 것 등은 미군정이 제도적개선 의지가 미약했음을 말해주는 사례들이다.
      2년 11개월이라는 시한부 군정으로서는 한국음악교육의 새로운 정책개발에 손 댈 여유가없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음악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오늘날 한국음악교육가들이 당면한 최대의 과제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등음악교과서편찬위원회, "臨時 中等音樂敎本. 임시 중등음악교본" 국민음악문화사 1946

      2 이길상, "해방전후사료집 : 미군정 교육정책" 원주문화사 1992

      3 김인용, "해방 전후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교육정책"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2 (22): 1-20, 2008

      4 민경찬, "한국창가의 색인과 해제. 해제집 1"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1997

      5 오지선, "한국근대음악교육 : 조선총독부 음악교육정책 중심으로" 예솔 2003

      6 군정청, "초등 노래책(6학년 소용)" 조선교학도서주식회사 1947

      7 군정청, "초 중등학교 각과 교수 요목집. 1권-5권" 조선교학도서 주식회사 1946

      8 김동구, "중앙교육훈련소의 교원재교육과 새교육 운동에 관한연구" 23 : 117-144, 1989

      9 이병담, "조선총독부 초등학교 ??창가??에 나타난 음악교육과 식민성" 일본어문학회 37 (37): 173-196, 2007

      10 강환직, "조선총독부 민족음악 통제에 관한 연구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학회 29 (29): 7-30, 2010

      1 중등음악교과서편찬위원회, "臨時 中等音樂敎本. 임시 중등음악교본" 국민음악문화사 1946

      2 이길상, "해방전후사료집 : 미군정 교육정책" 원주문화사 1992

      3 김인용, "해방 전후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교육정책"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2 (22): 1-20, 2008

      4 민경찬, "한국창가의 색인과 해제. 해제집 1"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1997

      5 오지선, "한국근대음악교육 : 조선총독부 음악교육정책 중심으로" 예솔 2003

      6 군정청, "초등 노래책(6학년 소용)" 조선교학도서주식회사 1947

      7 군정청, "초 중등학교 각과 교수 요목집. 1권-5권" 조선교학도서 주식회사 1946

      8 김동구, "중앙교육훈련소의 교원재교육과 새교육 운동에 관한연구" 23 : 117-144, 1989

      9 이병담, "조선총독부 초등학교 ??창가??에 나타난 음악교육과 식민성" 일본어문학회 37 (37): 173-196, 2007

      10 강환직, "조선총독부 민족음악 통제에 관한 연구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학회 29 (29): 7-30, 2010

      11 김진숙, "일제강점기부터 제1차 교육과정기 교육과정 문서 체계 분석 -총론과 교과의 분화와 독립-" 한국교육사학회 34 (34): 27-55, 2012

      12 이강숙, "우리 양악 100년" 현암사 2001

      13 석문주, "사범대학 음악교사 교육과정의 역사적 고찰. 세미나 발표집. 음악교육의 역사적 접근" 2013

      14 유영민, "민족주의에서 제국주의로: 일본 근대음악교육과 메이지(明治) 이데올로기" 민족음악학회 (44) : 87-116, 2012

      15 정태수, "미군정기 한국 교육사 자료집(상)(하)" 홍지원 1992

      16 이길상, "미군정기 초등교육의 변화" 한국교육사학회 25 (25): 75-110, 2003

      17 이권희, "근대 일본의 애국심교육에 관한 고찰- 메이지기(明治期) 창가(唱歌)교육을 중심으로 -" 글로벌일본연구원 20 (20): 299-320, 2013

      18 동아일보, "第一回音樂의祭典 男女二十四敎를 動員 十八日勤政殿서 饗宴"

      19 동아일보, "最初의 音樂專門敎"

      20 신계휴, "日帝下 國民學校令期의 音樂敎育에 관한 硏究 : 우타노홍(ウタノホン)의 분석을 중심으로" 18 : 117-131, 2001

      21 군정청, "文敎行政槪況. 문교행정개황" 조선교학도서 주식회사 1946

      22 동아일보, "敎員音樂講習(교원음악강습)"

      23 경향신문, "全國音樂競演大會"

      24 동아일보, "全國音樂 競演大會 文敎部主催로 開催"

      25 경향신문, "全國男女中等校音樂大會"

      26 경향신문, "全國男女中學 音樂콩쿨大會"

      27 동아일보, "中等音樂祭 第一日盛況"

      28 "USAMGIK (1948, August 6). History and work of Bureau and Special Subejcts. Declassified for Executive Order 12356"

      29 "USAMGIK (1946, February-1948, August). Summation of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Activities in Korea"

      30 "USAMGIK (1945, Sep 11-1946, Feb 28). History of Bureau of Education. declassified per Executive Order 12356"

      31 Humphreys, J., "USA: Effectiveness of compulsory music education"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21-136, 2010

      32 May, E., "The influence of the Meji Period on Japanese children's music" 13 : 110-120, 1965

      33 Armstrong, C., "The cultural cold war in Korea, 1945-1950" 62 (62): 71-99, 1950

      34 MENC, "November-December). The music educators credo" 34 : 19-, 1947

      35 Faulkner, M., "Music education in the orient" 33 (33): 52-53, 1947

      36 Noah, M., "Mission to Korea" 35 : 14-16, 1949

      37 Humphreys, J., "An overview of American public school bands and orchestras before World War II" (191) : 50-60, 1989

      38 Takeshi, K, "American educational influences on Japanese music education from the end of World War II(1945) to the First Tentative Course of Study(1947)" 19 (19): 115-137, 1947

      39 Ogawa, M., "American Contributions to the Beginning of Public Music Education in Japan" 12 (12): 113-128, 1991

      40 Mark, M. L, "A History of American Music Education" MENC-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Education 1999

      41 문경숙, "19세기 초 미국의 음악공교육 도입과정" 14 : 1-23,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7-09-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Music Educators Society ->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3 1.008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