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남자 비행청소년들이 아동기나 이른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성적학대와 신체적 학대의 경험과 이들의 폭력적 비행의 관계에 대해서 사이해하고자 하였다. 특히 성적 학대와 신체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남자 비행청소년들이 아동기나 이른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성적학대와 신체적 학대의 경험과 이들의 폭력적 비행의 관계에 대해서 사이해하고자 하였다. 특히 성적 학대와 신체적...
이 연구는 남자 비행청소년들이 아동기나 이른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성적학대와 신체적 학대의 경험과 이들의 폭력적 비행의 관계에 대해서 사이해하고자 하였다. 특히 성적 학대와 신체적 학대의 두 피해경험 중 남자 비행청소년들의 폭력성을 증가시키는 위험요인이 무엇인지를 사회학습이론이 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학대와 남자 비행청소년들의 폭력적 행위간의 관계를 분명히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혼란을 줄 수 있는 요인들(가족구조, 비행친구와의 차별적 접촉, 가족에 대한 애착 등)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300명의 남자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가 사용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사회학습이론을 근간으로 하여 Widom(1989)에 의해 제시된 ‘폭력의 순환’이라는 개념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즉, 성적학대와 신체적 학대는 남자 비행청소년들의 폭력적 비행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위험요인들이었다. 그리고 그 외에 비행친구와의 차별적 접촉이 중요한 위험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Widom과 일부 신체적 학대의 폭력성 증가가 성적학대의 폭력성 증가의 위험보다 크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는 달리 성적학대의 영향이 폭력적 비행에 더 크고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반해 신체적 학대의 영향은 비행친구들과의 차별적 접촉을 중재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부모의 이혼/별거가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공헌점,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제안 등이 결론과 논의에 자세히 설명되어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소희, "청소년비행의 발달궤적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31-64, 2009
2 김은영, "여성청소년의 성적 학대경험, 가출, 폭력적 비행, 그리고 성관련 비행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정포럼 6 (6): 233-272, 2012
3 이명진, "부모의 아동학대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조사연구소 8 (8): 9-42, 2007
4 Widom, C., "Victims of childhood sexual abuse–later criminal consequences" Technical Report. :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Research Brief 1995
5 Stith, S. M.,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spouse abuse: A meta-analysis" 62 : 640-654, 2000
6 Widom, C., "The cycle of violence" 244 : 160-166, 1989
7 Felson, R. B., "Social learning, sexual and physical abuse, and adult crime" 35 : 489-501, 2009
8 Akers, R. L., "Social learning and social structure: A general theory of crime and deviance" Northeaster University Press 1998
9 Haapasalo, J., "Self-reported childhood abuse among sex and violent offenders" 26 : 421-431, 1997
10 Lansford, J. 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parents’ physical discipline and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during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ce" 23 : 225-238, 2011
1 정소희, "청소년비행의 발달궤적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31-64, 2009
2 김은영, "여성청소년의 성적 학대경험, 가출, 폭력적 비행, 그리고 성관련 비행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정포럼 6 (6): 233-272, 2012
3 이명진, "부모의 아동학대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조사연구소 8 (8): 9-42, 2007
4 Widom, C., "Victims of childhood sexual abuse–later criminal consequences" Technical Report. :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Research Brief 1995
5 Stith, S. M.,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spouse abuse: A meta-analysis" 62 : 640-654, 2000
6 Widom, C., "The cycle of violence" 244 : 160-166, 1989
7 Felson, R. B., "Social learning, sexual and physical abuse, and adult crime" 35 : 489-501, 2009
8 Akers, R. L., "Social learning and social structure: A general theory of crime and deviance" Northeaster University Press 1998
9 Haapasalo, J., "Self-reported childhood abuse among sex and violent offenders" 26 : 421-431, 1997
10 Lansford, J. 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parents’ physical discipline and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during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ce" 23 : 225-238, 2011
11 Esmaeili, N. S., "Predictors of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ies" 9 : 41-49, 2013
12 Swanston, H. Y., "Juvenile crime, aggression, and delinquency after sexual abuse" 43 : 729-749, 2003
13 McKee, L., "Harsh discipline and child problem behaviors: The roles of positive parenting and gender" 22 : 187-196, 2007
14 Gault-Sherman, M., "Gender and the associated impairments of childhood sexual abuse: A national study of Icelandic youth" 69 : 1515-1522, 2009
15 Smith, W. R., "Delinquency and abuse among juvenile sexual offenders" 3 : 400-413, 1988
16 Akers, R.L., "Criminological theories: Introduction, evaluation, and application" Roxbury 2009
17 Gershoff, E. T., "Corporal punishment by parents and associated child behavior experiences: A meta-analytic and theoretical review" 128 : 539-579, 2002
18 Widom, C., "Childhood sexual abuse and its criminal consequences" 33 : 47-53, 1996
19 Hussey, J., "Child maltreatment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risk factors, and adolescent health consequences" 118 : 933-942, 2006
20 Widom, C., "An update on the‘cycle’ of violence" Technical Report. :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Research in Brief 2001
21 Bandura, A.,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Prentice-Hall 1973
22 Burton, D. L., "A social learning theory comparison of the sexual victimization of adolescent sexual offenders and nonsexual offending male delinquents" 26 : 893-907, 2002
개인정보 유출을 통해 본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방안
경찰공무원의 인권의식 강화를 위한 경찰 인권교육의 개선방안
경찰활동의 문제점 및 국민중심 경찰활동을 위한 개선방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7-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 ![]() |
2009-03-1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1.0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0.99 | 1.04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