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박근혜 정부 들어 경찰인력의 증대 등 경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의 경찰활동 문제점을 진단하고 치안서비스의 고객인 국민이 중심이 되는 경찰활동이 이루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56836
2014
Korean
350.7
KCI등재
학술저널
101-126(2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박근혜 정부 들어 경찰인력의 증대 등 경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의 경찰활동 문제점을 진단하고 치안서비스의 고객인 국민이 중심이 되는 경찰활동이 이루어...
이 연구는 박근혜 정부 들어 경찰인력의 증대 등 경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의 경찰활동 문제점을 진단하고 치안서비스의 고객인 국민이 중심이 되는 경찰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경찰활동의 문제점으로는 크게 세 가지를 살펴볼 수 있는데, 첫 번째는 경찰중심의 경찰활동이 이 루어지는 것이며, 두 번째는 국민의 생활에 직결되는 민생침해범죄에 대한 검거율이 현저히 저하 되고 있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치안에 대해 안전하다고 느껴야 할 국민들이 범죄로부터 두려움을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찰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국민이 중심이 되는 국민중심 경찰활동이 이루어 져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민제안 등을 통해 국민이 정책의 형성에 참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 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이슈 위주의 경찰활동을 지양할 수 있도록 여과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두 번째로 민생침해범죄에 대한 검거율을 높이기 위해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선발할 수 있도록 채용 시스템을 개선해야 하며, 범인의 검거와 관련된 실질적인 교육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마 련해야 한다. 세 번째로 국민들이 범죄로부터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범죄두려움을 조장하는 언론보도에 대한 권고 규정을 마련하여 국민들에게 정확한 치안상황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2 윤일홍, "한국경찰의 성과주의 도입과 그 시사점 - 뉴욕경찰의 컴스탯(Compstat) 시행결과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공안행정학회 19 (19): 191-220, 2010
3 헤럴드생생뉴스, "탈주범놔두고 4대악 타령? 이대우 서울까지 활보, 경찰 뭐하나, 6. 2"
4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전망 2014" 2014
5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전망 2013" 2013
6 경찰청, "전국 경찰관서 일제「국민공감 기획수사」개시 보도자료"
7 노컷뉴스, "장기밀매 괴담' SNS 타고 급속 확산…사회 불안 조장, 11. 18: 인터넷판"
8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 - 기자협회 ‘성범죄 보도 권고 기준’ 제정 보도자료"
9 이윤식, "우리나라에 있어서 성과관리를 위한 평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7 (17): 1-30, 2007
10 이병기, "연구총서 31"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3
1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2 윤일홍, "한국경찰의 성과주의 도입과 그 시사점 - 뉴욕경찰의 컴스탯(Compstat) 시행결과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공안행정학회 19 (19): 191-220, 2010
3 헤럴드생생뉴스, "탈주범놔두고 4대악 타령? 이대우 서울까지 활보, 경찰 뭐하나, 6. 2"
4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전망 2014" 2014
5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전망 2013" 2013
6 경찰청, "전국 경찰관서 일제「국민공감 기획수사」개시 보도자료"
7 노컷뉴스, "장기밀매 괴담' SNS 타고 급속 확산…사회 불안 조장, 11. 18: 인터넷판"
8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 - 기자협회 ‘성범죄 보도 권고 기준’ 제정 보도자료"
9 이윤식, "우리나라에 있어서 성과관리를 위한 평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7 (17): 1-30, 2007
10 이병기, "연구총서 31"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3
11 영남일보, "실체없는 괴담에 ‘무서워 못살겠다’, 9. 21"
12 연합뉴스, "실적 올리려 가짜보고서 쓴 경찰들…법원 ‘배상 책임’, 6. 8: 인터넷판"
13 부산일보, "실적 목맨 경찰 ‘성폭력 사건 어디 없소?’, 4. 18"
14 서울신문, "식품공장 단속권 없는 경찰, 불량식품 전쟁에 ‘발동동’, 4. 17"
15 경찰청, "성폭력 사범 기획수사"
16 권인숙, "성폭력 두려움과 사회통제:언론의 아동 성폭력 사건 대응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소 50 (50): 85-118, 2011
17 경찰청, "성폭력 감축 목표 및 달성 실적"
18 이종수, "새 행정학" 대영출판사 2012
19 이미혜, "상담자들의 대리외상: 개관연구" 한국심리학회 33 (33): 109-137, 2014
20 서울신문, "대통령 담화문 전문 ‘해양경찰 해체… 국가안전처 통합’, 5. 19"
21 박남춘의원실, "국정감사 보도자료"
22 김용태, "국민중심 경찰활동을 위한 맞춤형 공감치안 방안"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47-162, 2012
23 국가인권위원회, "고문행위 경찰관들 검찰 고발 및 수사의뢰 보도자료"
24 박종승, "경찰활동의 효과적인 SNS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87-112, 2013
25 김창윤, "경찰학" 박영사 2014
26 SBS뉴스, "경찰청장 "4대악 척결 실적부진 지휘관 문책", 4. 11"
27 경찰청, "경찰청, 집중수사 테마 선정에 국민 의견 수렴 보도자료"
28 경찰청, "경찰청 국회제출자료"
29 경찰청, "경찰청 「4대 사회악 근절」 50日 주요 추진현황" 2013
30 최응렬, "경찰조직론" 박영사 2013
31 경찰청, "경찰백서" 경찰청 2012
32 내일신문, "경찰 수사인력 줄여 범죄 검거율 급감, 3. 27"
33 김현정, "경찰 성과평가 제도에 관한 연구 - 2009~2011년 지역경찰 성과평가 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연구학회 11 (11): 151-178, 2012
34 박상주, "경찰 성과측정에 관한 소고 -지표선정을 중심으로-" 경찰학연구소 3 (3): 83-111, 2008
35 노충래, "개인 및 조직특성과 대리외상이 성매매 피해 여성 상담원들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8) : 265-293, 2008
36 박상조, "강력범죄와 언론보도의 수치관계, 그리고 시민들의 범죄발생 인식에 미치는 영향" 6 : 229-313, 2013
37 Dowler, K., "Sex, lies, and videotape: The presentation of sex crime in local television news" 34 : 383-392, 2006
38 동아일보, "SNS 괴담’의 사회학, 2. 7"
39 Griffin, E. M.,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theory, 4th edition" McGraw-Hill 2003
40 부산일보, "4대악 척결 목맨 경찰…시민은 ‘치안공백’ 불안, 4. 11"
41 기획재정부, "2014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 지침"
42 경찰청, "2014년 치안 종합성과평가 계획"
43 경찰청, "2013년 치안 종합성과평가 계획" 2013
개인정보 유출을 통해 본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방안
남자 비행청소년들의 성적, 신체적 학대경험과 폭력비행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찰공무원의 인권의식 강화를 위한 경찰 인권교육의 개선방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7-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 ![]() |
2009-03-1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1.0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0.99 | 1.04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