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년대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선율에 관한 고찰 -진양조 음악구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eomungo Sanjo Melody of the Shin, Qae Dong-style in the 1950s - focusing on Jinyangjo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56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structure of Sanjo centered on the Jinyangjo melody among the Shin Qae dong style Geomungo sanjo in 1950s are as follows. First, The playing Method (Gwaebeop) used in Jinyangjo uses a total of 7Gwaebeop such as 2, 4, 5, 6, 7, 8, 9 playing method. Secondly, The composition used is Woojo, Pyeongjo, Pyeong-woojo, Gyemyeonjo, and the number of Jangdan is composed of 96 Jangdan, which is characterized by being shoter than the current Jinyangjo 120 Jangdan. Thirdly, Jinyangjo’s woojo melody use C· G main Key(Boncheong), Pyeongjo Melody uses Bb, Pyeongwoojo melody uses C, Gyemyeonjo melody uses c · g · f main Key. Fourth, The tone used for Jinyangjo is Mi scale for Woojo, Re · Sol scale for Pyeongjo, Mi scale for Pyeongwoojo, and mi sacle for the Gyemyeonjo.
      번역하기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structure of Sanjo centered on the Jinyangjo melody among the Shin Qae dong style Geomungo sanjo in 1950s are as follows. First, The playing Method (Gwaebeop) used in Jinyangjo uses a total of 7Gwaebeop such as 2, 4, 5,...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structure of Sanjo centered on the Jinyangjo melody among the Shin Qae dong style Geomungo sanjo in 1950s are as follows. First, The playing Method (Gwaebeop) used in Jinyangjo uses a total of 7Gwaebeop such as 2, 4, 5, 6, 7, 8, 9 playing method. Secondly, The composition used is Woojo, Pyeongjo, Pyeong-woojo, Gyemyeonjo, and the number of Jangdan is composed of 96 Jangdan, which is characterized by being shoter than the current Jinyangjo 120 Jangdan. Thirdly, Jinyangjo’s woojo melody use C· G main Key(Boncheong), Pyeongjo Melody uses Bb, Pyeongwoojo melody uses C, Gyemyeonjo melody uses c · g · f main Key. Fourth, The tone used for Jinyangjo is Mi scale for Woojo, Re · Sol scale for Pyeongjo, Mi scale for Pyeongwoojo, and mi sacle for the Gyemyeonj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쾌동, "현금곡전집" 창명사 1977

      2 송방송, "한국현대음악인사전 上" 보고사 2011

      3 전라북도립국악원, "풍류방의 명인들 –송영석의 판소리와 신쾌동 거문고산조-" 전라북도립국악원 2-35, 2016

      4 권도희, "초기 산조에서 장단연속체 구성법의 다양성 - 주변 기악 갈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국악학회 59 : 7-38, 2016

      5 김해숙, "전통음악개론" 어울림 1995

      6 박금애, "산조의 계보와 그 전래" 공간사 1976

      7 김해숙, "산조연구" 세광음악출판사 1987

      8 변미혜, "국악용어 편수 자료집Ⅰ" 민속원 2008

      9 장사훈, "국악대사전" 세광음악출판사 1984

      10 이형환, "괘법을 통해 본 거문고 산조의 조 변화 : 신쾌동류 진양조를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2

      1 신쾌동, "현금곡전집" 창명사 1977

      2 송방송, "한국현대음악인사전 上" 보고사 2011

      3 전라북도립국악원, "풍류방의 명인들 –송영석의 판소리와 신쾌동 거문고산조-" 전라북도립국악원 2-35, 2016

      4 권도희, "초기 산조에서 장단연속체 구성법의 다양성 - 주변 기악 갈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국악학회 59 : 7-38, 2016

      5 김해숙, "전통음악개론" 어울림 1995

      6 박금애, "산조의 계보와 그 전래" 공간사 1976

      7 김해숙, "산조연구" 세광음악출판사 1987

      8 변미혜, "국악용어 편수 자료집Ⅰ" 민속원 2008

      9 장사훈, "국악대사전" 세광음악출판사 1984

      10 이형환, "괘법을 통해 본 거문고 산조의 조 변화 : 신쾌동류 진양조를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2

      11 노재명, "거문고산조 음반에 대하여" 한국고음반연구회 3 : 173-188,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2-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 The Association for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0-02-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Culture Journal ->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tudy of Han Min Jok's culture -> THE Korean Culture Journal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Han-Min-Jok'S Culture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9 1.0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