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물계면활성제 람노리피드를 이용한 심해저 광업 잔재물 내 중금속 정화 = Remediation of Heavy Metals in Deep-sea Mining Tailings by Using Rhamnolipi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6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Rhamnolipid for the remediation of heavy metals in deep-sea mining tailings originated from manganese nodules was mainly focused in this research. As continued development depletes land-based metal resources, deep-sea natural resources such as manganese nodules collected from the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in the Pacific Ocean are inevitably drawing attention as useful alternative resources. The London protocol 1996 (LP) under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and the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ISA), however, will come up with the environmental guidelines of deep-sea mining tailings by early 2020s. Accordingly, there are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remediate heavy metals of deep-sea mining tailings. In this research, rhamnolipids which were known as biosurfactants was used to extracting agent for heavy metals in deep-sea mining tailings.
      Methods : Sample (20-63 μm, manganese nodules) made of 2% (w/v) liquid using ultrapure water were stirred and mixed with a rhamnolipid solution (0.05%, 0.1%, 0.2%, 0.3%) for various elapsed time,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remediation of heavy metals in deep-sea mining tailings using rhamnolipid. Each mixture was analyzed for heavy metals eluted into the liquid after solid-liquid separation.
      Results and Discussion : Rhamnolipid was effective in removal of heavy metal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The extracted concentration of copper (Cu), zinc (Zn), nickel (Ni), and cadmium (Cd) were correspondingly enhanced with specific elapsed time and rhamnolipid’s concentrations, also.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ctual development of the remediation technology for deep-sea mining tailings using rhamnolipid in the future.
      번역하기

      Objectives : Rhamnolipid for the remediation of heavy metals in deep-sea mining tailings originated from manganese nodules was mainly focused in this research. As continued development depletes land-based metal resources, deep-sea natural resources su...

      Objectives : Rhamnolipid for the remediation of heavy metals in deep-sea mining tailings originated from manganese nodules was mainly focused in this research. As continued development depletes land-based metal resources, deep-sea natural resources such as manganese nodules collected from the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in the Pacific Ocean are inevitably drawing attention as useful alternative resources. The London protocol 1996 (LP) under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and the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ISA), however, will come up with the environmental guidelines of deep-sea mining tailings by early 2020s. Accordingly, there are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remediate heavy metals of deep-sea mining tailings. In this research, rhamnolipids which were known as biosurfactants was used to extracting agent for heavy metals in deep-sea mining tailings.
      Methods : Sample (20-63 μm, manganese nodules) made of 2% (w/v) liquid using ultrapure water were stirred and mixed with a rhamnolipid solution (0.05%, 0.1%, 0.2%, 0.3%) for various elapsed time,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remediation of heavy metals in deep-sea mining tailings using rhamnolipid. Each mixture was analyzed for heavy metals eluted into the liquid after solid-liquid separation.
      Results and Discussion : Rhamnolipid was effective in removal of heavy metal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The extracted concentration of copper (Cu), zinc (Zn), nickel (Ni), and cadmium (Cd) were correspondingly enhanced with specific elapsed time and rhamnolipid’s concentrations, also.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ctual development of the remediation technology for deep-sea mining tailings using rhamnolipi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생물계면활성제인 람노리피드(rhamnolipid)를 이용한 세척 처리에 의한 심해저 광업 잔재물 내중금속 정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급격한 개발로 육상의 금속자원이 고갈됨에 따라, 대체자원으로 태평양의 클라리온-클립톤 구역(The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의 망간 단괴 등 심해저 광물자원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국제해사기구(IMO) 산하 런던의정서(London Protocol 1996; LP)가 국제해저기구(ISA)와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을위한 국제환경기준안을 2020년 초까지 수립할 예정이기 때문에,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 시 발생하는 잔재물에 대한 정화(Remediation) 기술 또한 개발이 시급하다. Rhamnolipid는 생분해성을 가지는 친환경 생물계면활성제로, 토양 및 광산폐수에서 중금속 제거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rhamnolipid를 이용하여 심해저 광물자원내 중금속 정화 가능성을 평가하고, 경과시간 및 rhamnolipid 농도에 따른 다양한 조건에서의 중금속 용출 특성을평가하였다.
      방법 : Rhamnolipid를 이용한 심해저 광물자원 내 중금속 정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초순수를 사용하여 2% (w/v)의 액상으로 만든 시료(20-63 μm, 망간 단괴)와 rhamnolipid용액(0.05%, 0.1%, 0.2%, 0.3% (w/v))을 다양한 경과시간 동안 교반・혼합하였다. 각각의 혼합물은 고상과 액상을 분리하여 액상에 용출된 중금속을 분석하였다.
      결과 및 토의 : 연구 결과, 우선 처리대상물질로 선정한 구리, 아연, 니켈, 카드뮴에 대하여 용출된 중금속의 농도는경과시간 및 rhamnolipid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다양한 처리 조건에서 시료의 용출 특성을 기초로, 향후 rhamnolipid를 이용한 실제 심해저 광업 잔재물 정화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번역하기

      목적 : 본 연구는 생물계면활성제인 람노리피드(rhamnolipid)를 이용한 세척 처리에 의한 심해저 광업 잔재물 내중금속 정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급격한 개발로 육상의 금속자원이 고갈됨에 ...

      목적 : 본 연구는 생물계면활성제인 람노리피드(rhamnolipid)를 이용한 세척 처리에 의한 심해저 광업 잔재물 내중금속 정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급격한 개발로 육상의 금속자원이 고갈됨에 따라, 대체자원으로 태평양의 클라리온-클립톤 구역(The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의 망간 단괴 등 심해저 광물자원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국제해사기구(IMO) 산하 런던의정서(London Protocol 1996; LP)가 국제해저기구(ISA)와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을위한 국제환경기준안을 2020년 초까지 수립할 예정이기 때문에,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 시 발생하는 잔재물에 대한 정화(Remediation) 기술 또한 개발이 시급하다. Rhamnolipid는 생분해성을 가지는 친환경 생물계면활성제로, 토양 및 광산폐수에서 중금속 제거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rhamnolipid를 이용하여 심해저 광물자원내 중금속 정화 가능성을 평가하고, 경과시간 및 rhamnolipid 농도에 따른 다양한 조건에서의 중금속 용출 특성을평가하였다.
      방법 : Rhamnolipid를 이용한 심해저 광물자원 내 중금속 정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초순수를 사용하여 2% (w/v)의 액상으로 만든 시료(20-63 μm, 망간 단괴)와 rhamnolipid용액(0.05%, 0.1%, 0.2%, 0.3% (w/v))을 다양한 경과시간 동안 교반・혼합하였다. 각각의 혼합물은 고상과 액상을 분리하여 액상에 용출된 중금속을 분석하였다.
      결과 및 토의 : 연구 결과, 우선 처리대상물질로 선정한 구리, 아연, 니켈, 카드뮴에 대하여 용출된 중금속의 농도는경과시간 및 rhamnolipid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다양한 처리 조건에서 시료의 용출 특성을 기초로, 향후 rhamnolipid를 이용한 실제 심해저 광업 잔재물 정화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구, "중금속 흡착을 위한 원위치 피복소재로서 천연제올라이트의 양이온교환용량에 따른 적용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9 (39): 51-58, 2017

      2 지상범, "심해저 망간단괴 개발의 현황과 미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6 (36): 367-371, 2014

      3 이풀잎, "수산화칼슘과 황산제일철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고화제 개질" 대한환경공학회 40 (40): 320-325, 2018

      4 X. Mao, "Use of surfactants for th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s: A review" 285 : 419-435, 2015

      5 E. Ramirez-Llodra, "Submarine and deep-sea mine tailing placements : A review of current practices, environmental issues, natural analogs and knowledge gaps in Norway and internationally" 97 (97): 13-35, 2015

      6 M. Lodge, "Seabed mining: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for the Clarion-Clipperton Zone. A partnership approach" 49 : 66-72, 2014

      7 S. Wang, "Rhamnolipid biosurfactant-enhanced soil flushing for the removal of arsenic and heavy metals from mine tailings" 44 (44): 296-301, 2009

      8 K. Bostrom, "Marine Mineral Exploration" Elsevier Science 2-55, 1986

      9 "ISBA/23/LTC/CRP.3. Regulation on exploitation of mineral resources in the area"

      10 W. Chen, "Heavy metal (Cu, Cd, Pb, Cr) washing from river sediment using biosurfactant rhamnolipid" 24 (24): 16344-16350, 2017

      1 강구, "중금속 흡착을 위한 원위치 피복소재로서 천연제올라이트의 양이온교환용량에 따른 적용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9 (39): 51-58, 2017

      2 지상범, "심해저 망간단괴 개발의 현황과 미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6 (36): 367-371, 2014

      3 이풀잎, "수산화칼슘과 황산제일철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고화제 개질" 대한환경공학회 40 (40): 320-325, 2018

      4 X. Mao, "Use of surfactants for th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s: A review" 285 : 419-435, 2015

      5 E. Ramirez-Llodra, "Submarine and deep-sea mine tailing placements : A review of current practices, environmental issues, natural analogs and knowledge gaps in Norway and internationally" 97 (97): 13-35, 2015

      6 M. Lodge, "Seabed mining: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for the Clarion-Clipperton Zone. A partnership approach" 49 : 66-72, 2014

      7 S. Wang, "Rhamnolipid biosurfactant-enhanced soil flushing for the removal of arsenic and heavy metals from mine tailings" 44 (44): 296-301, 2009

      8 K. Bostrom, "Marine Mineral Exploration" Elsevier Science 2-55, 1986

      9 "ISBA/23/LTC/CRP.3. Regulation on exploitation of mineral resources in the area"

      10 W. Chen, "Heavy metal (Cu, Cd, Pb, Cr) washing from river sediment using biosurfactant rhamnolipid" 24 (24): 16344-16350, 2017

      11 L. D. Palma, "Environmental effects of using chelating agents in polluted sediment remediation" 94 (94): 340-344, 2015

      12 C. N. Mulligan, "Environmental applications for biosurfactants" 133 (133): 183-198, 2005

      13 Gholamreza Asadollahfardi,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diesel-contaminated silty sand under continuous and periodic voltage application" 대한환경공학회 24 (24): 456-462, 2019

      14 B. Dahrazma, "Effects of additives on the structure of rhamnolipid (biosurfactant): A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ANS) study" 319 : 590-593, 2008

      15 G. Liu, "Advances in applications of rhamnolipids biosurfactant in environmental remediation: A review" 115 (115): 796-814,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0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