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증후성 멕켈 게실의 임상적 고찰 = Clinical Features of Symptomatic Meckel's Divert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02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증후성 멕켈 게실 환자들의 임상 증상, 검사 소견, 조직학적 소견, 치료법 등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통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고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1997년 1월...

      목 적: 증후성 멕켈 게실 환자들의 임상 증상, 검사 소견, 조직학적 소견, 치료법 등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통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고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1997년 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6개 대학교병원에서 멕켈 게실로 진단받은 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통해 임상 증상, 검사실 소견, 조직학적 소견, 진단 방법, 수술 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성별 비율은 남자 43예, 여자 15예로 2.8 : 1이었다. 증상이 발생한 연령은 평균 47개월로 생후 1일부터 27세였고, 2세 이하가 31명(53%), 2~5세가 13명(22%), 5세 이상이 14명(25%)으로 5세 이전에 대부분 증상이 나타나 진단되었다. 주요 증상으로는 출혈(78%)이 가장 많았고, 구토(43%), 복통(43%), 보챔(19%), 복부팽만(13%), 발열(9%) 등이 있었다. 임상 양상은 장관 출혈이 76%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장폐색(34%), 천공(13%), 게실염(9%), 혈성 복수(2%)를 보였다. 장폐색을 유발한 원인으로는 장중첩(38%), 내탈장(27%), 띠(16%), 염전(11%), 함입(5%)의 순이었다. 멕켈 스캔이 70%의 환자에서 시행되었고 이소성 위 점막이 있었던 26예 중 21예에서 양성을 보였다. 그 외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19%), 복부 초음파(24%), 진단적 개복술(20%) 등이 진단에 이용되었다. 진단이 되기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 51일(1일~4년)이었다. 수술을 받았던 55명 중 44명(80%)이 소장 부분 절제술, 11명(20%)이 게실 절제술을 받았으며 술 후 합병증은 없었다. 게실의 위치는 회맹판에서 평균 45.9 cm (2~120 cm) 근위부에 있었고 게실의 길이는 평균 3.2 cm (1~10 cm), 직경은 평균 1.8cm (0.5~6 cm)로 대부분 5 cm 이하였다. 게실의 이소성 조직은 위 점막이 26예(48%), 위 점막과 췌장점막이 동시에 있었던 경우가 5예(9%)였다. 결 론: 증후성 멕켈 게실은 주로 5세 이하 남자에서 호발하며 출혈과 장폐색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나 다양한 임상적 발현을 보인다.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장관의 출혈이나 반복성 장중첩증, 장폐색의 소견이 있는 경우 멕켈 게실을 염두에 두고 멕켈 스캔과 복부 초음파 검사,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을 즉시 시행하고 임상적으로 의심이 되면 시험 개복술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roper diagnosis of Meckel's diverticulum (MD) is difficult and delayed because of the variety of clinical manifestations. We reviewe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ymptomatic MD to facilitate early detection. Methods: We analyzed retrospe...

      Purpose: The proper diagnosis of Meckel's diverticulum (MD) is difficult and delayed because of the variety of clinical manifestations. We reviewe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ymptomatic MD to facilitate early detection. Methods: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manifestations, diagnostic tools, histopathological findings, and operative findings in 58 patients with symptomatic MD. Result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2.8 : 1. The most common symptom of MD was bleeding. Others symptoms included: vomiting, abdominal pain, irritability, abdominal distension and fever in the order of frequency.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symptomatic MD were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testinal obstruction, perforation, diverticulitis and hemoperitoneum, in the order of frequency. The causes of intestinal obstruction were intussusception, internal hernia, band, volvulus, invagination, in the order of frequency. Seventy five percent of patient with MD were diagnosed prior to 5 years of age. The most frequently used diagnostic tool was the Meckel's scan. The diverticulum was located 2 cm to 120 cm proximal to the ileocecal valve. The length of the diverticulum ranged from 1 cm to 10 cm and 94% were less than 5 cm. The most common ectopic tissue found in the MD was gastric mucosa. Ileal resection was more frequently performed than diverticulectomy. Conclusion: In cases of unexplained gastrointestinal bleeding, obstruction and repeated intussusception, the meckel's scan, ultrasound and computed tomography shoud be considered to rule out MD, and if clinically necessary, an exploratory laparotomy when nee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Ueberrueck T, "The significance of Meckel's diverticulum in appendicitis--a retrospective analysis of 233 cases" 29 : 455-458, 2005

      2 Armstrong CP,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heterotopic pancrea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68 : 384-7, 1981

      3 Fries M, "Technetium pertechnetate scintigraphy to detect ectopic gastric mucosa in Meckel's diverticulum" 417-22, 1984

      4 Pinero A, "Surgical management and complications of Meckel's diverticulum in 90 patients" 168 : 8-12, 2002

      5 Kim DW, "Spontaneous perforation of Meckel's diverticulum in a neonate" 7 : 119-124, 2004

      6 Baldisserotto M, "Sonographic findings of Meckel's diverticulitis in children" 180 : 425-428, 2003

      7 Rosenthall L, "Radiopertechnetate imaging of the Meckel's diverticulum" 105 : 371-3, 1972

      8 Schussheim A, "Radionuclide diagnosis of bleeding Meckel's diverticulum in children" 68 : 25-9, 1977

      9 Bani-Hani KE, "Meckel's diverticulum:comparison of incidental and symptomatic cases" 28 : 917-920, 2004

      10 Jelenc F, "Meckel's diverticulum perforation with intraabdominal hemorrhage" 37 : 2002

      1 Ueberrueck T, "The significance of Meckel's diverticulum in appendicitis--a retrospective analysis of 233 cases" 29 : 455-458, 2005

      2 Armstrong CP,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heterotopic pancrea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68 : 384-7, 1981

      3 Fries M, "Technetium pertechnetate scintigraphy to detect ectopic gastric mucosa in Meckel's diverticulum" 417-22, 1984

      4 Pinero A, "Surgical management and complications of Meckel's diverticulum in 90 patients" 168 : 8-12, 2002

      5 Kim DW, "Spontaneous perforation of Meckel's diverticulum in a neonate" 7 : 119-124, 2004

      6 Baldisserotto M, "Sonographic findings of Meckel's diverticulitis in children" 180 : 425-428, 2003

      7 Rosenthall L, "Radiopertechnetate imaging of the Meckel's diverticulum" 105 : 371-3, 1972

      8 Schussheim A, "Radionuclide diagnosis of bleeding Meckel's diverticulum in children" 68 : 25-9, 1977

      9 Bani-Hani KE, "Meckel's diverticulum:comparison of incidental and symptomatic cases" 28 : 917-920, 2004

      10 Jelenc F, "Meckel's diverticulum perforation with intraabdominal hemorrhage" 37 : 2002

      11 St-Vil D, "Meckel's diverticulum in children:a 20-year review" 26 : 1289-92, 1991

      12 Mcparland FA, "Meckel's diverticulum in childhood" 106 : 11-4, 1958

      13 Yahchouchy EK, "Meckel's diverticulum" 192 : 658-662, 2001

      14 Ymaguchi M, "Meckel's diverticulum" 136 : 247-9, 1978

      15 Park JJ, "Meckel diverticulum:the Mayo Clinic experience with 1476 patients(1950-2002)" 241 : 529-533, 2005

      16 Ludtke FE, "Incidence and frequency or complications and management of Meckel's diverticulum" 169 : 537-42, 1989

      17 Shandling B, "Diverticular disease" Mosby 919-921, 1996

      18 Meguid M, "Complications of Meckel's diverticulum in infants" 139 : 541-4, 1974

      19 Fa-Si-Oen PR, "Complications and management of Meckel's diverticulum--a review" 165 : 674-678, 1999

      20 Kusumoto H, "Complications and diagnosis of Meckel's diverticulum in 776 patients" 164 : 382-3, 1992

      21 Lee JB, "Clinical manifestation of Meckel's diverticulum" 45 : 466-472, 2002

      22 Bennett GL, "CT of Meckel's diverticulitis in 11 patients" 182 : 625-629, 2004

      23 Mackey WC, "A fifty year experience with Meckel's diverticulum" 156 : 56-64, 1983

      24 Kim MJ, "A case of intussusception caused by Meckel's diverticulum with heterotopic pancreatic and gastric tissues" 9 : 75-79, 2006

      25 Lim JY, "A case of Meckel's diverticulum presented with acute abdomen in a newborn" 8 : 222-225,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4-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외국어명 :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7 0.07 0.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9 0.1 0.367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