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측면에서, 한국교회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목회자들의 도덕적 문제, 성장에 대한 교회의 집착, 그리고 타종교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부정적 태도 등이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것...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91425
배덕만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11
Korean
Theology ; humanities ; doing theology ; creative dialogue ; Korean theology ; Theology ; humanities ; doing theology ; creative dialogue ; Korean theology ; 신학 ; 인문학 ; 신학함 ; 창조적 대화 ; 한국신학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59-288(3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여러 측면에서, 한국교회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목회자들의 도덕적 문제, 성장에 대한 교회의 집착, 그리고 타종교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부정적 태도 등이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것...
여러 측면에서, 한국교회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목회자들의 도덕적 문제, 성장에 대한 교회의 집착, 그리고 타종교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부정적 태도 등이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위기극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전개되고 있다. 일부 목회자들은 부흥운동을 통해 이렇게 추락하는 영적 상황을 변화시키려 하고 있다. 어떤 개혁자들은 각종 스캔들에 연루된 교회와 목회자들을 향해 비판적 목소리를 계속 높이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안팎의 수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는 교회를 위한, 신학자들의 개혁적 목소리나 행동은 상대적으로 드문 것이 현실이다.
개인적으로, 이런 곤경에 처한 한국교회를 위해 신학자들이 기여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인문학과 좀 더 진지한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신학자체가 인문학의 영향 하에 형성되었고, 현재에도 인문학과의 대화 및 협력 없이 신학적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특히, 한국에는, 신학자들이 인문학에 더 많은 관심을 쏟을 수밖에 없도록 만드는 여러 요인들이 존재하며, 한국에서 “신학하기” 위해선 그런 요인들을 깊이 숙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한국교회는 미국선교사들에 의해 개척되었고, 지금도 미국교회와 신학적·신앙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한국교회의 이념적 정체성은 이 나라의 지리적· 이념적 분열의 막대한 영향 하에 형성되어 왔다. 게다가, 한국교회는 자본주의와 관련된 물질주의, 종교다원주의, 그리고 신학적 차이에 기인한 내적 분열 등의 난제들과 씨름하는 중이다. 이 문제들은 모두 한국에서 매우 중요한 신학적 논제들이다. 그러므로 이런 문제들을 용감하고 책임 있게 다루지 않는다면, 신학자들과 교회가 한국사회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심지어 바람직하지도 않다. 그런 목적을 위해, 신학자들은 철학, 문학,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같은 인문(사회)학으로부터 많은 소중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오늘날, 점점 더 많은 학자들이 신학적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런 필요를 깊이 깨닫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인문학자들과의 대화와 협력에 좀 더 적극적으로, 그리고 좀 더 빈번하게 참여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신학자들은 인문학과 일종의 간학문적 작업을 시도할 때, 세심히 주의할 필요도 있다. 신학자들에게는 인문학으로부터 긍정적인 지적 통찰을 얻는 것뿐만 아니라, 신학자와 신자로서 자신의 신학적·영적 정체성을 지키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양자 간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churches are faced with serious crises in many aspects. Critiques against pastors’ moral problems, churches’ preoccupation with numerical and financial growth, and Christians’ negative attitudes toward other religions are getting increase...
Korean churches are faced with serious crises in many aspects. Critiques against pastors’ moral problems, churches’ preoccupation with numerical and financial growth, and Christians’ negative attitudes toward other religions are getting increased. In this situation, a variety of efforts to overcome those crises are being carried out. Some pastors try to change the declining spiritual condition by way of revival movement. Some reformers are raising their voices against the churches and theirs pastors associated with a series of scandals. However, in this context, it is relatively rare to hear theologians’ voices or actions for the reorientation or reconstruction of churches faced with a lot of challenges from within and without.
In the midst of this religious turmoil, one of the ways for theologians to contribute to Korean churches in need is to have a more responsible dialogue with humanities. Basically, theology itself has been shaped under the influence of humanities, and it is even now impossible to do theological work without dialogue and cooperation with humanities. In particular, “doing theology” in Korea is asked to consider many factors, which also enforce theologians to pay more attention to humanities. Korean churches were planted by American missionaries and are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American churches and theologies. The ideological identity of Korean churches has been formed under the heavy influence of the geographical and ideological division of this country. In addition, Korean churches are struggling with a series of difficult matters such as materialism related to capitalism, religious pluralism, and inner division due to the theological differences. All of these matters must be critical theological issues in Korea. Therefore, without dealing with those issues bravely and responsibly, it is neither possible nor desirable for theologians and churches to make any positive impact on Korean society. And for that purpose, theologians can get many significant academic insights from humanities including philosophy, literature, history, politics, economics, sociology, and the like.
These days, more and more scholars are realizing such a need in the course of their theological work. But, they need to participate in the dialogue and cooperation with humanists more actively and frequently. Such a close contact will make a positive impact on even humanities, let alone theology. At the same time, theologians need to be cautious, when they try to undertake a kind of interdisciplinary work with humanities. For theologians, what matters is how to make a balance between to get positive intellectual insight from humanities and to keep their theological and spiritual identities as theologians and believers, not secular humanists.
참고문헌 (Reference)
1 Cone, James H, "흑인영가와 블루스"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0
2 김동국, "회심곡 연구" 한국학술정보(주) 2008
3 Sölle, Dorothee, "현대신학의 패러다임"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3
4 양낙흥, "한국장로교회사" 생명의말씀사 2008
5 강인철, "한국의 개신교와 반공주의" 서울: 중심 2006
6 한국기독교역사학회, "한국기독교의 역사 III"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7 배덕만, "한국기독교의 고도성장. In 한국기독교사탐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16-241, 2011
8 류대영, "한국근현대사와 기독교" 서울: 푸른역사 2009
9 이원규, "한국교회 어디로 가고 있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10 배덕만, "한국개신교근본주의" 대전: 대장간 2010
1 Cone, James H, "흑인영가와 블루스"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0
2 김동국, "회심곡 연구" 한국학술정보(주) 2008
3 Sölle, Dorothee, "현대신학의 패러다임"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3
4 양낙흥, "한국장로교회사" 생명의말씀사 2008
5 강인철, "한국의 개신교와 반공주의" 서울: 중심 2006
6 한국기독교역사학회, "한국기독교의 역사 III"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7 배덕만, "한국기독교의 고도성장. In 한국기독교사탐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16-241, 2011
8 류대영, "한국근현대사와 기독교" 서울: 푸른역사 2009
9 이원규, "한국교회 어디로 가고 있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10 배덕만, "한국개신교근본주의" 대전: 대장간 2010
11 Wallis, Jim, "하나님의 정치학" 서울: 청림 2010
12 Hauerwas, Stanley, "하나님의 나그네 된 백성" 서울: 복 있는 사람 2008
13 김경재, "폴 틸리히: 생애와 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79
14 Fiorenza, Elizabeth. S, "크리스찬 기원의 여성신학적 재건" 서울: 종로서적 1986
15 류대영, "초기미국선교사연구" 서울: 한국기독교선교사연구 2001
16 배덕만, "창조론 vs. 진화론 논쟁에 낀 복음주의" (210) : 42-48, 2008
17 배덕만, "짐 월리스(Jim Wallis): 복음주의 사회참여의 새로운 모델" 17 : 89-114, 2009
18 이충범, "중세신비주의와 여성: 주체, 억압, 저항, 그리고 전복" 서울: 동연출판사 2011
19 Bloch, Ernst, "저항과 반역의 기독교" 서울: 열린책들 2009
20 류금주, "이용도의 신비주의와 한국교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21 Kant, Immanuel,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서울: 이화여자대핚출판부 1994
22 Erasmus, "우신에찬" 서울: 서해문집 2008
23 Yoder, John H, "예수의 정치학" 서울: IVP 2007
24 Zweig, Stefan, "에라스무스 평전" 서울: 아롬미디어 2006
25 Muzorewa, Gwinyai H, "아프리카 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1
26 김태규,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이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0
27 신재식, "아우구스티누스 & 아퀴나스" 서울: 김영사 2008
28 Song, Choan-Seng, "아시아 이야기 신학" 왜관: 분도출판사 1988
29 차정식, "신학의 스캔들, 스캔들의 신학" 동연출판사 2011
30 최영실, "신약성서의 여성들"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
31 홍성국, "신약성경과 교회부흥: 사회학적 관점" 서울: 솔로몬 2008
32 Underhill, Evelyn, "신비주의의 본질" 서울: 뉴멘 2009
33 Fishcher, Hermann, "슐라이어마허의 생애와 사상" 서울: 월드북 2007
34 O’Donnell, Robert A, "쉽게 쓴 토마스 아퀴나스 철학" 서울: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7
35 McGinn, Bernard, "서방 기독교의 신비주의의 역사" 서울: 은성 2000
36 Maduro, Otto, "사회적 갈등과 종교"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8
37 김진호, "반신학의 미소" 서울: 삼인 2001
38 Meeks, Wayne A, "바울의 목회와 도시사회"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2
39 안병무, "민중신학이야기"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0
40 배덕만, "미국기독교우파의 정치운동" 서울: 넷북스 2007
41 윤영훈, "문화시대의 창의적 그리스도인" 서울: 두란노아카데미 2010
42 최형묵, "무례한 자들의 크리스마스" 서울: 평사리 2007
43 정현경, "다시 태양이 되기 위하여" 왜관: 분도출판사 1994
44 김균진, "기독교조직신학 I"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84
45 박명수, "근대복음주의의 주요흐름"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46 배덕만, "그리스도인이 세상을 바꾸는 7가지 방법" 살림출판사 2009
47 김성욱, "교회의 갱신을 위한 학문적 교류-하르낙과 바르트의 서신교환을 중심을" 15 : 144-173, 2008
48 Wallis, Jim, "가치란 무엇인가" 서울: IVP 2011
49 Outler, Albert C, "Wesleyan Quadrilateral in John Wesley" 20 (20): 1985
50 Heitzenrater, Richard P, "Wesley and the People Called Methodists" Nashville: Abingdon Press 1995
51 Tillich, Paul, "Theology of Cultur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59
52 Park, Andrew Sung, "The Wounded Heart of God" Nashville: Abingdon Press 1993
53 Thorsen, Donald, "The Wesleyan Quadrilateral: Scripture, Tradition, Reason and Experience as a Model of Evangelical Theology" Grand Rapids: Zondervan 1990
54 Yoder, John H, "The Royal Priesthood" Scottdale, PA.: Herald Press 1998
55 Chan, Simon, "Spiritual Theology" Downers Grove, Ill.: InterVarsity Press 1998
56 Hofstadter, Richard, "Social Darwinism in American Thought" Boston: Beacon Press 1944
57 Land, Steven J, "Pentecostal Spirituality: A Passion for the Kingdom" UK.: Sheffield Academic Press 1993
58 Schleiermacher, "On Relig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59 Lee, Jung Yong, "Marginality"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5
60 Fiering, Norman, "Jonathan Edwards‘s Moral Thought and Its British Context" Chapel Hi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1981
61 Nation, Mark Thiessen, "John Howard Yoder: Mennonite Patience" Evangelical Witness
62 Catholic Conviction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ishing Co 2006
63 Roberts, Jon H, "Darwinism and the Divine in America: Protestant Intellectuals and Organic Evolution, 1859-1900"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8
64 Goen, C. C, "Broken Churches, Broken Nations" Macon, GA.: Mercer University Press 1985
65 Yong, Amos, "Beyond the Impasse: Toward a Pneumatological Theology of Religion" Grand Rapdis: Baker Academic 2003
66 Kee, Howard C, "Beginnings of Chrstianity: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T&T Clark Int’l 2005
67 Dunn, James D. G, "Beginning from Jerusalem" Grand Rapids: Eerdmans 2008
68 Gutierrez, Gustavo, "A Theology of Liberation" New York: Orbis Books 1975
69 Grenz, Stanley J, "20세기 신학" 서울: IVP 199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4-1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 Reformed Theology Society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5 | 0.57 | 0.14 |
인문학 특강
한양대학교 김신아신학입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배정훈, 오방식, 이상억, 최진봉, 신형섭, 고원석, 장신근, 이병옥, 남성현, 박보경, 이한나, 김신웅, 이상일, 이창호, 고재길, 김은혜, 신옥수, 송용원, 김도훈, 박경수, 최영근, 서원모, 김태섭, 김철홍, 김문경, 이은우, 하경택조직신학
삼육대학교 제해종SF와융합인문학적상상력
건국대학교 양선진신학입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박경수, 고원석, 신형섭, 이상억, 오방식, 최진봉, 배정훈, 이은우, 김철홍, 서원모, 이창호, 고재길, 김은혜, 신옥수, 백충현, 김도훈, 안교성, 장신근, 이병옥, 변창욱, 박보경, 조성환, 이상일, 김문경, 하경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