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독학 러시아어 첫걸음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93928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문예림, 1994

      • 발행연도

        199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792.8 판사항(3)

      • DDC

        491.78

      • ISBN

        8974820285 3379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독학 러시아어 첫걸음 / 박문신 ; 최덕근 편저

      • 형태사항

        382p. : 삽도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외국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서라벌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수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머리말 = 1
      • 露語文字 = 14
      • 第1週
      • 제1일 자모(字母)와 발음(Ⅰ) = 25
      • 목차
      • 머리말 = 1
      • 露語文字 = 14
      • 第1週
      • 제1일 자모(字母)와 발음(Ⅰ) = 25
      • Ⅰ. 모음(母音)(1) = 26
      • Ⅱ. 자음(子音)(1) = 27
      • Ⅲ. 자음(子音)(2) = 28
      • Ⅳ. 연음부(連音符)b, 경자음(硬子音)과 연자음(軟子音) =31
      • Ⅴ. 모음(2), 경모음(硬母音)과 연모음(軟母音) = 33
      • 제2일 자모(字母)와 발음(Ⅱ) = 36
      • Ⅰ. 자음(子音)(3) = 36
      • Ⅱ. 반모음(半母音) = 38
      • Ⅲ. 분리부(分離符)로서의 b와 b = 39
      • Ⅳ. 음(音)의 분류 = 40
      • Ⅴ. 발음상 주요한 주의 = 42
      • Ⅵ. 필기체(筆記體) = 46
      • 제3일 간단한 문장 = 48
      • Ⅰ. 《-은…이다》 = 48
      • Ⅱ. 《-에…이 있다》 = 49
      • Ⅲ. 의문문(疑問文)과 답언(答言) (Ⅰ. 의문사(疑問詞)가 없을 때) = 50
      • Ⅳ. 의문문과 그 답언 (Ⅱ. 의문사가 있을 때) = 52
      • 제4일 = 55
      • Ⅰ. 품사(品詞)의 종류 = 55
      • Ⅱ. 명사(名詞)의 성(性) = 55
      • Ⅲ. 명사의 수(數) = 59
      • Ⅳ. 인칭대명사(人稱代名詞) = 61
      • 제5일 동사(動詞)의 변화 = 65
      • Ⅰ. 직설법(直說法) 현재 = 65
      • Ⅱ. 명령법 = 70
      • 제6일 형용사(形容詞)적 대명사와 형용사 = 75
      • Ⅰ. 물질(物質)대명사 = 75
      • Ⅱ. 형용사 = 79
      • Ⅲ. 지시(指示)대명사 ○TOT(이것), TOT(그것) = 83
      • 제7일 형용사의 단어미(單語眉),술어적 부사(副詞) = 86
      • Ⅰ. 형용사의 단어미 = 86
      • Ⅱ. 술어적 부사 = 90
      • 第2週
      • 제1일 명사의 격(格) ; 전치격(前置格) = 97
      • Ⅰ. 명사의 격 = 97
      • Ⅱ. 전치격 = 99
      • Ⅲ. 전치사 B와 Ha의 차이 = 102
      • Ⅳ. 동사 писать, жить, сидеть의 변화 = 103
      • 제2일 동사의 과거와 미래 ; 명사의 대격(對格) = 106
      • Ⅰ. 동사의 과거형 = 106
      • Ⅱ. 동사의 미래형 = 107
      • Ⅲ. 무인칭문(無人稱文)에서의 동사의 형 = 109
      • Ⅳ. 명사의 대격 = 111
      • Ⅴ. 동사 ставить, любить의 변화 = 113
      • Ⅵ. 명령법 이머(語尾) -ь, -ьте = 113
      • 제3일 운동을 나타내는 동사 : 명사의 생격(生格) = 116
      • Ⅰ. 운동을 나타내는 동사 = 116
      • Ⅱ. 「가다」의 표현 = 119
      • Ⅲ. 명사의 생격(生格) = 122
      • Ⅳ. 부정(否定) 생격 = 127
      • Ⅴ. 부정소사(否定小詞) ни = 129
      • 제4일 명사의 여격(與格)·조격(造格) ; -ся가 붙는 동사 = 131
      • Ⅰ. 명사의 여격 = 131
      • Ⅱ. 동사 -авать, -овать의 변화 = 134
      • Ⅲ. 명사의 조격(造格) = 136
      • Ⅳ. 달(月)과 요일(曜日) = 140
      • Ⅴ. -ся가 붙는 동사 = 142
      • Ⅵ. 조격을 요구하는 연사(漣辭)적 동사 = 145
      • 제5일 명사변화의 정리(定理) = 149
      • Ⅰ. 명사 단수 변화의 총정리 = 149
      • Ⅱ. 명사 복수의 변화 = 150
      • 제6일 형용사(Ⅰ), 형용사를 포함한 약어(略語), 수량(數量) 대명사와 명사의 결합 = 162
      • Ⅰ. 형용사의 변화 = 162
      • Ⅱ. 명사화한 형용사 = 167
      • Ⅲ. 러시아인의 성(姓) = 167
      • Ⅳ. 형용사를 포함한 약어 = 168
      • Ⅴ. 수량 대명사와 명사의 결합(數量生格) = 169
      • 제7일 형용사의 비교급(比較級)과 최상급(最上級) = 171
      • Ⅰ. 형용사의 비교급 = 171
      • Ⅱ. 형용사의 최상급 = 178
      • 第3週
      • 제1일 인칭대명사, 재귀대명사(再歸代名詞), 물질대명사(物質代名詞), 지시대명사 = 185
      • Ⅰ. 인칭대명사의 변화 = 185
      • Ⅱ. 재귀대명사 себя, 의문대명사 кто, что의 변화 = 186
      • Ⅲ. 물질대명사 = 189
      • Ⅳ. 지시대명사의 변화 = 190
      • 제2일 동사의 체(體) = 171
      • Ⅰ. 동사의 체 = 171
      • Ⅱ. 체의 형성 = 196
      • 제3일 운동을 나타내는 동사의 체(體) ; -нуть동사 ; 동사변화의 총정리(Ⅰ) = 203
      • Ⅰ. 운동을 나타내는 동사의 체 = 203
      • Ⅱ. -нуть 동사 = 208
      • Ⅲ. 동사변화의 총정리(Ⅰ. 생산적인 형) = 210
      • 제4일 동사변화의 총정리(Ⅱ. 비생산적인형) = 214
      • 제5일 대명사(Ⅰ) = 229
      • Ⅰ. 정대명사(定代名詞) = 229
      • Ⅱ. 부정(否定) 대명사 = 234
      • Ⅲ. 부정(否定) 부사 = 235
      • Ⅳ. 부정(否定) 대명사 = 236
      • Ⅴ. 부정(否定) 부사 = 239
      • 제6일 대명사(Ⅱ) = 241
      • Ⅰ. 의문대명사 = 241
      • Ⅱ. 관계대명사 = 242
      • Ⅲ. 관계부사 = 246
      • 제7일 수사(數詞)(Ⅰ) = 249
      • Ⅰ. 개수사(個數詞)(1부터100까지) = 249
      • Ⅱ. 개수사와 명사·형용사와의 결합 = 250
      • Ⅲ. 개수사(Ⅱ)(200이상) = 251
      • Ⅳ. 개수사의 변화 = 252
      • Ⅴ. 개수(槪數)를 나타내는 법 = 256
      • 第4週
      • 제1일 수사(Ⅱ) = 263
      • Ⅰ. 순서수사(順序數詞) = 263
      • Ⅱ. 분수(分數)·소수(小數) = 265
      • Ⅲ. 연월일(年月日),시간,연령(年齡)을 나타내는 방법 = 267
      • 제2일 가정법(假定法),명령법(命令法) = 274
      • Ⅰ. 가정법 = 274
      • Ⅱ. 명령법 = 277
      • 제3일 부동사(副動詞)·형동사(形動詞) = 283
      • Ⅰ. 부동사 = 283
      • Ⅱ. 형동사 = 288
      • 제4일 = 305
      • Ⅰ. 물질(物質)형용사 = 305
      • Ⅱ. 러시아인의 성명(姓名)·부칭(父稱) = 308
      • Ⅲ. 수사 보유(補遺) = 313
      • Ⅳ. 명사, 형용사의 주관적 평가의 접미사(接尾辭)
      • 제5일 문(文)(Ⅰ) = 321
      • Ⅰ. 문(文)의 정의 = 321
      • Ⅱ. 문의분류 = 321
      • Ⅲ. 부정(不定) 인칭문 = 322
      • Ⅳ. 보편(普遍) 인칭문 = 322
      • Ⅴ. 무인칭문 = 323
      • Ⅵ. 부정법문(不定法文) = 325
      • Ⅶ. 명칭문(名稱文) = 326
      • 제6일 문(文)(Ⅱ) = 328
      • Ⅰ. 문의 성분(成分) = 328
      • Ⅱ. 복문(複文) = 334
      • Ⅲ. 상황부가문(附加文)의 접속사 = 337
      • 제7일 문(文)(Ⅲ) = 343
      • Ⅰ. 동위성분(同位成分) = 343
      • Ⅱ. 독립성분 = 345
      • 附錄 = 351
      • Ⅰ. 노어 철자(綴字)규칙 = 351
      • Ⅱ. 명사특수변화 = 352
      • 練習 問題 解答 = 3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