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layfulness of Autistic Children-Based on Test of Playfulness(ToP)-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12950
2007
-
KCI등재
학술저널
165-186(2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Playfulness of Autistic Children-Based on Test of Playfulness(ToP)-
A Study on Playfulness of Autistic Children-Based on Test of Playfulness(ToP)-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아동의 놀이다움 특성을 밝히기 위해 놀이다움 요소별 특성 즉 동기근원, 통제지각, 현실감 부재, 참조체계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총 52명...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아동의 놀이다움 특성을 밝히기 위해 놀이다움 요소별 특성 즉 동기근원, 통제지각, 현실감 부재, 참조체계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총 52명으로 일반발달아동 26명(남 19명, 여 7명)과 자폐아동 26명(남 19명, 여 7명)이다. 본 연구에 적용한 연구도구는 Bundy(2003)가 제작한 놀이다움 평정척도 4.0을 진흥신(2003)이 우리나라 일반발달아동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예비표준화한 한국판 놀이다움 평정척도이다. 자료처리는 놀이다움 평정척도에서 얻어진 원점수를 Rasch 분석하였고, 자폐아동과 일반발달아동이 반응한 문항반응 측정치 비교를 통하여 동기근원, 통제지각, 현실감부재, 참조체계의 특성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자폐아동의 놀이다움 요소별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아동의 동기근원은 내적 동기 성향을 보이는 문항과 외적 동기성향을 보이는 문항이 확실하게 구분되었다. 즉 자폐아동의 동기근원은 내적 동기 성향과 외적 동기성향이 동시에 보였지만, 더 많은 문항에서 내적 동기 성향을 보였다. 둘째, 자폐아동의 독자적 통제지각은 동기근원과 마찬가지로 내적 통제 성향과 외적 통제 성향이 동시에 보였지만, 더 많은 문항에서 내적 통제 성향을 보였다. 공유적 통제지각은 외적 통제 성향을 보였다. 셋째, 자폐아동의 현실감부재 특성은 모든 문항에서 부자유한 현실감 부재를 보였다. 넷째, 자폐아동의 참조체계 특성은 부자유하게 사회적 단서를 주고받았다. 그러므로 자폐아동의 놀이다움에 대한 미래연구는 자폐아동의 내적 동기 성향과 독자적 내적 통제 성향에 기초하여 비놀이다움을 놀이다움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놀이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요청된다.<주제어> 놀이다움 평정척도, 동기근원, 통제지각, 현실감 부재, 참조체계, Rasch분석
참고문헌 (Reference)
1 진흥신, "한국판 - 놀이다움 평정척도(K-ToP)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71-90, 2003
2 유수옥, "통합유치원에서 자폐유아의 사회적 놀이 행동 발달에 관한 연구" 14 (14): 61-75, 1998
3 김주영, "정상아동과 PDD아동을 대상으로 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아동의 기질 및 놀이성에 관한 연구" 2004
4 진흥신, "자폐성아동의 놀이다움 평정 척도 Playfulness of Test 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21 (21): 139-161, 2005
5 유지승, "자아개념 증진 활동 중재가 자아개념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2001
6 김지혜, "유아의 놀이성이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6
7 엄미랑, "유아의 놀이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1995
8 최수연, "영재유아와 일반유아간의 놀이성과 사회성숙도에 대한 차이 연구" 2003
9 정지은, "어머니 양육태도와 정신지체아동 놀이성간의 관계" 2003
10 진흥신, "발달장애아동의 놀이다움 한미비교" 20 (20): 289-310, 2004
1 진흥신, "한국판 - 놀이다움 평정척도(K-ToP)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71-90, 2003
2 유수옥, "통합유치원에서 자폐유아의 사회적 놀이 행동 발달에 관한 연구" 14 (14): 61-75, 1998
3 김주영, "정상아동과 PDD아동을 대상으로 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아동의 기질 및 놀이성에 관한 연구" 2004
4 진흥신, "자폐성아동의 놀이다움 평정 척도 Playfulness of Test 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21 (21): 139-161, 2005
5 유지승, "자아개념 증진 활동 중재가 자아개념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2001
6 김지혜, "유아의 놀이성이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6
7 엄미랑, "유아의 놀이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1995
8 최수연, "영재유아와 일반유아간의 놀이성과 사회성숙도에 대한 차이 연구" 2003
9 정지은, "어머니 양육태도와 정신지체아동 놀이성간의 관계" 2003
10 진흥신, "발달장애아동의 놀이다움 한미비교" 20 (20): 289-310, 2004
11 김수연, "놀이 프로그램의 통합 및 놀이수정 교수여부가 일반발달아동과 장애아동의 정서적 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37 (37): 243-269, 2003
12 김수정, "가정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어머니 - 자녀관계 및 유아의 놀이성" 2007
13 "Winsteps Rasch Measurement (v.3.45)." Chicago: MESA Press 2003
14 "What are the core deficits in autism? In S Atypical cognitive deficits in developmental disorders Implication for brain func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4
15 Bateson, "Toward a theory of play and fantasy Steps to an ecology of the mind" 1972
16 Barnett,L, "The playful child: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4 : 51-74, 1991a
17 "The play of handicapped childre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4
18 "The elements of play University of Illino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71
19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96
20 "Test of Playfulness(ToP) Manual, Version 4.0. School of Occupation and Leisure Sciences" University of Sydney 2003
21 "Teaching children with autism to mind-read: a practical guide for teachers and parents" New York: Wiley 2001
22 "Symbolic play in severely mentally retarded and in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167-178, 1977
23 "Playfulness in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and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69 (69): 505-512, 2006
24 Bundy, A. C, "Play and playfulness: What to look for" St. Louis : Mosby 1997
25 "Pivotal teaching interac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28 (28): 576-594, 1999
26 "Motivation in childhood autism Can they or won't the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985185-191
27 "Lack of motivation to share intentions: Primary deficit in autism?" 28 (28): 718-719, 2005
28 "It relationship to imgination and creativity" Academic Press 1977
29 "Ideational creativity and behavioral style in kindergarten aged children" 8 : 154-161, 1973
30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mar : 1987
31 "Evolving a Consilience of Play Definitions: Playfully" 2 : 239-256, 1999
32 Baron-Cohen,S, "Autism and symbolic play" 5 : 139-148, 1987
33 Beyer, J, "Autism and Play" London, UK: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05
34 "A Comparison of Motor Behaviors, Interaction, and Playfulness during Mother-Child and Father-Child Play with Children with Motor Delay: Implications for Early Intervention Practice" 129-152, 2006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웹기반 진단·평가 연계 중재프로그램 전문가 시스템 효과 검증
통합학급에서 교수적 수정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8-0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 ![]() |
2005-01-2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9 | 0.99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3 | 1.3 | 1.503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