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민문학』의 좌담회 연구 = A Study on a symposium of 『kukminmunha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7012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s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for researching the symposium of 『kukminmunhak』. The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intend to blend in korean and japanese living korea, and plan to make a new identity. Japanese demand to be study japanese identity of a korean. but korean take the ground that the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has to seek for originality of Joseon-kukminmunhak. Korean and japanese don`t have methods of bridging the gap of a difference of viewpoint. What was interest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the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is that Korean`s theory is more bold and delicate than Japanese`s. This is why as follows. Firstly, Japan don`t fight against China and America without Korean`s helping under the Total war. secondly, Japanese don``t give a universal truth as regional hegemony to korean. That`s why Korean lead the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But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works as covering up a unfair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번역하기

      The aims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for researching the symposium of 『kukminmunhak』. The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intend to blend in korean and japanese living korea, and plan to make a new identity...

      The aims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for researching the symposium of 『kukminmunhak』. The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intend to blend in korean and japanese living korea, and plan to make a new identity. Japanese demand to be study japanese identity of a korean. but korean take the ground that the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has to seek for originality of Joseon-kukminmunhak. Korean and japanese don`t have methods of bridging the gap of a difference of viewpoint. What was interest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the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is that Korean`s theory is more bold and delicate than Japanese`s. This is why as follows. Firstly, Japan don`t fight against China and America without Korean`s helping under the Total war. secondly, Japanese don``t give a universal truth as regional hegemony to korean. That`s why Korean lead the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But discourse of Joseon-kukminmunhak works as covering up a unfair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총동원"

      2 고봉준, "지성주의 파탄과 국민문학론" 한국시학회 (17) : 5-30, 2006

      3 "조광"

      4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2002

      5 윤대석, "식민지 국민문학론" 역락 2006

      6 테리 이글턴, "비평의 기능" 제3문학사 1991

      7 박노현, "내선인과 국민문학: 신민족에 의한 신문학 고안의 기획" 한국어문학연구학회 (42) : 253-270, 2004

      8 藤石貴代, "김종한과 국민문학"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 : 131-150, 2006

      9 박광현, "국민문학의 기획과 전망" (37) : 321-347, 2005

      10 "국민문학"

      1 "총동원"

      2 고봉준, "지성주의 파탄과 국민문학론" 한국시학회 (17) : 5-30, 2006

      3 "조광"

      4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2002

      5 윤대석, "식민지 국민문학론" 역락 2006

      6 테리 이글턴, "비평의 기능" 제3문학사 1991

      7 박노현, "내선인과 국민문학: 신민족에 의한 신문학 고안의 기획" 한국어문학연구학회 (42) : 253-270, 2004

      8 藤石貴代, "김종한과 국민문학"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 : 131-150, 2006

      9 박광현, "국민문학의 기획과 전망" (37) : 321-347, 2005

      10 "국민문학"

      11 田村章, "民文の容 -崔載瑞 1941~1945-"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177-192, 2007

      12 허윤회, "1940년대 전반기의 시론에 대하여 - 김종한의 시론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32) : 252-28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9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