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1920년대 조선 도시계획 논의의 전개 과정과 ‘1930년 조선총독부 도시계획안’의 위상을 재검토한 연구이다. 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도시계획파는 잡지 『조선과 건축』등을 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03209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1-65(25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20년대 조선 도시계획 논의의 전개 과정과 ‘1930년 조선총독부 도시계획안’의 위상을 재검토한 연구이다. 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도시계획파는 잡지 『조선과 건축』등을 통...
이 논문은 1920년대 조선 도시계획 논의의 전개 과정과 ‘1930년 조선총독부 도시계획안’의 위상을 재검토한 연구이다.
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도시계획파는 잡지 『조선과 건축』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도시계획 담론을 조선에 전파했다. 또 조선 4대 도시(경성, 부산, 대구, 평양)의 조사와 도시계획안 작성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했다. 조선총독부 수뇌부의 반대로 도시계획법이 제정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1920년대 내내 조선에서 도시계획은 부침을 겪으며 점차 하강곡선을 그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대 도시의 조사 작업은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1930-31년 경성, 부산, 대구 세 도시의 도시계획안이 간행되었다. 그런데 이것은 도시계획을 즉시 실행하지 않음을 전제로 총독 등에게 보고용으로 소량만 인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도시계획을 위한 재원 마련책이 없으며, 실지 측량도 일부만 했다. 무엇보다도 조선총독부의 공식 간행물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지 않고, 국회도서관과 일본 사이토기념관에만 소장되어 있다. 그리하여 오랫동안 존재조차 잊혀져 있었다.
결론적으로 ‘1930년 조선총독부 도시계획안’은 1920년대 조선 도시계획 논의의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는 증거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reatise examines the discussion of urban planning in colonial Joseon during the 1920’ s and the “1930 Joseon Government General Urban Plan.” During the 1920’ s, urban planners in the colonial government attempted to promote city plan...
This treatise examines the discussion of urban planning in colonial Joseon during the 1920’ s and the “1930 Joseon Government General Urban Plan.”
During the 1920’ s, urban planners in the colonial government attempted to promote city planning ideas and discussions through publishing the periodical “Joseon and Construction.” They conducted preliminary surveys of the four major cities in Joseon – Kyeongseong (京城), Busan (釜山), Daegu (大邱), Pyongyang (平壤) - and drew up urban plans for these cities. However, the project faced opposition from higher levels of the colonial administration, especially with regard to legislating the urban planning act. Throughout the 1920’ s, there were ups and downs, but efforts for urban planning in Joseon continued to decline.
Nevertheless, the surveys of the four major cities were carried out and resulted in the 1930-1931 publication of the city plans for Kyeongseong, Busan, and Daegu. However, the urban plans were meant to be printed only in small numbers to debrief the Governor General, without any intentions to realize them in the foreseeable future. No resources were procured for the plans and the actual surveys did not cover the cities’ entire areas. Moreover, although the plans were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they are currently not in possession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only found at Korea’s Library of the National Assembly as well as the Saito Makoto Memorial Hall in Japan, actually forgotten, even among scholars.
In conclusion, the “1930 Joseon Government General Urban Plan” embodies both the achievement of discussions on urban planning in Joseon during the 1920’ s and its limitations at the same tim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백영, "지배와 공간" 문학과지성사 2009
2 김일수, "일제강점 전후 대구의 도시화과정과 그 성격" 10 : 2003
3 국사편찬위원회, "일본소재 한국사 자료 조사보고Ⅰ" 2002
4 박양신, "식민지 관료 경험과 식민정책론: 모치지 로쿠사부로(持地六三郞)를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소 (48) : 167-198, 2014
5 염복규,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 : 1910-1945 도시계획으로 본 경성의 역사" 이데아 2016
6 "사이토기념관 홈페이지"
7 "국회도서관 홈페이지"
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9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10 朝鮮總督府 內務局 土木課, "釜山都市計劃書"
1 김백영, "지배와 공간" 문학과지성사 2009
2 김일수, "일제강점 전후 대구의 도시화과정과 그 성격" 10 : 2003
3 국사편찬위원회, "일본소재 한국사 자료 조사보고Ⅰ" 2002
4 박양신, "식민지 관료 경험과 식민정책론: 모치지 로쿠사부로(持地六三郞)를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소 (48) : 167-198, 2014
5 염복규,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 : 1910-1945 도시계획으로 본 경성의 역사" 이데아 2016
6 "사이토기념관 홈페이지"
7 "국회도서관 홈페이지"
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9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10 朝鮮總督府 內務局 土木課, "釜山都市計劃書"
11 "每日申報"
12 "東亞日報"
13 "朝鮮總督府官報"
14 友邦協會, "朝鮮の國土開發事業" 1968
15 "朝鮮と建築"
16 廣瀨貞三, "日本の朝鮮・臺灣支配と植民地官僚" 思文閣出版 2009
17 손정목, "日帝强占期都市計劃硏究" 一志社 1990
18 朝鮮總督府 內務局 土木課, "大邱都市計劃書"
19 河井朝雄, "大邱物語" 1931
20 京城府, "京城都市計劃調査書" 1928
21 朝鮮總督府 內務局 土木課, "京城都市計劃書" 1930
22 京城府, "京城都市計劃區域設定書"
23 박세훈, "1920년대 경성도시계획의 성격" 15 : 2000
조감도를 통해 살펴본 1920∼30년대 인천의 심상지리와 시가지 계획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4 | 1.54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1.72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