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론사의 정파성에 따른 이태원 참사 뉴스 프레임 비교 연구 :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News Framing on the Itaewon Tragedy Based on Media Partisanship: Focusing on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80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media reported the Itaewon Tragedy that occurred in 2022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news framing based on the partisanship of media. The analysis focused on Chosun Ilbo, JoongAng Ilbo, Dong-A Ilbo, Hankyoreh Shinmun, and Kyunghyang Shinmun. News articles were collected through BigKinds,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was utilized to extract topics related to the Itaewon Tragedy. The framing of news was analyzed by forming a semantic network of the topics extracted through topic modeling to examine the attributes related to the Itaewon Tragedy and their contex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pics of media differed based on the period and partisanship. Progressive media had a higher proportion of topics related to assigning responsibility for the tragedy, while conservative media focused on topics centered around the tragedy itself. Second, media frames varied based on the period and partisanship. However, an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rame, with words related to the causes and responsibility for the tragedy, was clearly present in both cases. Third, media with different partisanship had different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rames. Progressive media consistently emphasized the responsibility of the relevant government agency, while conservative media continued to emphasize a dispersed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rame involving various institu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media reporting on disaster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media reported the Itaewon Tragedy that occurred in 2022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news framing based on the partisanship of media. The analysis focused on Chosun Ilbo, JoongAng Ilbo, Dong-A Ilb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media reported the Itaewon Tragedy that occurred in 2022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news framing based on the partisanship of media. The analysis focused on Chosun Ilbo, JoongAng Ilbo, Dong-A Ilbo, Hankyoreh Shinmun, and Kyunghyang Shinmun. News articles were collected through BigKinds,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was utilized to extract topics related to the Itaewon Tragedy. The framing of news was analyzed by forming a semantic network of the topics extracted through topic modeling to examine the attributes related to the Itaewon Tragedy and their contex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pics of media differed based on the period and partisanship. Progressive media had a higher proportion of topics related to assigning responsibility for the tragedy, while conservative media focused on topics centered around the tragedy itself. Second, media frames varied based on the period and partisanship. However, an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rame, with words related to the causes and responsibility for the tragedy, was clearly present in both cases. Third, media with different partisanship had different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rames. Progressive media consistently emphasized the responsibility of the relevant government agency, while conservative media continued to emphasize a dispersed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rame involving various institu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media reporting on disaster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언론이 2022년 발생한 이태원 참사를 어떻게 보도하였으며, 언론사의 정파성에 따라 뉴스 프레임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으로 설정하였으며, 빅카인즈를 통해 뉴스를 수집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분석하기 위해 LDA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토픽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토픽의 의미연결망을 형성해 뉴스보도 관련 속성을 분석하고 어떠한 맥락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태원 참사를 보도하는 언론사의 토픽들은 시기와 정파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진보 언론사는 참사의 책임소재와 관련된 토픽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보수 언론사는 참사 중심으로 형성된 토픽들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언론사의 프레임은 시기와 정파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지만 공통적으로 참사의 원인과 책임에 관련된 단어들이 중심을 이루는 책임귀인 프레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셋째, 언론사의 정파성에 따라 책임소재와 관련된 책임귀인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났다. 진보 언론사에서는 주무부처의 책임론이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보수 언론사에서는 여러 기관으로 산재되어 있는 형태의 책임귀인 프레임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언론에서 나타나는 사회재난에 대한 보도 행태의 함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언론이 2022년 발생한 이태원 참사를 어떻게 보도하였으며, 언론사의 정파성에 따라 뉴스 프레임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은 조선일보, ...

      본 연구는 언론이 2022년 발생한 이태원 참사를 어떻게 보도하였으며, 언론사의 정파성에 따라 뉴스 프레임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으로 설정하였으며, 빅카인즈를 통해 뉴스를 수집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분석하기 위해 LDA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토픽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토픽의 의미연결망을 형성해 뉴스보도 관련 속성을 분석하고 어떠한 맥락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태원 참사를 보도하는 언론사의 토픽들은 시기와 정파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진보 언론사는 참사의 책임소재와 관련된 토픽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보수 언론사는 참사 중심으로 형성된 토픽들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언론사의 프레임은 시기와 정파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지만 공통적으로 참사의 원인과 책임에 관련된 단어들이 중심을 이루는 책임귀인 프레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셋째, 언론사의 정파성에 따라 책임소재와 관련된 책임귀인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났다. 진보 언론사에서는 주무부처의 책임론이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보수 언론사에서는 여러 기관으로 산재되어 있는 형태의 책임귀인 프레임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언론에서 나타나는 사회재난에 대한 보도 행태의 함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정혜,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9) : 81-121, 2008

      2 박동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통해 본 재난보도의 문제점" 한국콘텐츠학회 9 (9): 241-248, 2009

      3 "핼러윈 인파 이태원서 호흡곤란 등 81건 신고"

      4 오창우, "한국에서의 사회갈등 논의의 의미연결망 분석 :주요 포탈에서의 핵심어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45) : 37-67, 2017

      5 현기득 ; 서미혜, "한국 정파언론 환경의 특수성은 보수와 진보 수용자의 매체 태도와 이용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가? 적대적 및 우호적 매체에 대한 정파성 지각이 매체 신뢰와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63 (63): 46-76, 2019

      6 김병철, "한국 언론의 자살 보도에 관한 코퍼스 언어학적 분석 : 신문과 텔레비전 방송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8) : 253-276, 2007

      7 조경숙 ; 한균태, "한국 신문의 공정성에 대한 고찰: 미디어관련법 개정보도에 대한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36 (36): 133-165, 2010

      8 최현주, "한국 신문 보도의 이념적 다양성에 대한 고찰: 6개 종합일간지의 3개 주요 이슈에 대한 보도 성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399-426, 2010

      9 표시영, "한국 공영방송의 ‘코로나19’ 관련 보도의 프레임 분석: KBS <뉴스 9>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12-122, 2020

      10 이은선 ; 임연수, "페이스북을 활용한 국내 기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의미연결망을 통한 메시지 구조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14 (14): 124-155, 2012

      1 양정혜,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9) : 81-121, 2008

      2 박동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통해 본 재난보도의 문제점" 한국콘텐츠학회 9 (9): 241-248, 2009

      3 "핼러윈 인파 이태원서 호흡곤란 등 81건 신고"

      4 오창우, "한국에서의 사회갈등 논의의 의미연결망 분석 :주요 포탈에서의 핵심어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45) : 37-67, 2017

      5 현기득 ; 서미혜, "한국 정파언론 환경의 특수성은 보수와 진보 수용자의 매체 태도와 이용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가? 적대적 및 우호적 매체에 대한 정파성 지각이 매체 신뢰와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63 (63): 46-76, 2019

      6 김병철, "한국 언론의 자살 보도에 관한 코퍼스 언어학적 분석 : 신문과 텔레비전 방송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8) : 253-276, 2007

      7 조경숙 ; 한균태, "한국 신문의 공정성에 대한 고찰: 미디어관련법 개정보도에 대한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36 (36): 133-165, 2010

      8 최현주, "한국 신문 보도의 이념적 다양성에 대한 고찰: 6개 종합일간지의 3개 주요 이슈에 대한 보도 성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399-426, 2010

      9 표시영, "한국 공영방송의 ‘코로나19’ 관련 보도의 프레임 분석: KBS <뉴스 9>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12-122, 2020

      10 이은선 ; 임연수, "페이스북을 활용한 국내 기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의미연결망을 통한 메시지 구조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14 (14): 124-155, 2012

      11 임한 ; 이장근 ; 김진완 ; 이재완 ; 김용환, "팩트체크 행위가 정치적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 동질적 대화와 이질적 대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8 (28): 7-32, 2021

      12 박자현 ; 송민,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7-32, 2013

      13 배정환 ; 한남기 ; 송민,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트위터 이슈 트래킹 시스템"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 (20): 109-122, 2014

      14 이건호 ; 고흥석,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 미국 쇠고기 수입 관련 기사에 나타난 취재원 신뢰도와유인가(Valence)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348-370, 2009

      15 김춘식 ; 이영화, "참여정부의 언론정책에 관한 뉴스 프레임 연구 :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방안’ 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2 (52): 303-327, 2008

      16 박경숙, "집단 갈등 이슈의 방송 뉴스 프레임 분석의약 분업 뉴스 프레임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310-340, 2002

      17 이희영 ; 김정기,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뉴스프레임의 유형 : 국내 117개 프레임 연구를 대상으로" 한국언론학회 60 (60): 7-38, 2016

      18 김창숙 ; 홍원식, "질병재난에 관한 언론보도의 프레임과 귀인 특성 연구:코로나19 ‘대구 신천지’ 보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40 (40): 245-286, 2021

      19 홍주현 ; 차희원, "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연구: 의약품 부작용 관련 언론 보도에 나타난 주요 주제, 정보원, 위기 책임 귀인, 프레임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75-585, 2018

      20 황유나 ; 전미현 ; 유재웅, "재난위기보도의 시계열⋅매체별 보도 특성 - 세월호 사건에 대한 네트워크, 내용분석 적용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2 (12): 1-15, 2016

      21 이창현, "재난에 대한 한․ 일간 방송보도 비교연구" 한국방송개발원 1995

      22 이완수 ; 최명일, "재난사고에 대한 공영방송과 상업방송 간 의제 비교 : 와 <채널A>의 세월호 보도 키워드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한국언론학회 66 (66): 426-457, 2022

      23 김성훈, "이태원 참사현장…분주하게 움직이는 소방관들 [영상]"

      24 정충신, "이태원 참사와 재난의 정치화"

      25 구유나, "이태원 사고: 112 신고에도 왜 사전조치 못했나"

      26 행정안전부, "이태원 사고 관련, 「특별재난지역 선포」"

      27 황서이 ; 문신정, "영상콘텐츠분야 정권별 빅데이터 분석 - 상위 중심성 값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8 (18): 911-921, 2017

      28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49-68, 2014

      29 김정아 ; 채백, "언론의 정치 성향과 프레임:‘이해찬 골프’와 ‘최연희 성추행’ 사건의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1 (41): 232-267, 2008

      30 박주현, "언론의 이념성향에 따른 ‘코로나19’ 보도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회 64 (64): 40-85, 2020

      31 이원섭,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 시기의 사설 비교분석" 한국언론정보학회 35 : 329-361, 2006

      32 김민재, "언론은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어떻게 재현했는가: 보도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통한 프레임 분석" 한국환경사회학회 24 (24): 181-224, 2020

      33 김원용 ; 이동훈, "언론보도의 프레임 유형화 연구: 국내 원자력관련 신문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9 (49): 166-196, 2005

      34 박은혜 ; 김영욱, "언론 프레이밍과 이미지회복전략이 공중의 위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회 38 (38): 73-118, 2007

      35 "안전불감증 정황 드러나는 이태원 참사"

      36 김주찬 ; 김대경, "신문의 이념적 성향에 따른 보도사진의 프레임 연구 : 사회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51) : 99-144, 2018

      37 김왕근, "세월호와 대한민국의 소통" 미래를소유한사람들 2015

      38 임연희, "세월호 참사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의 보도행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79-201, 2014

      39 김태원 ; 정정주, "세월호 참사에 대한 시기별 뉴스 프레임 비교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7 (27): 199-224, 2016

      40 이완수 ; 배재영, "세월호 재난사고 보도사진에 나타난 문화심리학적 편향성: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비교를 통해"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4 (24): 59-105, 2017

      41 이완수 ; 배재영, "세월호 사고뉴스 프레임의 비대칭적 편향성: 언론의 차별적 관점과 해석방식" 한국언론정보학회 71 (71): 274-298, 2015

      42 홍주현 ; 나은경, "세월호 사건 보도의 피해자 비난 경향 연구: 보수 종편 채널 뉴스의 피해자 범주화 및 단어 네트워크 프레임 분석" 한국언론학회 59 (59): 69-106, 2015

      43 유승관 ; 강경수, "세계 뉴스통신사의 재난·재해 뉴스보도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76) : 140-169, 2011

      44 김지주 ; 권상희, "사회적 갈등 이슈에 대한 뉴스 프레임 연구: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4 (34): 5-43, 2020

      45 김영욱 ; 함승경 ; 김영지 ; 최지명, "사회 쟁점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사드(THADD) 배치 관련 보도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중심" 한국언론학회 13 (13): 40-91, 2017

      46 권상희 ; 이완수 ; 황경호, "사고 습관과 뉴스 구성: 세월호 사고 사실성 기사 프레임의 문화심리학적 탐구" 한국언론학회 59 (59): 7-40, 2015

      47 임종섭, "방송 뉴스 프레임의 자동추출 기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20 (20): 47-96, 2019

      48 이정훈 ; 이상기, "민주주의의 위기와 언론의 선정적 정파성의 관계에 대한 시론: 채널A와 TV조선의 정치시사토크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77 (77): 9-35, 2016

      49 이준웅 ; 김성희, "미세먼지 재해 보도의 프레임 분석 : 구조적 주제모형(Structural Topic Modeling)의 적용" 한국언론학회 62 (62): 125-158, 2018

      50 권호천, "메르스 사태에 대한 신문보도의 의미연결망 분석: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1 (11): 63-80, 2016

      51 최선규 ; 유수정 ; 양성은, "뉴스 시장의 경쟁과 미디어 편향성: 취재원 인용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학회 19 (19): 69-92, 2012

      52 윤기영, "누가 밀었다? 희생양 찾기 너머 … 7번의 ‘왜?’로 본 참사 원인"

      53 이혜미 ; 김혜영 ; 유승호, "국내 언론매체의 이념성향과 뉴스구성에 대한 연구: 미 대선 후보 ‘버니 샌더스’ 관련 보도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80-191, 2016

      54 박성철 ; 이덕환, "구미 유독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보도 연구" 한국방송학회 27 (27): 86-123, 2013

      55 박희봉 ; 이연수 ; 이해수, "과학적 불확실성과 공영방송, 재난의 공론장: COVID-19 보도에 대한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5 (35): 71-114, 2021

      56 황치성, "갈등 이슈 보도의 새로운 접근" 한국언론재단 2008

      57 성규환, "“이태원서 심정지 추정 환자 50여 명 발생” … ‘핼러윈인파’ 사고"

      58 이지영, "‘핼러윈 인파’ 이태원서 압사사고… 50여 명 심정지 추정"

      59 서민, "‘이태원 참사’의 정치화 … 고인과 유족을 두 번 죽이는 일"

      60 오세욱, "‘이태원 참사’ 관련 보도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한국언론진흥재단 8 (8): 2022

      61 김태원, "‘세월호 참사’에 대한 뉴스 프레임 비교: 조선일보와 한겨레를중심으로: The Comparative Frame Study on the Disaster News Report of'Sewol Ferry Incident'"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62 손지형 ; 하승태 ; 이범수, "‘미디어 관련법’ 보도의 뉴스 프레임 연구"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7 (17): 89-116, 2013

      63 Gitlin, T., "The whole wor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making of the new lef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64 Guo, L., "The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in agenda setting research : A methodological exploration" 56 (56): 616-631, 2012

      65 Wang, W., "Structured hypertext with domain semantics" 16 (16): 372-412, 1998

      66 Blei, D. M., "Probabilistic topic models" 55 (55): 77-84, 2012

      67 Bennett, W. L., "News: The politics of illusion" Longman 2007

      68 Nelson, T. E., "Media framing of a civil liberties conflict and its effect on tolerance" 91 (91): 567-583, 1997

      69 Tuchman, G., "Making news :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Free Press 1978

      70 Iyengar, S.,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71 Chong, D., "Framing theory" 10 : 103-126, 2007

      72 Semetko, H. A., "Framing european politics : A content analysis of press and television news" 50 (50): 93-109, 2000

      73 Entman, R. M., "Framing US coverage of international news : Contrasts in narratives of the KAL and Iran Air incidents" 41 (41): 6-27, 1991

      74 Entman, R. M., "Framing :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43 (43): 51-58, 1993

      75 Goffman, E.,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76 Norris, F. H., "Community resilience as a metaphor, theory, set of capacities, and strategy for disaster readiness" 41 : 127-150, 2008

      77 최진호 ; 이해수 ; 진은형, "4차산업혁명에 관한 뉴스 빅데이터 활용 토픽 분석: 언론사 유형 및 주요시기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6 (36): 173-220, 2019

      78 한국언론진흥재단, "2022 언론수용자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22

      79 이정훈, "2019년 강원도 화재 보도에 대한 언어망 분석: 미디어의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153-167,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