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황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센서나 액츄에이터 같은 장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온톨로지를 통해 상황정보로 변환한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20305
2015
Korean
사물인터넷 ; 온톨로지 ; 상황 정보 ; IoT 서비스 ; Internet of Things ; Ontology ; Context Information ; IoT Service
310
KCI등재
학술저널
58-73(1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IoT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황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센서나 액츄에이터 같은 장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온톨로지를 통해 상황정보로 변환한다. ...
IoT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황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센서나 액츄에이터 같은 장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온톨로지를 통해 상황정보로 변환한다. 기존의 상황인지 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는 타겟 서비스를 기반으로 온톨로지를 설계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 서비스 조건, 환경 등이 변하거나 또는 전혀 다른 서비스를 원할 경우 온톨로지를 전반적으로 재설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장소나 상황에 구애 받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정의할 수 있는 크로스 버티컬(Cross-vertical) 온톨로지 모델인 Generic Ontology Models(GOMs)를 제안한다. 또한 IoT 서비스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IoT 서비스 개념 모델과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서비스 환경을 제안하고 제안된 환경에서 GOMs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적용해봄으로써 IoT 환경에서 상황인지 서비스가 가능함을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IoT environment, context information is important to provide context service to the user. For this, collected data from devices such as sensors or actuators, converts to context information using the ontology. Because the existing ontologies de...
In the IoT environment, context information is important to provide context service to the user. For this, collected data from devices such as sensors or actuators, converts to context information using the ontology. Because the existing ontologies designed for target service, if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service requirements, service condition, service environment or another service, overall ontology will be redesigned to the changed service. To overcome this difficulty, we propose the cross-vertical ontology model called the Generic Ontology Models(GOMs). It can define the user’s desired services without regarding to place and situation. Also, we propose IoT service concept model that represents data flow of the IoT service and IoT service environment. Moreover, as the use case, we show that the proposed GOMs are able to provide the IoT service wel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민, "이 기종 센서지원을 위한 REST 기반 센서 미들웨어" 2014
2 류중경, "서비스 온톨로지 기반의 상황인식 모델링을 이용한 추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2-30, 2011
3 최환석, "상황인지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환경"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9-44, 2014
4 박동환, "개방형 시맨틱 USN/IoT 서비스플랫폼 기술" 24 (24): 12-19, 2013
5 "http://www.iot-a.eu/"
6 "http://protege.stanford.edu/"
7 "http://clarkparsia.com/pllet/"
8 J. Y. Lee, "UCSE: User Created Service Engine based on MVC Model for IoT Service" 2014
9 M. Comptona, "The SSN ontology of the W3C semantic sensor network incubator group" Services and Agents on the World Wide Web 17 : 25-32, 2012
10 M. Uschold, "Ontologies:principles, methods and applications" 11 (11): 93-196, 1996
1 김성민, "이 기종 센서지원을 위한 REST 기반 센서 미들웨어" 2014
2 류중경, "서비스 온톨로지 기반의 상황인식 모델링을 이용한 추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2-30, 2011
3 최환석, "상황인지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환경"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9-44, 2014
4 박동환, "개방형 시맨틱 USN/IoT 서비스플랫폼 기술" 24 (24): 12-19, 2013
5 "http://www.iot-a.eu/"
6 "http://protege.stanford.edu/"
7 "http://clarkparsia.com/pllet/"
8 J. Y. Lee, "UCSE: User Created Service Engine based on MVC Model for IoT Service" 2014
9 M. Comptona, "The SSN ontology of the W3C semantic sensor network incubator group" Services and Agents on the World Wide Web 17 : 25-32, 2012
10 M. Uschold, "Ontologies:principles, methods and applications" 11 (11): 93-196, 1996
11 김제민, "MOnCa: 온톨로지 기반 상황 인지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레임워크" 한국정보과학회 38 (38): 369-381, 2011
12 김재호, "IoT 플랫폼 개발 동향 및 발전 방향" 30 (30): 29-39, 2013
13 김동희, "IoT 서비스를 위한 보안" 30 (30): 53-59, 2013
14 J. Gubbi, "Internet of Things(IoT) : A vision, architectural elements, and future directions" 29 : 1645-1660, 2013
15 H. S. Choi, "Distributed semantic sensor web architecture" 1-6, 2012
16 T. Gu, "An ontology-based context model in Intelligent Environment" 2004 : 270-275, 2004
17 H. Chen, "An ontology for context-aware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 18 (18): 197-207, 2003
한국영화 최다작품의 멜로액션영화 감독 고영남의 작품세계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