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에코맘의 삶과 의미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life and the significance of "EcoM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5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세계적으로 가정에서 생태적인 삶을 실천하는 주부들이란 의미의 에코맘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에코맘들이 어떤 가치를 지향하며 어떻게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한...

      최근 세계적으로 가정에서 생태적인 삶을 실천하는 주부들이란 의미의 에코맘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에코맘들이 어떤 가치를 지향하며 어떻게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한국 사회에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에코맘의 삶과 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목적적 표본추출방법을 통해 전형적인 에코맘 일곱 명을 제보자로 선정한 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에코맘은 흔히 이해되듯이 나와 가족의 건강과 안전을 추구하는 웰빙족에 머무르지 않고 의식적으로 소박한 삶을 살면서 더불어 잘 살아야 한다는 생태주의적 가치를 지향하는데 개인 차원의 ‘나’에서 출발한 이러한 가치를 ‘주부·엄마’로서 가정 영역에 실천하며 ‘시민’으로서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해 나갔다. 에코맘은 대체로 스스로 만족하는 삶을 살고 있지만, 때때로 생태주의적 가치를 실천하는 데 있어서 개인 차원은 물론 가정과 사회에서 회의와 피로감, 갈등과 좌절감, 실망과 고립을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지속적인 성찰과 반성을 통해 더욱 유연하고 성숙한 에코맘으로 진화하였다. 진정한 에코맘은 생태주의적 가치를 개인과 가정의 영역을 넘어 사회에서도 실천하는 사람이다. 에코맘은 생태사회를 실현해나가는 데 초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존재이며, 생태주의적 가치를 내면화하고 성찰적 자세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줌으로써 환경교육이 가야할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교육적으로도 의미 있는 존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number of EcoMoms, mothers who practice an ecological lifestyle at home, is increasing globally. In Korea,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values that EcoMoms pursue and how they live in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

      Recently, the number of EcoMoms, mothers who practice an ecological lifestyle at home, is increasing globally. In Korea,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values that EcoMoms pursue and how they live in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n EcoMom``s life and its significance in Korea. This study adopted qualitative case study as a research method in which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seven informants through purposive sampling. Study results show that EcoMoms pursue ecological values: leading an intentionally humble life and living together with other people and life forms, beyond pursuing the well-being of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The ecological values, emerging from the individual ``I,`` were exercised by EcoMoms at home as ``housewives and moms`` and extended to society as ``citizens.`` EcoMom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lives but sometimes suffer from doubts and mental fatigue, conflicts and frustration, and disappointment and isolation at home and society as well as at an individual level. However, they have developed as flexible and mature EcoMoms through reflection. Genuine EcoMoms practice ecological values not only individually but also at home and in society in general. EcoMoms are socially meaningful in that they are cornerstones for an ecological society. Furthermore, they are also meaningful in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since they show the importance of values and reflections in becoming environmentally-benign people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aims to rai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진,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주부들의 의식 분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 원. 2007

      2 Hunmphrey, C, "환경사회학:환경·에너지·사회" 사회비평사 1995

      3 최현정, "환경보전 행위와 자연관련 경험과의 관계 연구" 13 (13): 53-64, 2000

      4 구도완, "한국 환경 운동의 사회학" 문학과지성사 1996

      5 서선영, "한국 Eco-Mom(환경친화주부)의 정체성과 그린생활의 의미 분석" 한국소비문화학회 13 (13): 123-139, 2010

      6 주형선, "청소년의 환경가치에 대한 연구" 14 (14): 81-91, 2001

      7 Miles, M, "질적자료분석 론" 학지사 2009

      8 최남숙, "지구환경보전과 가정에서의 생태적인 생활양식" 7 : 88-105, 1994

      9 노남숙, "주부의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와 환경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7 : 106-122, 1994

      10 장혜연, "주부의 가치와 친환경적 행동" 35 (35): 1-13, 1997

      1 김미진,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주부들의 의식 분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 원. 2007

      2 Hunmphrey, C, "환경사회학:환경·에너지·사회" 사회비평사 1995

      3 최현정, "환경보전 행위와 자연관련 경험과의 관계 연구" 13 (13): 53-64, 2000

      4 구도완, "한국 환경 운동의 사회학" 문학과지성사 1996

      5 서선영, "한국 Eco-Mom(환경친화주부)의 정체성과 그린생활의 의미 분석" 한국소비문화학회 13 (13): 123-139, 2010

      6 주형선, "청소년의 환경가치에 대한 연구" 14 (14): 81-91, 2001

      7 Miles, M, "질적자료분석 론" 학지사 2009

      8 최남숙, "지구환경보전과 가정에서의 생태적인 생활양식" 7 : 88-105, 1994

      9 노남숙, "주부의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와 환경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7 : 106-122, 1994

      10 장혜연, "주부의 가치와 친환경적 행동" 35 (35): 1-13, 1997

      11 이기성, "조사방법의 이해-개정판-" 교우사 2005

      12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13 국립국어원 누리터, "에코맘의 순화어"

      14 이현희, "생협운동의 여성주의 정치학으로서의 가능성" 21 (21): 111-150, 2004

      15 홍성태, "생태사회를 위하여" 문화과학사 2004

      16 윤여각, "문화와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

      17 Spradley, J. P, "문화기술적 면접법" 시그마프레스 2003

      18 곽인숙, "도시주부의 환경친화적 행동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1 (41): 169-186, 2003

      19 주형선, "대학생 환경동아리 활동의 교육적 의의" 한국환경교육학회 18 (18): 66-75, 2005

      20 정경숙, "대구지역 전업주부들의 여성환경운동 참여에 관한 연구" 9 (9): 73-89, 2004

      21 Ponting, C, "녹색세계사Ⅰ" 심지 1996

      22 신동희, "국내 . 외 환경교육 논문 분석을 통한 연구 경향 비교" 한국환경교육학회 22 (22): 111-133, 2009

      23 장상호, "교육의 정체혼미와 교육학의 과제" 5 (5): 21-64, 1990

      24 김순옥, "공동육아협동조합의 대안적 가족형태로서의 가능성 탐색" 5 (5): 119-151, 2000

      25 장명덕, "개념으로 엮은 자연과학개론" 청문각 2009

      26 김철민, "가치관 연구에 관한 비판적 고찰" 6 : 53-78, 1999

      27 Grunert, S. C, "Values, environmental attitudes, and buying of organic foods" 16 (16): 39-62, 1995

      28 Stern, P., "Values, beliefs, and proenvironmental action: Attitude formation toward emergent attitude objects" 25 : 1611-1611, 1995

      29 Schultz, P, "Values as predictors of environmental attitudes: Evidence for consistency across 14 countries" 19 (19): 255-265, 1999

      30 Wolcott,H.F, "Transforming qualitative data: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age Publications 1994

      31 Schwartz, S, "Toward a universal psychological structure of human values" 53 (53): 550-562, 1987

      32 Stern, P, "The value basis of environmental concern" 50 (50): 65-84, 1994

      33 Noguchi,M.G, "The rise of the housewife activis" 34 (34): 339-352, 1992

      34 Rickinson,M, "Researching and understanding environmental learning: Hopes for the next 10 years" 12 (12): 445-457, 2006

      35 Stake,R, "Qualitative case study, in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443-466, 2005

      36 UNESCO,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UNESCO 1977

      37 Brown,P.L., "For 'EcoMoms', Saving Earch Begins at Home"

      38 adel, S, "Exploring the gap between attitudes and behavior" 107 (107): 606-625, 2005

      39 Honkanen, P., "Ethical values and motives driving organic food choice" 5 (5): 420-430, 2006

      40 Smith-Sebasto, N. J, "Designing a Likert-type scale to predict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in undergraduate students: A multistep process" 27 (27): 14-20, 1995

      41 Grønhøj, A, "Communication about consumption:a family process perspective on ‘green’ consumer practices" 5 (5): 491-503, 2006

      42 Hungerford, H. R, "Changing learner behavior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21 (21): 8-21, 1990

      43 Rokeach,M, "Beliefs, attitudes, and values: A theory of organization and change" Josey-Bass 1968

      44 Chen,M.F, "Attitude toward organic foods among Taiwanese as related to health consciousness, environmental attitud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a healthy lifestyle" 111 (111): 165-178, 2009

      45 Catton Jr, W. R, "A new ecological paradigm for post-exuberant sociology" 24 (24): 15-47,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nthropology of Education -> The Journal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 1.90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