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다송 공부법과 한국 다도학의 방향 = Studying Methods of Dongdasong(東茶頌) and Directions of Korean Dado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98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studying methods of Dongdasong and directions of Korean Dado theory. Because Dongdasong reflects Korean spirit and soul, the study on the Dongdasong must be based on the Korean nation, Korean thought and Korean history. Because Dongdasong is a a philosophy book,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ongdasong is based on the method of philosophy. Otherwise, I’m sure that the correc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ongdasong is impossible. On this recognition, I suggests the directions and task of Korean Dado theory. Korean Dado keeps identy unlike Chinese and Japanese Dado. Korean Dado theory must move on to our nation’s identity reflecting Korean soul, Korean thought and Korean philosophy. And Korean Dado theory should be popularized and more established. Dado without the support of the public must be disappeared. Now, Korean Dado and Korean Dado theory must make a decisive opportunity of development and jumping with the correct recognition of Korea, Korean thought and Korean nation. With this, in conjunction with the reality and Korean Dado theory, Dado should be light as impetus to overcome problems.
      번역하기

      This study is on the studying methods of Dongdasong and directions of Korean Dado theory. Because Dongdasong reflects Korean spirit and soul, the study on the Dongdasong must be based on the Korean nation, Korean thought and Korean history. Because D...

      This study is on the studying methods of Dongdasong and directions of Korean Dado theory. Because Dongdasong reflects Korean spirit and soul, the study on the Dongdasong must be based on the Korean nation, Korean thought and Korean history. Because Dongdasong is a a philosophy book,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ongdasong is based on the method of philosophy. Otherwise, I’m sure that the correc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ongdasong is impossible. On this recognition, I suggests the directions and task of Korean Dado theory. Korean Dado keeps identy unlike Chinese and Japanese Dado. Korean Dado theory must move on to our nation’s identity reflecting Korean soul, Korean thought and Korean philosophy. And Korean Dado theory should be popularized and more established. Dado without the support of the public must be disappeared. Now, Korean Dado and Korean Dado theory must make a decisive opportunity of development and jumping with the correct recognition of Korea, Korean thought and Korean nation. With this, in conjunction with the reality and Korean Dado theory, Dado should be light as impetus to overcome probl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다도의 대표적인 다서인 동다송에 대한 공부법과 한국다도학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동다송은 한국의 정신과 얼을 반영한 다서이기 때문에 동다송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한국민족, 한국사상 및 한국역사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심을 기초해야 한다. 그리고 동다송은 철학서이기 때문에 동다송에 대한 분석과 해석은 철학이라는 학문과 그 방법론에 준거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동다송에 대한 올바른 분석과 해석은 불가하다고 확신한다. 이를 기초로 해서 한국다도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지적하고 있다. 한국다도는 중국다도와 일본다도와 다른 독자성과 고유성을 지니고 있다. 한국다도학은 한국의 정신, 사상 및 철학을 반영한 우리 민족만의 고유성을 지닌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한국다도학은 보다 체계화되어 대중화되어야 한다. 대중과 유리된 다도는 소멸되기 마련이다. 이제 한국다도와 다도학은 한국과 한국사상과 한국민족에 대한 분명한 인식체계를 기초로 하여 발전과 도약의 결정적 기회를 만들어야 할 때이다. 이로써 한국다도학과 현실문제들과 연계하여 현실문제들을 극복하는 추동력으로써 다도를 조명해야 할 것이다. 즉 사회의 제반 위기와 다도를 연계시켜 다도를 위기극복의 방편으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다도의 대표적인 다서인 동다송에 대한 공부법과 한국다도학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동다송은 한국의 정신과 얼을 반영한 다서이기 때문에 동다송에 대한 연...

      본 논문은 한국다도의 대표적인 다서인 동다송에 대한 공부법과 한국다도학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동다송은 한국의 정신과 얼을 반영한 다서이기 때문에 동다송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한국민족, 한국사상 및 한국역사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심을 기초해야 한다. 그리고 동다송은 철학서이기 때문에 동다송에 대한 분석과 해석은 철학이라는 학문과 그 방법론에 준거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동다송에 대한 올바른 분석과 해석은 불가하다고 확신한다. 이를 기초로 해서 한국다도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지적하고 있다. 한국다도는 중국다도와 일본다도와 다른 독자성과 고유성을 지니고 있다. 한국다도학은 한국의 정신, 사상 및 철학을 반영한 우리 민족만의 고유성을 지닌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한국다도학은 보다 체계화되어 대중화되어야 한다. 대중과 유리된 다도는 소멸되기 마련이다. 이제 한국다도와 다도학은 한국과 한국사상과 한국민족에 대한 분명한 인식체계를 기초로 하여 발전과 도약의 결정적 기회를 만들어야 할 때이다. 이로써 한국다도학과 현실문제들과 연계하여 현실문제들을 극복하는 추동력으로써 다도를 조명해야 할 것이다. 즉 사회의 제반 위기와 다도를 연계시켜 다도를 위기극복의 방편으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Raphael, D. D., "현대도덕철학" 서광사 1988

      2 정경환, "한국사상의 주체성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8 (8): 169-193, 2014

      3 박상조, "한국사상의 고유성의 내용과 지향점" 한국민족사상학회 8 (8): 37-62, 2014

      4 정경환, "한국사상의 고유성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8 (8): 9-36, 2014

      5 정경환, "제1장 동다송(東茶頌)에 나타난 다도정신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7 (7): 9-37, 2013

      6 金凡父, "정치철학특강 : 凡父遺稿" 以文出版社 1986

      7 정경환, "인권과 정의" 도서출판 이경 2013

      8 정경환, "동다송의 철학 : 동다송의 철학적 해석" 도서출판 이경 2015

      9 정경환, "동다송(東茶頌)의 인간관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8 (8): 71-99, 2014

      10 정경환, "다도철학강의" 도서출판 이경 2015

      1 Raphael, D. D., "현대도덕철학" 서광사 1988

      2 정경환, "한국사상의 주체성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8 (8): 169-193, 2014

      3 박상조, "한국사상의 고유성의 내용과 지향점" 한국민족사상학회 8 (8): 37-62, 2014

      4 정경환, "한국사상의 고유성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8 (8): 9-36, 2014

      5 정경환, "제1장 동다송(東茶頌)에 나타난 다도정신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7 (7): 9-37, 2013

      6 金凡父, "정치철학특강 : 凡父遺稿" 以文出版社 1986

      7 정경환, "인권과 정의" 도서출판 이경 2013

      8 정경환, "동다송의 철학 : 동다송의 철학적 해석" 도서출판 이경 2015

      9 정경환, "동다송(東茶頌)의 인간관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8 (8): 71-99, 2014

      10 정경환, "다도철학강의" 도서출판 이경 2015

      11 尹炳相, "茶道古典 : 茶神傳/東茶頌/茶經" 연세대학교출판부 2004

      12 朴鍾鴻, "哲學槪說" 博英社 1968

      13 申一撤, "二十世紀의 韓國" 博友社 1963

      14 신일철, "主體性의 危機 : 申一澈隨想集" 修文書館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