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cient political thought in Korea has its origins in the Dangun Shinhwa(단군신화). Therefore, to analyse the ancient Korean thought is first considered the ideological meanings of Dangun Shinhwa. The Dangun Shinhwa is not the scared story bu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729899
정경환 (동의대학교)
2009
Korean
Dangun Shinhwa ; Pungryudo ; Cun thought ; man‘s centering doctrine ; man‘s centering doctrine ; 단군신화 ; 풍류도 ; 천사상 ; 인본주의 ; 민본주의 ; 조화사상
학술저널
9-46(38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cient political thought in Korea has its origins in the Dangun Shinhwa(단군신화). Therefore, to analyse the ancient Korean thought is first considered the ideological meanings of Dangun Shinhwa. The Dangun Shinhwa is not the scared story but...
The ancient political thought in Korea has its origins in the Dangun Shinhwa(단군신화). Therefore, to analyse the ancient Korean thought is first considered the ideological meanings of Dangun Shinhwa. The Dangun Shinhwa is not the scared story but the original form of our people‘s spirit and nationality. The ideological meanings of Dangun Shinhwa are indicated as the thought of Gungchunsungjo(경천숭조사상), the human-centering orientation, the seeking for the harmony world and the iron theory of Geseaihwa(在世理化). With this basic thoughts, the ancient Korean thought is established and developed. The contents of the ancient Korean are follows ; First, it is based in the thought of Chun(天). Secondly, the ancient Korean thought forms the innate spiritual world. Thirdly, it is moving under the basis of people’s centering theory. Fourthly, it is based in the man‘s centering doctrine. Finally, it is based in the man‘s centering doctrine(조화사상). Seen above mentions, the of the ancient Korean political thought have various meanings. That is to say, It has the universalism as our thought. And it is the consequence of our people’s self-will. Next, the people‘s centering basis is presented as the loving of people.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고대정치사상은 단군신화를 그 기원으로 한다. 그래서 한국고대사상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단군신화에 담겨있는 사상적 의미를 우선적으로 고찰해야 한다. 단군신화는 단순...
한국의 고대정치사상은 단군신화를 그 기원으로 한다. 그래서 한국고대사상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단군신화에 담겨있는 사상적 의미를 우선적으로 고찰해야 한다. 단군신화는 단순히 예로부터 내려오는 신성한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민족의 정신내용과 민족성이 담겨있는 한국가상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단군신화에 나타난 사상적 의미는 경조숭천사상, 인본주의의 지향, 조화의 세계의 추구 및 재세이화의 철리를 지적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해서 한국의 고대정치사상은 성립이 되고 발전해 갔다. 고대한국사상의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천사상을 기초로 하고 있다. 둘째, 고유한 정신세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고 셋째, 민본주의의 기초 하에 움직이고 있다는 점이고 넷째는 인간중심주의를 기초로 하고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고대정치사상은 조화사상을 기초로 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한국의 고대정치사상의 의미를 살펴보면 우선 우리 한국사상의 보편성과 합리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다음으로 한국고대사상은 우리 민족 스스로의 의지의 결과임을 알 수 있고 셋째는 민본주의의 기조는 민 즉 백성을 소중히 여기는 애민주의로 표출된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조화사상은 우리 사회와 세계질서의 갈등을 해결해주는 사상적 원천이자 세계평화에 대한 우리 민족의 염원이 담겨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지교헌, "한민족의 정신사적 기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2 조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理解" 새문社 2002
3 황준연, "한국사상의 이해" 博英社 1992
4 黃俊淵, "한국사상의 이해" 박영사 1995
5 조지훈, "한국민족운동사" 나남 1993
6 白世明, "한국 사상의 由來와 將來. in: 韓國思想叢書 Ⅰ : 古代人의 文化와 思想" 韓國思想硏究會 1973
7 黃光旭, "한국 고유사상의 본질과 그 특성. in: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3
8 손정인, "풍류도와 화랑정신. in: 민족정신의 원류와 전개" 경산대학교출판부 2000
9 정영, "철학이야기" 세종출판사 2001
10 최민자, "천부경(삼일신고 참전계경)" 모시는 사람들 2006
1 지교헌, "한민족의 정신사적 기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2 조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理解" 새문社 2002
3 황준연, "한국사상의 이해" 博英社 1992
4 黃俊淵, "한국사상의 이해" 박영사 1995
5 조지훈, "한국민족운동사" 나남 1993
6 白世明, "한국 사상의 由來와 將來. in: 韓國思想叢書 Ⅰ : 古代人의 文化와 思想" 韓國思想硏究會 1973
7 黃光旭, "한국 고유사상의 본질과 그 특성. in: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3
8 손정인, "풍류도와 화랑정신. in: 민족정신의 원류와 전개" 경산대학교출판부 2000
9 정영, "철학이야기" 세종출판사 2001
10 최민자, "천부경(삼일신고 참전계경)" 모시는 사람들 2006
11 조하선, "증보판 베일벗은 천부경" 창천사 2005
12 金凡父, "정치철학특강 : 凡夫遺稿" 以文出版社 1986
13 최진덕, "유학의 민본사상, 그 이상과 현실. in: 민본주의를 넘어서 : 동양의 민본사상과 새로운 공동체 모색" 청계 2000
14 박종홍, "세계사의 방향과 민족적 주체성. in: 개정판 국민윤리" 삼화출판사 1972
15 김부식, "삼국사기" 을유문화사 2004
16 李奎浩, "사람됨의 뜻 : 哲學的 人間學" 第一出版社 1967
17 안호상, "민족의 주체성과 화랑얼(충효의 근원사상)" 배영출판사 1977
18 최민자, "단군조선의 건국이념과 정치사상. in: 한국정치사상사 : 檀君에서 解放까지" 백산서당 2005
19 이현희, "단군인식의 통사적 해석과 향후 과제" 한국민족사상학회 (창간) : 2008
20 정영훈, "단군신화의 정치사상"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8 (8): 2009
21 김석근, "단군신화와 정치적 사유. in: 한국정치사상사" 집문당 2002
22 김석근, "고대국가의 제천의식과 민회. in: 한국정치사상사 : 檀君에서 解放까지" 백산서당 2005
23 宋鎬洙, "韓民族의 뿌리思想" 기린원 1989
24 梁槿錫, "韓民族과 弘益人間 理念 硏究" 한국동북아학회 8 : 1998
25 朴鍾鴻, "韓國思想硏究의 構想 : 하나의 序論으로서. in: 韓國思想 講座 1․2" 고려문화사 1958
26 金炯孝, "韓國思想散考" 一志社 1976
27 柳東植, "韓國巫敎의 歷史와 構造" 延世大學校出版部 1997
28 張秉吉, "祭天·祭政에 대한 思想. ㅑㅜ: 韓國思想의 深層硏究" 宇石 1984
29 鄭鎭弘, "神話의 構造的 分析 : 檀君神話의 宗敎的 含意를 解讀하기 위한 試論. in: 단군신화연구" 온누리 1994
30 朴鍾鴻, "知性과 摸索" 博英社 1968
31 "法華經"
32 朴東雲, "民族思想論 : 近百年 政治·救國思想의 文脈 整理" 셈터사출판부 1978
33 최문형, "檀君神話의 女性象과 女性原理에 나타난 統一理念" 단군학회 (4) : 2001
34 洪淳昶, "原始社會에 있어서의 民族固有思想. in: 韓國民族思想史大系 2 : 고대편" 螢雪出版社 1982
35 "三國遺事"
36 "三國史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