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뇌과학이론에 기반한 협동학습의 교육적 의의 =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Brain-Sc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445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학습의 교육적 의의를 뇌과학 이론에 비추어 설명하는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뇌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모형으로서의 협동학습의 의의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협동학습의 주요 개념 및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결정적 시기, 뇌가소성, 사회적 뇌 등의 뇌과학적 기본 개념들을 협동학습과의 관련성속에서 탐색하였다. 뇌과학에 기초한 협동학습의 교육적 의의로는 뇌기능분화이론에 기반한 좌뇌와 우뇌 기능의 활성화, 보다 복잡한 신경망의 형성, 정서적 안정 및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신경전달물질의 분비 등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고,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학습의 교육적 의의를 뇌과학 이론에 비추어 설명하는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뇌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모형으로서의 협동학습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학습의 교육적 의의를 뇌과학 이론에 비추어 설명하는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뇌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모형으로서의 협동학습의 의의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협동학습의 주요 개념 및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결정적 시기, 뇌가소성, 사회적 뇌 등의 뇌과학적 기본 개념들을 협동학습과의 관련성속에서 탐색하였다. 뇌과학에 기초한 협동학습의 교육적 의의로는 뇌기능분화이론에 기반한 좌뇌와 우뇌 기능의 활성화, 보다 복잡한 신경망의 형성, 정서적 안정 및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신경전달물질의 분비 등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고,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in terms of the perspective of the brain science. More specifically, the significance of cooperative learning as an instructional model affecting to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brain structure and function are explored. For this purpose, main concepts and five basic elements of cooperative learning(positive interdependence, individual accountability, face-to-face promotive interaction, interpersonal/small group skills, and group processing) are explained followed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cooperative learning, critical period, brain plasticity, and social brai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brain science includes hemispheric specialization(left/ right hemisphere activation), more complicated neural connection, and emotional stability eliciting neurotransmitter facilitation. Finally the strength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in terms of the perspective of the brain science. More specifically, the significance of cooperative learning as an instructional model affecting 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in terms of the perspective of the brain science. More specifically, the significance of cooperative learning as an instructional model affecting to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brain structure and function are explored. For this purpose, main concepts and five basic elements of cooperative learning(positive interdependence, individual accountability, face-to-face promotive interaction, interpersonal/small group skills, and group processing) are explained followed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cooperative learning, critical period, brain plasticity, and social brai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brain science includes hemispheric specialization(left/ right hemisphere activation), more complicated neural connection, and emotional stability eliciting neurotransmitter facilitation. Finally the strength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