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상레이더 강수량 추정 값의 댐 유역 홍수 유출모의 적용 = Application of the weather radar-based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s for flood runoff simulation in a dam watersh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247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지지형을 대표하며, 타 댐 유역에 비해 비교적 수문(수위/유량)관측소와 자료가 많은 용담시험유역에 기상레이더 강수량 추정 값(RAR)을 적용해 산지지형 댐 유역에서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지지형을 대표하며, 타 댐 유역에 비해 비교적 수문(수위/유량)관측소와 자료가 많은 용담시험유역에 기상레이더 강수량 추정 값(RAR)을 적용해 산지지형 댐 유역에서 강우의 시공간적 변동성과 이에 따른 홍수량의 정확한 분석을 통해 홍수 시 댐 유입량의 정확한 산정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홍수 유출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에는 최근 5년(2014~2018년) 동안 발생한 비교적 독립적인 총 8개의 홍수사상을 적용하였으며, 모형은 HEC-GeoHMS와 ModClark 방법을 통해 분포형 강우를 적용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모형인 HEC-HMS를 활용하였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레이더 강수량의 모형적용을 위해 NCL 및 Python 기반의 자료처리 스크립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기상레이더 강수량 추정 값(RAR)이 관측에 비해 다소 과소 추정(R<sup>2</sup> 0.86)된 것을 알 수 있었고, 기존 지점관측 기반 유역평균 강수량을 사용한 방법과의 비교에서는 레이더 강수량을 적용한 모형이 유역의 강우-유출 도달시간 등과 관련된 매개변수 값의 큰 조정 없이도 홍수유출을 효율적으로 (8개모의 평균 E<sub>NS</sub> 0.863, R<sup>2</sup> 0.873, 그리고 PBIAS 7.49%) 잘 모의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Radar-AWS Rainrates (RAR), weather radar-based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s (QPEs), to the Yongdam study watershed in order to perform the flood runoff simulation and calculate the inflow of the dam during flood...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Radar-AWS Rainrates (RAR), weather radar-based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s (QPEs), to the Yongdam study watershed in order to perform the flood runoff simulation and calculate the inflow of the dam during flood events using hydrologic model. Since the Yongdam study watershed is a representative area of the mountainous terrain in South Korea and ha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monitoring stations (water level/flow) and data compared to other dam watershed, an accurate analysis of the time and space variability of radar rainfall in the mountainous dam watershed can be examined in the flood modeling. HEC-HMS, which is a relatively simple model for adopting spatially distributed rainfall, was applied to the hydrological simulations using HEC-GeoHMS and ModClark method with a total of eight independent flood ev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last five years (2014 to 2018). In addition, two NCL and Python script programs are developed to process the radar-based precipitation data for the use of hydrological modeling.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RAR QPEs shows rather underestimate trends in larger values for validation against gauged observations (R<sup>2</sup> 0.86), but is an adequate input to apply flood runoff simulation efficiently for a dam watershed, showing relatively good model performance (E<sub>NS</sub> 0.86, R<sup>2</sup> 0.87, and PBIAS 7.49%) with less requirements for the calibration of transform and routing parameters than the spatially averaged model simulations in HEC-H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윤석,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격자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1 (41): 895-905, 2008

      2 이재경, "레이더기반 다중센서활용 강수추정기술의 개발" 한국기상학회 24 (24): 433-444, 2014

      3 박진혁, "레이더강우와 Vflo모형을 이용한 남강댐유역 홍수유출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0 (10): 13-21, 2007

      4 박진혁, "레이더강우를 이용한 GIS기반의 분포형모형 적용성 분석" 대한공간정보학회 16 (16): 23-32, 2008

      5 김병식, "레이더 강우와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홍수 유출모의; 임진강 유역" 한국지리정보학회 11 (11): 52-67, 2008

      6 최윤석, "기상레이더와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실시간 유출해석 시스템 개발 및 평가" 한국습지학회 14 (14): 385-397, 2012

      7 이재경, "국지우량계보정방법을 이용한 레이더강우량의 수문모델 적용" 한국방재학회 14 (14): 67-78, 2014

      8 Vieux, B. E., "Vflow: a real-tim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IACWD 244-, 2002

      9 Clark, C. O., "Storage and the unit hydrograph" ASCE 110 : 1419-1446, 1945

      10 Cho, Y., "Spatially distributed long-term hydrologic simulation using a continuous SCS CN method-based hybrid hydrologic model" Wiley 32 (32): 904-922, 2018

      1 최윤석,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격자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1 (41): 895-905, 2008

      2 이재경, "레이더기반 다중센서활용 강수추정기술의 개발" 한국기상학회 24 (24): 433-444, 2014

      3 박진혁, "레이더강우와 Vflo모형을 이용한 남강댐유역 홍수유출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0 (10): 13-21, 2007

      4 박진혁, "레이더강우를 이용한 GIS기반의 분포형모형 적용성 분석" 대한공간정보학회 16 (16): 23-32, 2008

      5 김병식, "레이더 강우와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홍수 유출모의; 임진강 유역" 한국지리정보학회 11 (11): 52-67, 2008

      6 최윤석, "기상레이더와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실시간 유출해석 시스템 개발 및 평가" 한국습지학회 14 (14): 385-397, 2012

      7 이재경, "국지우량계보정방법을 이용한 레이더강우량의 수문모델 적용" 한국방재학회 14 (14): 67-78, 2014

      8 Vieux, B. E., "Vflow: a real-tim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IACWD 244-, 2002

      9 Clark, C. O., "Storage and the unit hydrograph" ASCE 110 : 1419-1446, 1945

      10 Cho, Y., "Spatially distributed long-term hydrologic simulation using a continuous SCS CN method-based hybrid hydrologic model" Wiley 32 (32): 904-922, 2018

      11 Peters, J. C., "Runoff simulation using radar rainfall data" ASCE 32 (32): 753-760, 1996

      12 Zhange, J., "National mosiaic and multi-sensor QPE(NMQ)system" AMS 92 : 1321-1338, 2011

      13 Cho, Y., "NEXRAD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s for hydrologic simulation using a hybrid hydrologic model" AMS 18 (18): 25-47, 2017

      14 "NCAR Command Language (NCL)"

      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Improvement of post-processing correction method for radar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s and reproduction of historical data" KMA Weather Radar Cneter 1-69, 2014

      16 Scharffenberg, B., "Hydrologic Modeling System HEC-HMS. User’s Manual Version 4.3"

      17 이재경, "Hybrid Scan Reflectivity 기법을 이용한 레이더 강우량의 수문모형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47 (47): 867-878, 2014

      18 Fleming, M. J., "HEC-GeoHMS Geospatial Hydrologic Modeling Extension. User’s Manual Version 10.1"

      19 Kull, D. W., "Evolution of Clark’s unit graph method to spatially distributed runoff" ASCE 3 (3): 9-19, 1998

      20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ESRI)"

      21 Cho, Y., "Application of NEXRAD radar-based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s for hydrologic simulation using ArcPy and HEC software" MDPI 12 (12): 273-, 2020

      22 Cho, Y., "A spatially distributed Clark’s unit hydrograph based hybrid hydrologic model(Distributed-Clark)" Taylor & Francis 63 (63): 1519-1539,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0.78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