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의사와 간호사 대상 의사소통 향상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Communication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and Physicians in Nursing care Integrated Service war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194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에서 근무하는 의사와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의사소통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에서 근무하는 의사와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의사소통 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의사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요구도를 조사하고 문헌고찰과 전문가 집단의 협의를 통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간호직종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하여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군과 제공하지 않은 군 간의 비교를 하고, 의사직종은 교육 제공 전, 후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한 단일군 전후 설계를 이용하였다. 의사소통 향상 교육프로그램은 2017년 4월부터 8월까지 4개월 동안 3회의 중재 및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에서 일하는 의료진 가운데 연구에 동의한 의사 23명, 간호사 109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9.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 향상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ㆍ후 의사소통 능력 점수는 의사직종이 77점에서 84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Z=-2.10, p=.036), 간호직종에서도 84.67±7.45점에서 88.46±7.45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3.44, p=.001). 직무스트레스 영역 가운데 관계갈등 부분에서 의사직종은 66.67점에서 58.30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Z=-2.34, p=.019).
      결론: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에서 일하는 의사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의사소통 향상 교육프로그램은 의사소통 능력을 높이고, 직무 스트레스에서 관계갈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증대하여 운영 및 지속 적용 운영 후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mmunication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and identify effects of the program for nurses and physicians working in hospital.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mmunication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and identify effects of the program for nurses and physicians working in hospital.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on 109 nurses and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on 23physician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17 to August 2017. A Communication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on 54nurses and 23physicians three times for 4month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Results: The physician group showed increasing communication ability score and decreasing relationship conflict after Communication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completion an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p=.036).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88.46±7.45) in communication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83.51±7.58)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1).
      Conclusion: The Communication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was proved effectiveness in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for nurses and physicians working in Nursing care Integrated Service ward. Further research on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over 3times that can improve communication skill and relationship conflict score and that program is essential for nurses and physicia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2 이민경,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 21 (21): 287-296, 2015

      3 이기은, "전문직 종사자의 조직 및 전문직업에 대한 이중몰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평행모형을 이용하여-" 한국경영학회 31 (31): 551-574, 2002

      4 모의희,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부부적응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족치료학회 10 (10): 45-73, 2002

      5 박광옥, "임상실무에서 간호사가 겪은 의사와의 의사소통 경험" 간호행정학회 21 (21): 53-63, 2015

      6 강정숙,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63-273, 2015

      7 유미자,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감성지능(EQ), 자존감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80-290, 2018

      8 김경희, "의대생을 위한 의사소통 기술 훈련 프로그램 효과 검증 및 참여경험 분석"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2 (12): 41-50, 2017

      9 주명순, "보호자 없는 병원에서의 간호사 근무경험"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1 (21): 133-157, 2015

      10 이정우, "간호사는 의사와 어떻게 의사소통하는가?- 간호사의 의사소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인문학연구원 71 (71): 345-385, 2014

      1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2 이민경,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 21 (21): 287-296, 2015

      3 이기은, "전문직 종사자의 조직 및 전문직업에 대한 이중몰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평행모형을 이용하여-" 한국경영학회 31 (31): 551-574, 2002

      4 모의희,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부부적응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족치료학회 10 (10): 45-73, 2002

      5 박광옥, "임상실무에서 간호사가 겪은 의사와의 의사소통 경험" 간호행정학회 21 (21): 53-63, 2015

      6 강정숙,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63-273, 2015

      7 유미자,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감성지능(EQ), 자존감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80-290, 2018

      8 김경희, "의대생을 위한 의사소통 기술 훈련 프로그램 효과 검증 및 참여경험 분석"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2 (12): 41-50, 2017

      9 주명순, "보호자 없는 병원에서의 간호사 근무경험"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1 (21): 133-157, 2015

      10 이정우, "간호사는 의사와 어떻게 의사소통하는가?- 간호사의 의사소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인문학연구원 71 (71): 345-385, 2014

      11 홍지연, "간호사-의사 협력, 직무자율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5 (15): 601-609, 2009

      12 이영주, "간호사-간호사 및 간호사-의사 협력 정도와 의료 오류 발생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25 (25): 73-82, 2019

      13 김봉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59-469, 2018

      14 Lee HS, "The impact of peer relationship on child school life adjustment"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1

      15 Jeong KJ,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program for employe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terpersonal stress, and work satisfac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1

      16 Kim YA, "Satir's systemic training program for communication skills" KimYoung Ae family treatment center 2006

      17 Kim YA, "Satir's iceberg communication skills" KimYoung Ae family treatment center 2010

      18 Curtis JR, "Randomized trial of communication facilitators to reduce family distress and intensity of end-of-life care" 193 (193): 154-162, 2016

      19 Satir V, "People Making" Science and Behavior Books. Inc 1972

      20 Lee BJ, "Nurse-physician conflict: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21 Wang Y, "Interventions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5 (5): 81-88, 2018

      22 Erdfelder E, "G POWER :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28 (28): 1-11, 1996

      23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35 (35): 382-385, 1986

      24 Navran L, "Communication and adjustment in marriage" 6 (6): 173-184, 19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15 1.478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