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자서전에 나타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Das Trauma in Thomas Bernhards Autobiographi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222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토마스 베른하르트는 일생동안 고립, 광기, 어둠, 절망, 질병, 죽음 등 인간실존의 어두운 문제에 몰두한 작가이다. 그 이유는 어린 시절의 경험에서 찾을 수 있다.
      사생아라는 출생의 아픔과 기족과 사회로부터 받은 어린 시절의 치명적인 상처와 전쟁의 체험은 하나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된다. 이것은 무의식 속에 잠재해 있다가 존재의 위기의식을 느낌 때 실존적 불안과 신체화 증상으로 발현된다.
      음악, 독서 그리고 글쓰기는 베른하르트에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유와 극복의 수단이 된다. 먼저 음악은 그에게 고통스런 현실을 벗어날 수 있는 하나의 출구가 된다. 다음으로 독서는 자아성찰의 기회와 타인 및 세상에 대한 이해심을 제공해준다. 마지막으로 글쓰기, 특히 자신의 고통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글쓰기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극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베른하르트의 5부작 자서전은 그의 창작의 중심이자 동시에 근원이다. 그러므로 그의 자서전에 나타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연구는 그의 삶과 작품세계를 보다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토마스 베른하르트는 일생동안 고립, 광기, 어둠, 절망, 질병, 죽음 등 인간실존의 어두운 문제에 몰두한 작가이다. 그 이유는 어린 시절의 경험에서 찾을 수 있다. 사생아라는 출생의 아픔...

      토마스 베른하르트는 일생동안 고립, 광기, 어둠, 절망, 질병, 죽음 등 인간실존의 어두운 문제에 몰두한 작가이다. 그 이유는 어린 시절의 경험에서 찾을 수 있다.
      사생아라는 출생의 아픔과 기족과 사회로부터 받은 어린 시절의 치명적인 상처와 전쟁의 체험은 하나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된다. 이것은 무의식 속에 잠재해 있다가 존재의 위기의식을 느낌 때 실존적 불안과 신체화 증상으로 발현된다.
      음악, 독서 그리고 글쓰기는 베른하르트에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유와 극복의 수단이 된다. 먼저 음악은 그에게 고통스런 현실을 벗어날 수 있는 하나의 출구가 된다. 다음으로 독서는 자아성찰의 기회와 타인 및 세상에 대한 이해심을 제공해준다. 마지막으로 글쓰기, 특히 자신의 고통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글쓰기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극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베른하르트의 5부작 자서전은 그의 창작의 중심이자 동시에 근원이다. 그러므로 그의 자서전에 나타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연구는 그의 삶과 작품세계를 보다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omas Bernhard ist ein Autor, der die so finsteren Themen wie die Isolation, Finsternisse, Verzweifelung, Krankheit und den Tod aufgreift. Das beruht auf seinen kindheitlichen und jugendlichen Erfahrungen.
      Die uneheliche Geburt, die tödlichen Wunde von der Familie und Gesellschaft, und das schreckliches Erleben in der Kriegszeit werden die Ursache seines Traumas. Das wohnt tief seinem Unbewußten inne und im Moment der existentiellen Krise erscheint als das Symptom für die Existenzangst und körperliche Krankheit.
      Musik, Literatur und Schreiben sind ihm ein Mittel, das Trauma der Kindheit und Jugendheit zu heilen und zu überwinden. Zuerst wird ihm die Musik ein Ausgang, um aus der verzweifelten Situation zu entkommen. Und durch die Literatur hat er eine Gelegenheit, die Selbstbetrachtung zu machen und die Anderen und die Welt zu
      verstehen. Unter anderem spielt das Schreiben eine wichtigste Rolle für die Überwindung seines Traumas.
      Bernhards fünfteilige Autobiographie ist Zentrum und Ursprung zugleich seiner schöpferischen Welt. Also bedeutet die Untersuchung des Traumas in Thomas Bernhards Autobiographie ein tieferes Verständnis für seine Existenz und seine gesamten übrigen Werke.
      번역하기

      Thomas Bernhard ist ein Autor, der die so finsteren Themen wie die Isolation, Finsternisse, Verzweifelung, Krankheit und den Tod aufgreift. Das beruht auf seinen kindheitlichen und jugendlichen Erfahrungen. Die uneheliche Geburt, die tödlichen...

      Thomas Bernhard ist ein Autor, der die so finsteren Themen wie die Isolation, Finsternisse, Verzweifelung, Krankheit und den Tod aufgreift. Das beruht auf seinen kindheitlichen und jugendlichen Erfahrungen.
      Die uneheliche Geburt, die tödlichen Wunde von der Familie und Gesellschaft, und das schreckliches Erleben in der Kriegszeit werden die Ursache seines Traumas. Das wohnt tief seinem Unbewußten inne und im Moment der existentiellen Krise erscheint als das Symptom für die Existenzangst und körperliche Krankheit.
      Musik, Literatur und Schreiben sind ihm ein Mittel, das Trauma der Kindheit und Jugendheit zu heilen und zu überwinden. Zuerst wird ihm die Musik ein Ausgang, um aus der verzweifelten Situation zu entkommen. Und durch die Literatur hat er eine Gelegenheit, die Selbstbetrachtung zu machen und die Anderen und die Welt zu
      verstehen. Unter anderem spielt das Schreiben eine wichtigste Rolle für die Überwindung seines Traumas.
      Bernhards fünfteilige Autobiographie ist Zentrum und Ursprung zugleich seiner schöpferischen Welt. Also bedeutet die Untersuchung des Traumas in Thomas Bernhards Autobiographie ein tieferes Verständnis für seine Existenz und seine gesamten übrigen Werk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동인
      • Ⅲ.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발현
      • Ⅳ.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유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동인
      • Ⅲ.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발현
      • Ⅳ.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유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Zusammenfassu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학지사 2000

      2 정광조, "예술치료" 시그마프레스 2009

      3 이용승, "범불안장애" 학지사 2000

      4 임성관, "독서치료의 모든 것" 시간의물레 2011

      5 김현희, "독서치료" 학지사 2004

      6 이봉희, "내 마음을 만지다" 생각속의 집 2011

      7 Cho, Hyun-Chon, "Wege zu einer Widerstandskunst im autobiographischen Werk von Thomas Bernhard" 1995

      8 Bernhard, Thomas, "Verstörung" 1988

      9 Mauch, Gudrun B., "Thomas Bernhards Biographie des Schmerzes - “Die Ursache”, “Der Keller” und “Der Atem”" 13 (13): 1980

      10 Höller, Hans, "Thomas Bernhard" Reinbeck bei Hamburg 1993

      1 김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학지사 2000

      2 정광조, "예술치료" 시그마프레스 2009

      3 이용승, "범불안장애" 학지사 2000

      4 임성관, "독서치료의 모든 것" 시간의물레 2011

      5 김현희, "독서치료" 학지사 2004

      6 이봉희, "내 마음을 만지다" 생각속의 집 2011

      7 Cho, Hyun-Chon, "Wege zu einer Widerstandskunst im autobiographischen Werk von Thomas Bernhard" 1995

      8 Bernhard, Thomas, "Verstörung" 1988

      9 Mauch, Gudrun B., "Thomas Bernhards Biographie des Schmerzes - “Die Ursache”, “Der Keller” und “Der Atem”" 13 (13): 1980

      10 Höller, Hans, "Thomas Bernhard" Reinbeck bei Hamburg 1993

      11 Rattner, Josef, "Psychotherapie als Menschlichkeit" 1974

      12 Petzold, Hilarion G, "Poesie und Therapie" Bielefeld und Locarno 2009

      13 König, Josef, "Nichts als ein Totenmaskenball, In Studien zum Verständnis der äathetischen Intentionen im Werk Thomas Bernhards" 1983

      14 Bernhard, Thomas, "Korrektur, Roman" 1975

      15 Brocher, Tobias, "Ideologie, Legende und Wirklichkeit in der Erziehung, in: Gesellschaft und Neurose" 1965

      16 Tschapke, Reinhard, "Hölle und zurück, Das Initiationsthema in den Jugenderinnerungen Thomas Bernhards" 1984

      17 Bernhard, Thomas, "Frost" 1972

      18 Bernhard, Thomas, "Ein Kind" 1990

      19 Bernhard, Thomas, "Drei Tage" Der Italiener 1971

      20 Freud, Sigmund, "Drei Abhandlungen zur Sexualtheorie" 1965

      21 Bernhard, Thomas, "Die Ursache" Eine Andeutung 1991

      22 Bernhard, Thomas, "Die Kälte" Eine Isolation 1991

      23 Obervoßbeck, Rainer, "Die Angst des einsamen Künstlers" 1997

      24 Bernhard, Thomas, "Der Keller" Eine Entziehung.dtv 1990

      25 Bernhard, Thomas, "Der Atem" Eine Entscheidung 1981

      26 Mitscherlich, Alexander, "Das Ich und die Vielen" 1987

      27 Wolf, Doris, "Bibliotherapie in der psychotherapeutischen Praxis" Manheim 1989

      28 Bugmann, Urs, "Bewältigungsversuch. Thomas Bernhards autobiographische Schriften" 1981

      29 이무석, "30만의 휴식" 비전과 리더십 2008

      30 Dreissinger, Sepp, "13 Gespräche mit Thomaas Bernhar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5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